Notation | Category heading | Add | Mod |
---|---|---|---|
A | 예술 학술, 전문가용 도서 및 일반 성인 단행본의 경우 교양 수준을 넘은 전문가급 설명이나 텍스트 기반 도서에 A* 코드 사용할 것. 만일 예술 주제를 취미나 교양/실용적으로 접근하는 도서인 경우 WF* 코드를 메인 주제어로 사용하고 A* 코드는 부가적으로 추가 설명이 필요할 때 사용할 것. A* 코드는 다른 주제어나 적절한 수식자 함께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스타일 수식자 6*을 함께 사용하고, 추가적으로 필요한 경우 장소 수식자 1*과 시기 수식자 3*을 함께 사용할 것 | 1.4 | |
AB | 예술일반 | ||
ABA | 예술론 See also: QDTN 철학: 미학 | ||
ABC | 작품 보존, 복원, 보호 | ||
ABK | 위작, 변조, 예술품 절도 | ||
ABQ | 예술: 재정적 측면 예술작품 판매, 옥션, 투자, 후원, 협찬 관련 도서가 여기에 해당 | ||
AF | 미술: 형식 미술, 시각 예술, 응용 예술 도서에 사용할 것. 모든 AF* 코드에는 연관된 AG* 코드, 즉 미술사 혹은 미술작품의 역사에는 AGA 코드를, 예술 기법에 관한 전문가용 도서의 경우 AGZ 코드를 함께 사용하고 필요한 경우 스타일 수식자 6*과 함께 사용할 것. 만일 아마추어 대상이거나 취미/실용서인 경우 메인 주제어는 A* 코드보다는 WF* 코드를 사용할 것을 권장 | 1.4 | |
AFC | 회화 회화 관련 일반도서 혹은 AFC* 코드에 해당하지 않는 회화 관련 도서가 여기에 해당. 모든 AFC* 코드는 특정 회화의 역사 또는 특정 스타일의 회화를 포함하여 개인 또는 그룹별 회화, 작품에 사용할 것. 필요한 경우 스타일 수식자 6* 코드와 함께 사용하고 회화 작품의 역사일 경우는 AGA 코드를, 화가에 관한 논문일 경우 AGB 코드, 회화 기법에 관한 전문가용 도서일 경우 AGZ 코드 함께 사용할 것. 만일 아마추어나 취미/실용서인 경우 메인 주제어는 WF* 코드 사용 권장 | 1.4 | |
AFCC | 수채화, 파스텔화(painting) 구아슈화가 여기에 해당 | 1.4 | |
AFCL | 유화 | ||
AFCM | 벽화 트롱프뢰유, 프레스코, 천장화, 벽화, 표구가 여기에 해당 | 1.3 | 1.4 |
AFCP | 잉크화 수묵화가 여기에 해당 | 1.4 | |
AFF | 드로잉 스케치가 여기에 해당. 모든 AFF* 코드에는 특정 드로잉의 역사 또는 특정 스타일의 드로잉을 포함하여 개인 또는 그룹별 드로잉, 작품에 사용할 것. 필요한 경우 스타일 수식자 6* 코드와 함께 사용하고 드로잉 작품의 역사일 경우는 AGA 코드를, 화가에 관한 논문일 경우 AGB 코드, 드로잉 기법에 관한 전문가용 도서일 경우 AGZ 코드를 함께 사용할 것. 만일 아마추어나 취미/실용서인 경우 메인 주제어는 WF* 코드 사용 권장 | 1.4 | |
AFFC | 목탄화, 연필, 크레용, 파스텔화(drawings) 흑연, 분필, 콩테가 여기에 해당 | 1.4 | |
AFFK | 펜, 붓, 잉크 드로잉 | 1.4 | |
AFH | 판화 에칭, 실크스크린, 스크린프린트, 목판화, 석판화, 라인 조각, 아쿠아틴트, 드라이포인트, 메조틴트, 모노타입, 목판이 여기에 해당 | 1.4 | |
AFJ | 기타 그래픽/비주얼아트 콜라주, 포토몽타주가 여기에 해당. AFC*, AFF*, AFH* 코드에 해당하지 않는 일반 작품 혹은 예술 양식에 사용할 것 | 1.4 | |
AFJY | 보디아트 및 타투 보디피어싱, 예술품인 보디페인팅이 여기에 해당. 공연예술인 경우 AFKP 코드 사용할 것 | 1.4 | |
AFK | 비그래픽, 전자예술 비그래픽 형태의 예술 또는 새로운 형태의 미디어를 포함하여 하기 주제어에 열거되지 않은 형태를 사용하는 일반적인 도서에 사용할 것 | 1.4 | |
AFKB | 조소 조각상, 피규어(작은 조각상), 기념비적 조각품이 여기에 해당. 어떠한 재료를 사용한 3차원 입체 예술, 예술 형태 혹은 연관된 전통 및 기법을 다룬 도서에 사용할 것 | 1.4 | |
AFKC | 조각, 마스크, 부조 암각화, 소규모, 기념비적 조각이 여기에 해당. 어떠한 재료로 특별하게 조각된 물체 혹은 조각된 디자인의 기법 및 작품 모두가 여기에 해당 | 1.4 | |
AFKG | 귀금속, 보석류의 공예품 및 디자인 금, 은세공, 파베르제 등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WFJ 장신구, 비드공예, WCP 골동품, 빈티지, 수집품: 장신구, WCR 골동품, 빈티지, 수집품: 금, 은, 기타 금속(비장신구), WFP 금속공예 | ||
AFKN | 설치예술 지형 예술, 어스 아트, 특정 지역 예술, 환경 예술 등이 여기에 해당 | 1.4 | |
AFKP | 행위예술 | ||
AFKV | 디지털, 비디오, 뉴미디어 예술 컴퓨터, 전자, 홀로그램, 가상, 사이보그, 대화형, 인터넷, 텔레마티크, 사운드 및 진화 예술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UG* 그래픽 및 디지털미디어 응용프로그램 and its sub-categories | 1.4 | |
AFP | 도자기, 모자이크 및 유리공예 작품 예술작품인 도자기(도자기, 토기, 석기, 비스크 포함), 스테인드글라스, 타일, 에나멜 등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WFN 도자기, 자기, 유리공예 | 1.4 | |
AFT | 장식예술 장식품, 장식 세부, 인조그림 혹은 마무리, 장식용 금속공예 및 기타 장식예술이 여기에 해당. 미술 혹은 미술사 관점에서 해당 주제를 다루거나 전문가 혹은 기술이나 숙련도가 높은 독자를 대상으로 하는 전문서에 사용할 것 See also: WF* 수공예, 장식예술, 공예 and its sub-categories | 1.4 | |
AFW | 섬유예술작품 카펫, 킬림, 깔개, 퀼트, 태피스트리, 기타 섬유예술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AKT 패션 및 섬유 디자인, WFB* 바느질, 직물공예 and its sub-categories, WFF 러그, 카펫제작, WFG 방적, 제직 | 1.4 | |
AG | 미술: 표현방법 및 주제 미술, 시각 예술, 응용 예술 도서에 사용할 것. 필요한 경우 연관된 AB*, AF*, AG*, AJ* 주제어 코드 및 스타일 수식자 6*, 장소수식자 1*과 함께 사용할 것 | 1.4 | |
AGA | 예술사 다른 예술 코드 A*와 함께 사용하고, 적절한 스타일 6*, 장소 1*, 시기 3* 수식자도 함께 사용할 것 | ||
AGB | 예술가, 논문 예술가나 아틀리에 혹은 예술가 1인의 이름으로 된 워크샵에 사용할 것 | 1.4 | |
AGC | 전시회 카탈로그, 컬렉션 아트갤러리, 박물관, 개인 콜렉터처럼 영구 소장품의 카탈로그나 일시적인 전시회와 연관된 도서에 사용할 것. 예술 형식을 가리키는 다른 A* 코드 함께 사용하고 특정 갤러리 또는 박물관처럼 영구 소장 장소가 있을 경우 해당 장소 수식자 1*도 함께 사용할 것 See also: WTHM 여행가이드: 박물관, 역사적장소, 갤러리 등, GLZ 박물관과 유물 연구 | 1.4 | |
AGH | 인물화 초상화, 예술가를 위한 인체 해부학 그림, 인간이나 인체 일부를 묘사한 모든 예술이 여기에 해당. 드로잉 기법인 경우 AGZ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4 | |
AGHF | 초상화, 자화상 | 1.3 | |
AGHN | 누드화 | ||
AGHX | 에로틱아트 필요한 경우 수식자 5X 코드 사용할 것 See also: AJCX 에로틱, 누드사진 | ||
AGK | 소규모, 통속, 가정의 삶을 담은 예술작품 예술의 장르 주제, 일상생활, 이벤트가 여기에 해당 | 1.3 | |
AGN | 자연 주제 예술적 형태 혹은 전통으로 자연을 묘사한 도서에 사용할 것. 삽화인 경우 AKLB 코드를, 과학적 목적을 가지고 있거나 원래부터 과학적 목적이었던 경우는 PS*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4 | |
AGNA | 동물 주제 동물 그림, 야생, 새, 곤충, 물고기와 관련한 예술 도서가 여기에 해당. 예술적 형태나 전통으로 동물상(動物相)을 표현한 도서에 사용할 것. 삽화인 경우 AKLB 코드를, 과학적 목적을 가지고 있거나 원래부터 과학적 목적이었던 경우는 PS*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3 | 1.4 |
AGNB | 식물 주제 식물 삽화가 여기에 해당. 예술이나 전통으로 묘사된 꽃이나 식물에 사용할 것. 과학적 목적을 가진 식물 예술인 경우 PST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4 | |
AGNL | 풍경화 / 바다풍경 | 1.3 | |
AGNS | 정물화 바니타스가 여기에 해당. 자연적으로 만들어졌거나 혹은 인간이 만든 소형 무생물을 묘사한 것에 사용할 것 | 1.3 | |
AGP | 인공물 주제 (도시경관, 기계 등) 특정 예술 형태 혹은 전통으로 묘사된 건물, 도시풍경, 기계, 차량 등이 여기에 해당 | 1.4 | |
AGR | 종교 및 의식 예술 신성하거나 종교적 의식, 종교적 아이콘이 여기에 해당. 필요한 경우 연관된 QR* 코드 함께 사용할 것 | 1.4 | |
AGT | 공공미술 공공영역에서 상영될 목적으로 기획되고 실행된 미디어로 일시적 혹은 영구적으로 모든 사람이 접근할 수 있고 허가받은 장소 혹은 비공식적이거나 허가받지 못한 장소에서 행해졌을 수 있는 미디어를 예술로 취급한 도서가 여기에 해당 | 1.4 | |
AGTS | 어번아트 게릴라 아트, 그래피티 아트, 플라이포스팅, 스티커 아트, 얀 폭격, 거리 설치, 도시 스타일 등이 여기에 해당. 도시 생활, 환경 및 공공장소에서 영감을 얻은 도시 지역의 시각예술 또는 응용예술 작품에 관한 도서에 사용할 것 | 1.4 | |
AGZ | 예술 기법 및 원리 교과서, 상급 레벨 및 전문가용 도서로 기법이나 원근법 등에 사용할 것. 필요할 경우 예술 형식을 가리키는 AF* 코드 혹은 AK* 코드(예: 드로잉 기법은 AFF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만일 아마추어나 취미/실용서인 경우 메인 주제어는 WF* 코드 사용 권장 See also: WFA 회화, 드로잉, 예술매뉴얼 | 1.4 | |
AGZC | 색채 및 색채요법 예술 측면에서 다룬 색체 과학이 여기에 해당. 만일 과학이나 기술적 측면을 더 강조한 도서일 경우 P* 코드 혹은 T* 코드 함께 사용할 것 | 1.4 | |
AJ | 사진 | ||
AJC | 사진: 컬렉션 보통 공통된 주제나 원칙을 가지고 있거나 박물관, 갤러리, 에이전시 혹은 수집가의 컬렉션을 대표하는 컬렉션 혹은 큐레이션된 사진에 관한 도서에 사용할 것. 특정한 주제를 다룬 경우 해당 주제에 관한 적절한 AG* 코드 함께 사용할 것 See also: WQP 오래된 사진 속 장소 | 1.3 | |
AJCD | 사진작가 관련 분야 논문이 여기에 해당 | 1.4 | |
AJCP | 사진촬영: 인물 & 셀카 인물 사진뿐 아니라 셀카, 모델이 포함된 사진을 통해 특정 모델 혹은 다수의 모델이 포함된 도서에 사용할 것. 인물 촬영의 실용적인 기술을 다룬 도서일 경우 AJTF 코드 함께 사용할 것 | 1.1 | 1.4 |
AJCX | 에로틱, 누드사진 필요한 경우 수식자 5X 사용할 것 See also: AGHX 에로틱아트 | ||
AJF | 포토저널리즘 및 기록사진 보도사진, 소셜 다큐멘터리, 거리 사진, 이벤트, 유명인 사진 등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DNP 르포, 기사, 칼럼 저작집 | 1.4 | |
AJT | 사진장비 및 기술: 일반 카메라, 렌즈, 조명, 필름, 플래시, 암실 기술 및 사진 처리, 수정, 디지털 조작, 색상 원리, 구도 흑백 등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UGP 사진 및 이미지편집 | 1.4 | |
AJTA | 카메라 매뉴얼 특정 카메라 유형 혹은 브랜드에 관한 모든 출판물에 사용할 것 | 1.4 | |
AJTF | 사진: 특정 기법 및 원리 항공, 드론, 스튜디오, 거리, 풍경, 자연 및 야생동물, 인물, 수중 사진, 마이크로 및 천체 사진술 및 가이드가 여기에 해당. 사진 구도에 관한 도서가 여기에 해당 | 1.4 | |
AJTH | 디지털사진 | 1.4 | |
AJTV | 비디오 포토그래피 / 비디오카메라 촬영술 See also: AFKV 디지털, 비디오, 뉴미디어 예술, ATFX 영화제작: 기술, 배경기술, ATJX 방송제작: 기술, 배경기술 | 1.3 | |
AK | 디자인, 산업/상업예술, 일러스트레이션 미술, 예술사 관점에서 주제를 보거나 전문적, 기술적 혹은 숙련된 독자를 대상으로 한 도서에 사용할 것. 필요한 경우 AK* 코드에 적절한 스타일 수식자 6*, 장소 수식자 1*, 시기 수식자 3*과 함께 사용할 것. 만일 아마추어나 취미/실용서인 경우 메인 주제어는 WF* 코드 사용 권장 | 1.4 | |
AKB | 디자이너 및 단체 유명 디자이너뿐 아니라 디자인 에이전시, 브랜드, 기업, 사무소, 디자인 명가 등이 여기에 해당. 필요한 경우 해당 디자인 분야를 가리키는 다른 주제어 코드 함께 사용할 것. 예를 들어 패션 디자이너는 AKT 코드와 함께, 여기에 역사적인 접근이면 AKX 코드도 추가할 것 | 1.4 | |
AKC | 그래픽 디자인 | ||
AKD | 타이포그래피, 레터링 예술로서의 서체, 글꼴 디자인, 글꼴, 간판 그림, 슈파, 쇼도, khatt, 기타 여러 형태의 캘리그래피가 여기에 해당 See also: WFU 서예, 손글씨 | 1.4 | |
AKH | 북 디자인 및 제본 예술로서의 표지 디자인, 제본, 종이 마블링 등이 여기에 해당. 책을 디자인하고 제작하는 예술 도서에 사용할 것 See also: WFT 책, 종이공예, AKLB 일러스트레이션, KNTP1 출판 및 출판업 | 1.4 | |
AKHM | 원고 및 삽화 미니어처, 삽화가 있거나 채색된 원고, 두루마리, 고문서 등이 여기에 해당 | 1.3 | 1.4 |
AKL | 일러스트레이션 및 상업예술 | ||
AKLB | 일러스트레이션 예술로서의 책 삽화, 정보 그래픽이 여기에 해당. 과학적, 기술적, 서사, 기타 목적에 사용되는 현대/역사적 삽화뿐만 아니라 예술 형식의 삽화에 관한 도서에 사용할 것 See also: AFF 드로잉 | 1.4 | |
AKLC | 코믹북 및 카툰 삽화 모든 AKLC* 코드에는 다음의 코드를 함께 사용할 것. 해당 삽화를 담고 있는 코믹북의 주제에 관한 X* 코드, 코믹북 아트 혹은 캐릭터 드로잉 기술에 대한 전문서일 경우 AGZ 코드, 코믹북 역사의 경우 AKX 코드 함께 사용. 만일 아마추어나 취미/실용서인 경우 메인 주제어는 WF* 코드 사용 권장 See also: AFF 드로잉 | 1.4 | |
AKLC1 | 그래픽노블 및 만화 삽화 해당 삽화를 담고 있는 도서의 주제를 X* 코드에서 찾아 함께 사용할 것 See also: XA* 그래픽노블, 만화: 유형 and its sub-categories, XR* 그래픽노블, 만화: 가이드 and its sub-categories, AFF 드로잉 | 1.2 | |
AKLF | 컴퓨터 게임 아트 게임 디자인, 아트워크, 그래픽 등의 예술적 측면을 다룬 도서에 사용할 것 See also: UGG 컴퓨터게임디자인 | 1.1 | |
AKLP | 포스터 아트 | ||
AKP | 상품 디자인 상품, 산업 디자인을 위한 범용 혹은 이해하기 편한 디자인이 여기에 해당. 연관 업계, 브랜드 이름을 포함한 일반적 상품 디자인, 개별 상품, 또는 상품 유형, 기능 및 안전, 상품의 지속 가능한 디자인 등에 관한 도서가 여기에 해당 See also: TBD 기술디자인, UGC CAD | 1.4 | |
AKR | 가구 디자인 | ||
AKT | 패션 및 섬유 디자인 패션 디자인의 패션스타일 및 트렌드, 일반서 및 참고 서적, 특정 의류 아이템에 관한 도서, 패션에 관한 일러스트 도서에 사용할 것. 모든 AKT* 코드는 다음과 함께 사용할 것: 개별 패션 디자이너는 AKB와 함께 사용하고 패션의 역사와 관련이 있으면 AKX 코드를, 여기에 필요한 경우 시기 수식자 3*을, 사진 컬렉션이나 패션 사진일 경우 AJC* 코드를, 패션을 공부하는 학생이나 디자이너를 위한 실용적인 기술에 관한 도서일 경우 AGZ 코드를 함께 사용할 것. 일반 독자를 대상으로 옷 입는 법, 스타일리시하게 보이는 법, 패션에 관한 실용적인 팁을 제공하는 도서일 경우 메인 주제어로 WJF 코드 사용 권장 See also: TDPF* 직물 및 섬유 and its sub-categories, KNDD 의류, 섬유산업, KNSX 패션 및 미용산업, WJF 패션과 스타일가이드 | 1.3 | |
AKTF | 패션 및 섬유 디자인: 액세서리 모자, 구두, 장갑 제작, 가방, 모자, 구두 기타 액세서리의 패션과 스타일이 여기에 해당. 일반적으로 삽화가 포함된 도서로 디자인적 측면 혹은 패션이나 의상의 다양한 액세서리의 미학을 다룬 도서에 사용할 것 | 1.4 | |
AKTR | 민속 혹은 지역 의상 민속, 민족, 전통 의상이 여기에 해당. 현대 의상뿐 아니라 과거의 의상을 살펴보는 도서에 사용할 것. 필요한 경우 장소 수식자 1*과 함께 사용할 것 | 1.3 | 1.4 |
AKX | 디자인 역사 필요한 경우 다른 예술 주제 코드 AK*와 함께 사용하고 또한 스타일 수식자 6*, 장소 수식자 1*, 시기 수식자 3*과 함께 사용할 것 | 1.4 | |
AM | 건축 필요한 경우 모든 AM* 코드는 적절한 스타일 수식자 6*, 시기 수식자 3*과 함께 사용할 것 | 1.4 | |
AMA | 건축이론 | ||
AMB | 건축가, 건축사무소 건축 관련 논문이 여기에 해당 | 1.4 | |
AMC | 건축 구조, 디자인 건축도면, 단면, 입면도, 건축 렌더링, 평면도가 여기에 해당. 건축 관점에서 주제를 다루는 도서에 사용할 것. 필요한 경우 스타일 수식자 6*과 함께 사용할 것. 건물 및 건축의 기술적 특성을 살펴보는 도서에는 TN* 코드 사용 권장 See also: TN* 토목공학, 측량, 건설 and its sub-categories | 1.4 | |
AMCD | 건축 세부, 구성요소, 디자인 건물 혹은 구조 개별 요소를 설명하는 도서가 여기에 해당. 예: 창문, 문, 지붕 디자인, 장식물 등 | 1.3 | |
AMCM | 건축 재료 콘크리트, 벽돌, 강철, 유리, 목재 등과 같은 재료의 관점에서 구조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도서로, 종종 고도의 삽화가 포함된 도서가 여기에 해당. 상대적으로 기술적, 구조 공학적으로 접근하는 도서일 경우 TN* 코드 사용 권장 See also: TN* 토목공학, 측량, 건설 and its sub-categories | 1.4 | |
AMCR | 친환경 건축과 디자인 환경 영향이 적고, 지속 가능하며 에너지 효율적이거나 에너지 중립적 건축, 건물, 내부 인테리어, 기술, 생태학, 친환경 건물, 에코 디자인, 환경 디자인, 생태 친화적 및 생체 모방 건축이 여기에 해당 | 1.4 | |
AMD | 건축: 전문가 실무 | ||
AMG | 건축: 공공, 상업 및 산업건물 농업, 산업, 상업 및 시민센터, 콘서트홀, 공연장, 경기장, 기념비적인 건물, 병원, 등대, 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전시공간, 역사, 공항, 호텔, 스파, 공장, 창고, 사무실, 상점, 스토어 등이 여기에 해당. 주거용 또는 가정용 이외의 주요 기능이 있고 일반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접근할 수 있는 건물에 대한 도서에 사용할 것. 필요한 경우 AMR 코드 (인테리어 디자인)와 함께 사용할 것 See also: JWT 군 관련 단체 및 기념물, WTHM 여행가이드: 박물관, 역사적장소, 갤러리 등 | 1.4 | |
AMK | 건축: 주거용 건물 개인 주택, 집, 아파트, 연립주택, 다락방, 오두막, 빌라 등이 여기에 해당. 주택 설계 혹은 현대적이거나 역사적으로 주거용 주택 목적에 맞게 건축되거나 개조된 구조에 관한 도서에 사용할 것. 필요한 경우 AMR (인테리어 디자인)과 함께 사용할 것 See also: WJK 인테리어디자인, 데코, 스타일가이드, AMR 건축: 인테리어 디자인 | 1.4 | |
AMKH | 건축: 소규모 주택건축물 오두막, 막사, 헛간, 트리하우스, 팔리, 소규모 주택, 정자, 별채, 보트하우스 등이 여기에 해당. 반드시 주거용 건물이나 구조물일 필요는 없으며 여가, 휴가, 휴식, 즐거움과 연결되어 있을 수 있음 | 1.2 | 1.4 |
AMKL | 건축: 성, 방어시설 | ||
AMKS | 건축: 궁전, 대저택, 맨션 | 1.2 | |
AMN | 건축: 종교적 건물 수도원, 성당, 교회, 회교 사원, 유대교 회당, 사찰 및 기타 종교 관련 건물 또는 구조물의 건축적인 측면을 다룬 도서가 여기에 해당 | 1.4 | |
AMR | 건축: 인테리어 디자인 종종 훌륭한 일러스트가 제공되기도 하며, 관련 분야 전문가 혹은 숙련된 기술을 가진 독자를 대상으로 하는 인테리어 건축, 디자인, 등대 디자인, 주거, 상업 혹은 기타 인테리어 디자인 전문 분야를 다룬 도서이며 장식예술로서 주제를 다루는 도서에 사용할 것. 인테리어 디자이너 개인을 다룬 도서는 AKB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상대적으로 아마추어나 가정용 인테리어 접근일 경우 메인주제어는 WJK (인테리어디자인, 데코, 스타일가이드) 코드 사용 권장 See also: WJK 인테리어디자인, 데코, 스타일가이드 | 1.4 | |
AMV | 조경 및 디자인 See also: WMD 정원디자인 | 1.3 | |
AMVD | 도시 계획: 건축 관련 See also: RPC 도시계획 및 정책 | ||
AMX | 건축사 필요한 경우 스타일 6*, 장소 1*, 시기 3* 수식자와 함께 사용할 것 | ||
AT | 공연예술 필요한 경우 모든 AT*에는 스타일 수식자 6*, 장소 수식자 1*, 시기 수식자 3*과 함께 사용할 것 | 1.4 | |
ATC | 배우, 연기자 미디어 인물, 진행자가 여기에 해당. AT* 코드와 함께 연극, 영화, TV, 라디오 등 분야를 특정하는 코드 함께 사용할 것 See also: DNBF* 인물: 예술인, 연예인, 방송인 and its sub-categories | 1.3 | |
ATD | 공연연구 See also: DD* 희곡 and its sub-categories | ||
ATDC | 연기기술 독백, 오디션 머티리얼이 여기에 해당 | ||
ATDF | 공연연출 및 제작 | ||
ATDH | 공연: 기술, 무대기술 연출기법, 의상, 메이크업, 조명, 무대장치 등이 여기에 해당 | ||
ATDS | 극단 경영 | ||
ATF | 영화 기존의 대형 스크린, TV용 영화 혹은 스트리밍, 주문형 혹은 기타 서비스를 포함한 새로운 미디어용으로 제작된 장편 영화(단, 에피소드 제공은 제외)의 공연예술 측면을 다룬 도서만 ATF* 코드 사용할 것 See also: KNTC 영화, TV, 라디오 산업 | 1.4 | |
ATFA | 영화사, 이론, 평론 국립 영화, 개별 영화, 영화 스튜디오, 영화 프랜차이즈의 역사 혹은 비평에 관한 도서가 여기에 해당 | 1.4 | |
ATFB | 영화감독, 제작자 | ||
ATFD | 영화 시나리오, 스크립트 | ||
ATFG | 영화 가이드 및 리뷰 | ||
ATFN | 영화: 스타일 및 장르 특정 영화 스타일 혹은 장르를 다룬 도서가 여기에 해당. 필요한 경우 특정 영화 스타일 혹은 장르를 기술하는 ATM* 코드 혹은 기타 ATF*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See also: ATM* 영화, TV, 라디오, 공연예술 장르 and its sub-categories | 1.4 | |
ATFR | 다큐멘터리 영화 대형 및 소형 스크린용 다큐멘터리 제작을 위한 단편 혹은 장편 다큐멘터리, 대본이 있거나 대부분 사실적 프로그래밍인 작품에 관한 도서가 여기에 해당 | 1.4 | |
ATFV | 애니메이션 애니메이션 영화 혹은 단편에 관한 도서가 여기에 해당. 애니메이션 기술에 관한 도서일 경우 AGZ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See also: UGN 디지털애니메이션 | 1.4 | |
ATFV1 | 아니메 일본 스타일 애니메이션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AKLC1 그래픽노블 및 만화 삽화 | 1.3 | |
ATFX | 영화제작: 기술, 배경기술 영화 촬영술, 편집, 조명, 장면, 의상, 특수효과, 삽화 및 디자인, 분장 및 헤어, 소품, 캐스팅 등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CBVS 시나리오 작법, UG* 그래픽 및 디지털미디어 응용프로그램 and its sub-categories | 1.4 | |
ATJ | TV 전통적인 TV 혹은 스트리밍, 주문형, 기타 소형 스크린 엔터테인먼트를 소비하는 형태를 포함하는 뉴미디어를 공연예술 측면에서 다룬 도서만 ATJ* 코드 사용할 것 See also: KNTC 영화, TV, 라디오 산업 | 1.4 | |
ATJD | TV 방송 시나리오, 스크립트, 공연 See also: WHG TV 유머 | 1.2 | |
ATJS | TV: 스타일 및 장르 실사, 애니메이션, 픽션, 논픽션, 드라마, 리얼리티쇼, 다큐멘터리, 뉴스, 시사 등을 위해 제작된 드라마 시리즈, 연속극, TV 공연, 상황 코미디 등이 여기에 해당. 특정 장르나 스타일의 TV 또는 소형 스크린용 엔터테인먼트를 위한 도서에 사용할 것. 필요한 경우 특정 스타일 혹은 장르를 기술하는 ATM* 코드 또는 AT* 코드 함께 사용할 것 See also: ATM* 영화, TV, 라디오, 공연예술 장르 and its sub-categories | 1.4 | |
ATJX | 방송제작: 기술, 배경기술 방송 촬영 기법, 편집, 조명, 장면, 의상, 특수효과, 아트 및 디자인, 분장 및 헤어, 소품, 캐스팅이 여기에 해당 | 1.4 | |
ATL | 라디오/팟캐스트 전통적인 라디오 혹은 스트리밍, 주문형 기타 오디오 콘텐츠를 소비하는 형태를 다룬 도서로 공연예술 측면을 다룬 경우만 ATL* 코드 사용할 것 See also: KNT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정보, 커뮤니케이션 산업 | 1.4 | |
ATLD | 라디오 대본, 스크립트, 공연 | 1.2 | |
ATM | 영화, TV, 라디오, 공연예술 장르 공연예술 측면에서 이러한 장르들을 다룬 도서에만 사용할 것. 영화, TV 쇼, 무대 제작 등 특정 장르를 다루는 도서일 경우 다른 AT*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미디어 타이인을 포함한 특정 장르가 소설로 출간된 경우 F* 코드 사용 권장 See also: ATJS TV: 스타일 및 장르, ATFN 영화: 스타일 및 장르 | 1.4 | |
ATMB | 영화, TV, 라디오 장르: 액션, 모험, 범죄 및 스릴러 무술, 재난, 미스터리, 서스펜스, 갱스터, 강도, 스파이, 간첩, 서부, 액션 기반 전쟁 영화, 쇼, 프로그램, 시리즈에 관한 도서가 여기에 해당 | 1.4 | |
ATMC | 영화, TV, 라디오 장르: 코미디, 유머 유머 기반 영화, 쇼, 프로그램, 시리즈가 여기에 해당 | 1.4 | |
ATMF | 영화, TV, 라디오 장르: 드라마 영화, 쇼, 프로그램, 시리즈 등이 여기에 해당 | 1.4 | |
ATMH | 영화, TV, 라디오 장르: 역사 시대극, 페플럼, 역사적 전기, 역사적 서사 장편 영화, 사무라이 영화 등이 여기에 해당. 역사적 시기가 주요 요소 중 하나인 영화, 쇼, 프로그램, 시리즈에 사용할 것 | 1.4 | |
ATMN | 영화, TV, 라디오 장르: SF, 판타지, 공포 | 1.4 | |
ATMP | 영화, TV, 라디오 장르: 수퍼히어로, 코믹북 연관 코믹북 캐릭터나 스토리에서 영감받은 영화, 쇼, 프로그램, 시리즈에 관한 도서가 여기에 해당 | 1.4 | |
ATN | 인터넷 및 디지털 미디어: 예술 및 공연 여기서 인터넷은 미디어 채널의 의미로 특히 온라인에서 생산되는 인터넷상의 유명인, 블로거와 블로그, 비디오 블로거, 팟케스트 등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UD* 디지털 생활방식 및 온라인 세상: 소비자 및 사용자 가이드 and its sub-categories, KNTV 컴퓨터 및 비디오게임산업, KNTX 정보기술산업 | 1.2 | |
ATQ | 무용 테크닉, 연구, 참고 서적 일반에 사용할 것. 필요한 경우 문화 연구 측면을 다루거나 학술적 도서인 경우 JBC*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모든 ATQ* 코드는 필요한 경우 적절한 스타일 수식자 6*과 함께 사용할 것 | 1.4 | |
ATQC | 안무 | ||
ATQL | 발레 | ||
ATQR | 사교춤 라틴 댄스가 여기에 해당 | 1.3 | |
ATQT | 현대무용 | ||
ATQV | 무용수 / 안무가 댄스 공연단, 댄스 그룹, 기업이 여기에 해당 | 1.3 | |
ATQZ | 민속무용 | ||
ATX | 기타 공연예술 마임, 노, 길거리 공연, 버라이어티 쇼, 뮤직홀, 카바레, 저글링, 복화술 등이 여기에 해당 | 1.3 | |
ATXC | 서커스 및 서커스 기술 광대놀이, 줄타기, 곡예가 여기에 해당 See also: ATXZ 동물스포츠, 동물공연 | 1.3 | |
ATXD | 코미디 및 스탠드업 즉흥 코미디, 인상파, 대안 코미디, 스케치 코미디, 코미디언이 여기에 해당 | 1.3 | |
ATXF | 마술 일루전, 요술, 카드마술, 마술사가 여기에 해당 See also: QRYX2 마술, 연금술, VXWM 마법, 주문, 연금술 | 1.3 | |
ATXM | 인형극, 장난감극, 미니어처극 | ||
ATXP | 가장행렬, 퍼레이드, 페스티벌 | ||
ATXZ | 동물스포츠, 동물공연 | ||
ATXZ1 | 투우 | ||
ATY | 공연예술 역사 필요한 경우 다른 AT*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4 | |
ATZ | 영화, TV, 라디오, 공연예술: 동반작품 TV 시리즈, 영화, 쇼, 프랜차이즈 등의 논픽션, 동반작품이 여기에 해당. 이들은 일반적으로 캐릭터 개요, 제작 가이드 또는 시리즈 기법처럼 무비판적인 내용을 다룸. 필요한 경우 다른 AT* 코드 함께 사용할 것. 특정 영화, 시리즈, 쇼, 프랜차이즈에서 영감을 받은 소설 혹은 타이인(tie-in) 소설, 소설화된 도서에는 FYV 코드 혹은 FZ 코드 사용 권장 See also: FYV 소설: 영감을 받거나 개작된 소설, FZ 소설 자매편, YFZZ 어린이, 청소년 소설: 자매편 | 1.4 | |
AV | 음악 모든 AV* 코드에 적절한 스타일 수식자 6*과 함께 사용할 것 | 1.4 | |
AVA | 음악이론, 음악학 모든 AV* 코드는 음악의 특정 스타일 혹은 장르를 가리키는 스타일 수식자 6*과 함께 사용할 것. 만일 특정 지역에 관한 음악이라면 장소 수식자 1*을 함께 사용하고 역사적인 음악이라면 시기 수식자 3*과 함께 사용할 것 | ||
AVC | 음악평론 | ||
AVD | 디스코그래피 및 구매 가이드 | ||
AVL | 음악 스타일 및 장르 | 1.4 | |
AVLA | 예술음악, 오케스트라음악 | ||
AVLC | 합창음악 | ||
AVLF | 오페라 희가극, 오페레타, 오페라 코미크, 사이네떼, 경가극, 사르수엘라가 여기에 해당 | 1.4 | |
AVLK | 종교음악 영적인 음악, 찬송가가 여기에 해당. 성스러운 의식 혹은 종교의식과 연관되거나 그에 사용되는 음악 작품에 사용할 것. 필요한 경우 QR* 코드 함께 사용할 것 | 1.4 | |
AVLM | 영화, 공연 음악 뮤지컬, 영화 음악 등이 여기에 해당 | 1.1 | 1.4 |
AVLP | 대중음악 재즈, 락, 팝 뮤직, 소울, 랩, 라틴, 블루스, 이지 리스닝, 컨트리, 레게 음악 등 기타 모든 형태의 대중음악 등이 여기에 해당. 예술음악이나 전통음악과 구별되는 모든 형태의 대중음악에 사용. 특별한 음악 스타일이나 구체적 음악 장르를 나타내는 스타일 수식자 6*과 함께 사용할 것 | 1.4 | |
AVLT | 전통음악 오랜 기간 (일반적으로 여러 세대)에 걸쳐 관습에 따라 자주 연주된 노래 및 곡에 대한 도서가 여기에 해당. 이것은 민요, 컨트리 댄스, 혹은 유사한 유형의 음악인 경우가 많고 민속, 전통 혹은 특정 지역의 문화유산와 연관된 경우가 많음. 필요한 경우 적절한 장소 수식자 1*과 함께 사용할 것 | 1.4 | |
AVLW | 기타 월드뮤직 및 민속음악 스타일 월드 뮤직, 월드비트, 글로벌 혹은 월드퓨전이 여기에 해당.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스타일 또는 문화적 전통이 혼합된 음악에 관한 도서 혹은 다른 음악 범주에 속하지 않는 음악에 관한 도서에 사용할 것. 필요한 경우 적절한 장소 수식자 1*과 함께 사용할 것 | 1.4 | |
AVLX | 전자음악 전자 악기, 디지털 악기 혹은 회로 기반 음악 기술을 사용하여 제작된 모든 형태의 음악에 관한 도서에 사용할 것 See also: AVRS 전자음악 악기 | 1.4 | |
AVM | 음악사 적절한 스타일 수식자 6*, 장소 수식자 1* 및 시기 수식자 3*과 함께 사용할 것 | 1.3 | |
AVN | 작곡가 및 싱어송라이터 | ||
AVP | 뮤지션, 가수, 밴드, 그룹 지휘자, 오케스트라 및 기타 음악 또는 노래 앙상블 혹은 개인이 여기에 해당 | 1.4 | |
AVQ | 악보, 가사집, 오페라 대본 악보가 여기에 해당. 특정 유형 악기용 악보일 경우 해당 악기를 가리키는 AVR* 코드 함께 사용할 것 | 1.4 | |
AVQS | 노래책 초보자용 피아노, 기타 연주집이 여기에 해당 | ||
AVR | 악기 | ||
AVRG | 건반악기 하프시코드, 오르간 등이 여기에 해당 | 1.4 | |
AVRG1 | 피아노 | 1.2 | |
AVRJ | 타악기 드럼이 여기에 해당 | 1.4 | |
AVRL | 현악기 | ||
AVRL1 | 기타 | ||
AVRL2 | 발현악기 하프가 여기에 해당 | 1.4 | |
AVRL3 | 바이올린 | 1.2 | |
AVRN | 관악기 트럼펫, 트롬본, 코넷과 같은 금관 악기, 오보에, 색소폰과 같은 리드 악기, 리코더, 플루트, 클라리넷과 같은 목관 악기가 여기에 해당 | 1.4 | |
AVRQ | 기계음악 악기 | ||
AVRS | 전자음악 악기 See also: AVLX 전자음악 | ||
AVS | 음악기법, 지도, 교수법 악기 배우기, 독학 지침서, 음악 교수법, 지휘 기술에 관한 도서가 여기에 해당 | 1.4 | |
AVSA | 창법 노래 배우기, 창법 학습 도서가 여기에 해당 | 1.4 | |
AVSD | 작곡 오케스트레이션, 음악 편곡, 조옮김, 작곡이 여기에 해당 | 1.4 | |
AVX | 음악녹음, 제작 음악과 사운드 녹음, 재생에 관한 도서, 일반 도서 및 실용서 모두에 해당. 상대적으로 기술에 중점이 맞춰진 도서는 적절한 T* 코드 혹은 U* 코드 함께 사용하거나 해당 코드는 우선적으로 사용할 것 권장 See also: KNT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정보, 커뮤니케이션 산업, TTA 음향사운드공학, UDM 디지털음악 및 오디오: 소비자 / 사용자가이드, UGM 디지털뮤직: 전문가용 | 1.4 | |
C | 언어, 언어학 학술, 전문가용 혹은 일반 성인 독자 대상 도서 모두에 C* 코드 사용할 수 있음. 다만, 최상위 대분류 코드인 C 코드 자체를 사용할 수 없으며, 하위에 속한 C* 코드만 사용할 수 있음. 모든 C* 코드는 다음의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필요한 경우 해당 언어 수식자 2*와 함께 장소 수식자 1*과 함께 사용할 것(예: 영어/언어 및 영국/장소). 또한 필요한 경우 적절한 시기 수식자 3*과 교육관련 수식자 4* (학년 혹은 레벨 표시 등)와 함께 사용할 것 | 1.4 | |
CB | 언어: 일반, 참고서적 모든 CB* 코드에 적절한 언어 수식자 2*와 함께 사용할 것 | ||
CBD | 사전 용어 사전이 여기에 해당. 적절한 언어 수식자 2* 함께 사용할 것 | 1.4 | |
CBDX | 이중어 및 다중어 사전 적절한 언어 수식자 2* 함께 사용할 것 | 1.3 | |
CBF | 유의어사전 적절한 언어 수식자 2* 함께 사용할 것 | 1.3 | |
CBG | 활용 및 문법 가이드 적절한 언어 수식자 2* 함께 사용할 것 | 1.3 | |
CBP | 공개연설, 발표 조언 및 가이드 일반 대중 앞에서 공개연설하는 방법, 프레젠테이션 준비 및 프레젠테이션하기 도서에 사용할 것. 결혼 축사는 WJW 코드 함께 사용하고 비즈니스 프레젠테이션은 KJP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4 | |
CBV | 글쓰기 | ||
CBVS | 시나리오 작법 | ||
CBW | 글쓰기 및 편집 가이드 일반적인 글쓰기 가이드뿐 아니라 저널, 테크니컬 라이팅, 서신 작성 등도 여기에 해당 | 1.3 | |
CBX | 언어: 역사, 일반 언어에 관한 일반적이거나 대중적인 도서가 여기에 해당. 상대적으로 과학적이거나 학술적 연구 목적 도서는 CF* 코드 사용 권장 | 1.4 | |
CF | 언어학 언어, 언어학에 관한 과학적 연구가 여기에 해당. 학술 및 전문서에 CF* 코드 사용 | 1.4 | |
CFA | 언어철학 See also: GTD 기호학 | ||
CFB | 사회 언어학 | ||
CFC | 문해 See also: JNF 교육전략 및 정책, VSL 성인용 쓰기/읽기 가이드 | ||
CFD | 심리 언어학 및 인지 언어학 신경 언어학, 언어 심리학이 여기에 해당 | 1.4 | |
CFDC | 언어 습득 | ||
CFDM | 이중어 및 다중어주의 | ||
CFF | 역사비교언어학 어원학, 어족 연구가 여기에 해당 See also: CBX 언어: 역사, 일반 | ||
CFFD | 방언, 슬랭, 전문용어 필요한 경우 적절한 장소 수식자 1*과 언어 수식자 2*와 함께 사용하고 사전류일 경우 CB* 코드도 함께 사용할 것 See also: WHL 속어, 사투리유머 | 1.4 | |
CFG | 의미론, 담화 분석, 문체론 화용론, 수사법, 어휘론 등이 여기에 해당 | ||
CFH | 음성학, 음운론 | ||
CFK | 문법, 통사론, 형태론 | ||
CFL | 고문서학 고대글자 및 체계 연구가 여기에 해당 | 1.2 | |
CFLA | 문자, 알파벳 | ||
CFM | 사전학 | ||
CFP | 번역 및 통역 해석학이 여기에 해당 | ||
CFX | 전산 및 코퍼스언어학 | 1.3 | |
CFZ | 수화, 점자, 기타 언어소통 | ||
CJ | 어학 언어 교육, 학습에 관한 모든 도서는 CJ* 사용할 것. 필요한 경우 적절한 언어 수식자 2*와 교육관련 수식자 4* 함께 사용할 것. 언어학습의 다양한 측면을 다룬 도서의 경우 JN* 코드 함께 사용할 것. 어린이 및 청소년 어학도서는 YPC* 코드 혹은 YRD* 코드를 사용할 것을 권장함 See also: YPC* 학습서: 언어, 문학, 국어 and its sub-categories, 4LE* ELT/ESL 학습, 과정, 시험 및 자격증 and its sub-categories, 4LZ* ELT/ESL 이외의 특정 언어학습, 과정, 시험 및 자격증 and its sub-categories | 1.4 | |
CJA | 어학: 교수법 및 방법론 | ||
CJAB | 어학 교수 및 학습: 모국어 모국어 교육을 위한 모든 자료에 사용할 것 See also: YPCA 학습서: 국어 | 1.4 | |
CJAD | 어학 교수 및 학습: 외국어 외국어 학습을 위한 모든 자료에 사용할 것 See also: YPCK 학습서: 외국어, 4L* 언어학습과정 및 시험 and its sub-categories, 4TP CLIL, 4TQ IBE | 1.4 | |
CJB | 어학: 교육, 학습물, 수업 | ||
CJBG | 어학 : 문법, 어휘, 발음 동사, 명사, 형용사, 접속사, 구절, 문장, 숙어, 관용구가 여기에 해당 | 1.4 | |
CJBR | 어학: 독해 (리더스) 교재 언어학습자를 위해 콘텐츠를 단순화 시키거나 처음부터 어학용으로 개발된 도서에 사용. 이러한 도서는 일반적으로 레벨 등 난이도가 표시되어 있음. 언어 수식자 2* 및 교육관련 수식자 4*와 함께 사용하고 추가적인 주제어로 해당 콘텐츠의 주제 또는 장르를 나타낼 수 있음 (예: 소설인 경우 F* 코드 해당 주제를 추가주제어로 사용) | 1.4 | |
CJBT | 어학: 독학교재 언어학습 독학용 교재가 여기에 해당. 적절한 언어 수식자 2* 및 교육관련 수식자 4*와 함께 사용할 것 See also: WTK 여행용 회화 | 1.3 | |
CJC | 어학: 기술별 적절한 언어 수식자 2*와 교육관련 수식자 4*와 함께 사용할 것 | 1.3 | |
CJCK | 어학: 회화 적절한 언어 수식자 2*와 교육관련 수식자 4*와 함께 사용할 것 | 1.3 | |
CJCL | 어학 : 듣기 적절한 언어 수식자 2*와 교육관련 수식자 4*와 함께 사용할 것 | 1.3 | |
CJCR | 어학: 독해 적절한 언어 수식자 2*와 교육관련 수식자 4*와 함께 사용할 것 | 1.3 | |
CJCW | 어학: 작문 적절한 언어 수식자 2*와 교육관련 수식자 4*와 함께 사용할 것 | 1.3 | |
CJP | 어학: 목적별 적절한 언어 수식자 2*와 교육관련 수식자 4*와 함께 사용하고 여기에 추가적 주제어로 해당 주제 코드도 함께 사용할 것 | 1.4 | |
CJPD | 어학: 비즈니스, 전문직업 적절한 언어 수식자 2*와 교육관련 수식자 4*와 함께 사용하고 여기에 추가적 주제어로 해당 주제 코드도 함께 사용할 것 (예: 비즈니스용 어학 교재인 경우 KJ* 코드를 언어 수식자 2*, 교육관련 수식자 4*와 함께 사용) | 1.4 | |
CJPG | 어학 : 학술, 기술, 과학용 적절한 언어 수식자 2*와 교육관련 수식자 4*와 함께 사용하고 여기에 추가적 주제어로 해당 주제 코드도 함께 사용할 것 (예: 과학용 어학도서인 경우 적절한 P* 코드와 함께 언어 수식자 2*, 필요한 경우 교육관련 수식자 4*도 함께 사용할 것) | 1.4 | |
D | 인물, 문학, 문학연구 학술, 전문가용 도서 및 일반 성인 대상 도서에 모두 D* 코드 사용할 것. 다만, 최상위 대분류 코드인 ‘D’ 자체를 사용해서는 안 되며, 하위에 속한 특정 주제의 코드 D* 코드를 선택할 것. 모든 D* 코드에는 필요한 경우 적절한 다른 주제어 코드나 특히 스타일 수식자 6*, 장소 수식자 1*, 언어 수식자 2*, 시기 수식자 3*을 함께 사용할 것 | 1.4 | |
DB | 고대, 고전, 중세의 글 유럽 르네상스의 글이 여기에 해당. 일반적으로 비전문가는 읽을 수 없는 고대어 혹은 고어로 쓰인 글, 주석이 포함된 버전에 DB* 코드 사용할 것. 현대의 일반 독자가 읽을 수 있는 글, 작품(이러한 글들은 현대어로 번역되었거나 현대에 와서 쉬운 형태로 재작성된 글, 작품을 의미)은 해당 글의 주제를 찾아 선택 권장함(예를 들어, 소설의 경우 F* 코드를, 시의 경우 DC*, 희곡의 경우 DD*, 역사인 경우 N*, 철학인 경우 QD* 등을 선호하며 만일 DB* 코드와 함께 사용한다면 메인주제어는 DB* 보다는 이들 주제를 나타내는 코드를 선택할 것을 권장함) | 1.4 | |
DBS | 고대 영웅전설, 서사시 고대 혹은 중세 영웅전설이나 서사시에 사용(원문, 주석 포함 버전 혹은 현대 번역문 모두 포함). 보다 최근의 서사시인 경우 DC* 코드에 스타일 수식자 6EH(서사시) 함께 사용 권장 See also: FT 세대전설, FN 전래, 신화, 동화 | 1.1 | 1.4 |
DBSG | 고대 그리스, 로마 문학 고대 그리스어, 라틴어 작가가 쓴 전통 신화 및 전설로 원문, 주석본 혹은 현재 번역본의 고전 서사, 산문, 시, 또는 희곡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QRSG 고대그리스종교 및 신화, QRSL 고대로마종교 및 신화 | 1.1 | 1.4 |
DBSN | 아이슬란드, 고대 스칸디나비아 전설 원문, 주석을 달았거나 현대에 와서 재해석된 버전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QRSW 스칸디나비아종교 및 신화 | 1.1 | 1.3 |
DC | 시 필요한 경우 DC* 코드는 적절한 스타일 수식자 6*과 함께 사용할 것 | 1.4 | |
DCA | 시: 고전, 20세기 이전 필요한 경우 DCF 코드, DCQ 코드, DB*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4 | |
DCC | 시: 근현대 (1900년 이후) 필요한 경우 DCF 코드, DCQ 코드, DCR*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4 | |
DCF | 시: 시인별 필요한 경우 DCA 코드, DCC 코드, DCR*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4 | |
DCQ | 시선집 장르별 혹은 전통별 시선집이 여기에 해당. 필요한 경우 DCA 코드, DCC 코드, DCR* 코드 함께 사용할 것. 호주 시선집, 멕시코 시선집 처럼 장소가 중요할 경우 특정 장소를 가리키는 장소 수식자 1*과 함께 사용하고 특정 시기가 의미 있는 시선집의 경우 시기 수식자 3*을 함께 사용하고 특정 언어가 시선집의 핵심 요소일 경우 언어 수식자 2*와 함께 사용할 것(예를 들어, 앵글로 섹슨어로 된 시선집이 현대 언어로 해석되어 두 개 언어 모두 실은 경우 해당 시들은 앵글로 섹슨어로 된 시들임을 강조하기 위해 언어 수식자 함께 사용) See also: DNT 문집: 일반 | 1.4 | |
DCR | 시형식 Use for: collections of poetry by single or multiple poets, where the form is one of the major aspects for classification or search. Use all DCR* codes with: other DC* or DB* codes as appropriate | 1.4 | |
DCRB | 시형식: 하이쿠 일본 시 형식, 센류, 하이카이가 여기에 해당 | 1.4 | |
DCRC | 시형식: 단가 일본 시 형식, 쿄카, 와카가 여기에 해당 | 1.4 | |
DCRG | 시형식: 가잘 | 1.4 | |
DCRH | 시형식: 캘리그램 | 1.4 | |
DCRL | 시형식: 리머릭, 5행 희시 | 1.4 | |
DCRS | 시형식: 소네트 | 1.4 | |
DD | 희곡 모든 DD* 코드는 장소나 시기, 특정 스타일이 연관되어 있거나 중요할 경우 적절한 장소 수식자 1*, 시기 수식자 3*, 스타일 수식자 6* 함께 사용할 것. 또한 추가적 주제어로 드라마 혹은 극의 핵심 주제를 가리키기 위해 FX* 코드(서사적 주제) 추가할 수 있음 See also: ATFD 영화 시나리오, 스크립트, ATJD TV 방송 시나리오, 스크립트, 공연, ATLD 라디오 대본, 스크립트, 공연 | 1.4 | |
DDA | 희곡: 고전, 20세기 이전 | ||
DDC | 희곡: 근현대 (1900년 이후) | ||
DDL | 희극 익살극, 촌극이 여기에 해당. 다양한 전통 코미디극에 사용할 것 | 1.2 | 1.4 |
DDT | 비극 비극, 복수극이 여기에 해당 | 1.2 | 1.3 |
DDV | 독백극/대화극 | 1.4 | |
DN | 인물, 소설이외의 산문 자서전 등이 여기에 해당. 가급적 모든 DN* 코드에 관련 주제 코드 함께 사용할 것. 예를 들어 골프 스타는 DNBS 코드와 함께 SFH (골프) 코드 복수 선택 See also: FC 인물소설 | 1.4 | |
DNB | 인물: 일반 | ||
DNBA | 자서전: 일반 | ||
DNBB | 인물: 경제인 | ||
DNBB1 | 자서전: 경제인 | ||
DNBF | 인물: 예술인, 연예인, 방송인 | 1.4 | |
DNBF1 | 자서전: 예술인, 연예인, 방송인 | 1.4 | |
DNBH | 인물: 역사인물, 정치인, 군인 | ||
DNBH1 | 자서전: 역사인물, 정치인, 군인 | ||
DNBL | 인물: 작가 문학 전기, 소설가, 시인, 극작가, 언론인 등의 전기가 여기에 해당 | 1.4 | |
DNBL1 | 자서전: 작가 문학 자서전, 소설가, 시인, 극작가, 언론인 등의 자서전이 여기에 해당 | 1.4 | |
DNBM | 인물: 철학자, 사회과학자 | 1.2 | |
DNBM1 | 자서전: 철학자, 사회과학자 | 1.2 | |
DNBP | 인물: 모험가, 탐험가 | 1.3 | |
DNBP1 | 자서전: 모험가, 탐험가 | 1.3 | |
DNBR | 인물: 왕족 | ||
DNBR1 | 자서전: 왕족 | ||
DNBS | 인물: 스포츠인 | ||
DNBS1 | 자서전: 스포츠인 | ||
DNBT | 인물: 과학자, 기술자, 의료계종사자 | ||
DNBT1 | 자서전: 과학자, 기술자, 의료계종사자 | ||
DNBX | 인물: 종교인, 영적인물 | ||
DNBX1 | 자서전: 종교인, 영적인물 | ||
DNBZ | 인물열전 한 권에 여러 인물의 전기를 모아놓은 도서가 여기에 해당. 가능하면 인물들의 활동 분야를 나타내는 DNB*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See also: GBCB 인물사전 | ||
DNC | 회고록 일반적으로 회고록은 자서전에 비해 삶의 일부분(예: 어린 시절, 정치인의 정치 시절 등)만 다루는 경우가 많음. 따라서 회고록은 자서전의 DNB* 코드에서 인물이 활동한 분야를 나타내는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
DND | 일기, 편지, 저널 자서전이나 회고록처럼 특별한 목적으로 작성되는 작품이라기보다는 1명 이상의 사람 간에 주고받은 서신을 모은 서간첩을 포함하여 일기나 저널(기사)이 들어 있는 작품인 경우 여기에 해당. 필요한 경우 자서전 주체가 활동한 분야를 나타내는 DNB*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4 | |
DNG | 동물의 생애 공연동물, 경주마, 구조동물 등 특별한 동물의 생애를 다룬 도서가 여기에 해당 | 1.3 | |
DNL | 에세이, 문학에세이 순수(문학) 에세이 혹은 수필집에 사용. 특정 주제를 다룬 에세이일 경우 해당 주제 코드에서 선택할 것. 예를 들어 경제에세이는 경제, 철학에세이는 철학 주제 코드 내에서 선택하거나 DNL 코드와 특정 주제코드 함께 사용할 것 | 1.3 | |
DNP | 르포, 기사, 칼럼 저작집 인터뷰가 여기에 해당. 일반적으로 저널리즘 스타일로 작성되며 이전에 뉴스 미디어나 원작(원문)이 출간됐을 수 있음. 필요한 경우 특정 주제를 가리키는 적절한 주제어 코드 함께 사용할 것 (예: 정치 관련 주제일 경우 JP* 코드를, 경제와 관련된 경우 KC* 코드를, 혹은 일반적인 기사일 경우 자체 코드 DNP 만 사용할 수도 있음) See also: WTL* 기행문 and its sub-categories, AJF 포토저널리즘 및 기록사진 | 1.4 | |
DNS | 연설문 연설을 기록한 연설문 모음집에 사용. 만일 특정 주제와 관련된 연설문일 경우 해당 주제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See also: QRVH 설교 | ||
DNT | 문집: 일반 시선집을 제외한 모든 문집에 사용. 특정 주제나 문학 형태를 나타내는 다른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See also: DCQ 시선집 | ||
DNX | 실화: 일반 유명한 실제 사건을 서사적 혹은 저널리즘적 스타일로 쓴 작품일 경우 DNX* 코드 사용할 것 | 1.4 | |
DNXC | 범죄 실화 JKV* 코드 혹은 기타 적절한 다른 코드 함께 사용할 것 | 1.3 | |
DNXC3 | 범죄실화: 연쇄살인범 | 1.3 | |
DNXH | 발견 실화 역사적 혹은 과학적 발견일 경우 여기에 해당 | 1.2 | |
DNXM | 전쟁, 전투 실화 | ||
DNXP | 영웅, 인간의 한계, 생존 실화 사고, 갈등, 재난 등에서 발생한 신체적 시련을 다룬 실화에 사용 See also: DNXR 학대, 부당함에서 생존 실화 | 1.2 | |
DNXR | 학대, 부당함에서 생존 실화 고통에 초점을 맞춘 회고록일 경우 여기에 해당함. 계획적인 학대, 법의 오판, 범죄 피해 등에서 발생한 신체적, 정신적 시련에 관한 실화에 사용. 만일 범죄 자체에 초점이 맞춰질 경우 DNXC 코드 사용하는 것이 좋음 See also: DNXC 범죄 실화, DNXP 영웅, 인간의 한계, 생존 실화 | 1.2 | 1.3 |
DNXZ | 성애 고백 및 실화 | ||
DS | 문학: 문학사 및 평론 비평하는 작품의 언어를 가리키기 위해 적절한 언어 수식자 2*와 함께 사용할 것. 문학 비평이 특정 국가 혹은 지역 언어 작품과 관련되어 해당 장소를 가리킬 때 장소 수식자 1*과 함께 사용할 것 (예를 들어 호주의 영어 문학, 멕시코의 스페인어 문학 비평). 비평하는 작품 자체 (예: 소설)나 해당 작품이 출간된 장소를 가리키기 위해 장소 수식자를 사용하지 말 것. 해당 연구의 기간을 좀 더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시기 수식자 3*과 함께 사용할 수 있음 | 1.4 | |
DSA | 문학 이론 | ||
DSB | 문학연구: 일반 | ||
DSBB | 문학연구: 고대, 고전, 중세 | 1.1 | |
DSBC | 문학연구: 1400-1600년 | ||
DSBD | 문학연구: 1600-1800년 | ||
DSBF | 문학연구: 1800-1900년 | ||
DSBH | 문학연구: 1900-2000년 | ||
DSBH5 | 문학연구: 탈식민문학 | 1.4 | |
DSBJ | 문학연구: 2000년 이후 | ||
DSC | 문학연구: 시, 시인 시 혹은 개별 시인에 대한 비평, 시 감상을 포함하여 시에 대해 이야기하는 도서가 여기에 해당 | 1.4 | |
DSG | 문학연구: 희곡, 극작가 | ||
DSK | 문학연구: 소설, 소설가, 산문가 | ||
DSM | 비교문학 | 1.2 | |
DSR | 문학 참고도서 | ||
DSRC | 문학 지침서, 서평 및 가이드 See also: FZ 소설 자매편, XR* 그래픽노블, 만화: 가이드 and its sub-categories | ||
DSY | 어린이, 청소년 문학 연구: 일반 | ||
DSYC | 어린이, 청소년 서평 및 가이드 | ||
F | 소설 및 연관 상품 최상위 대분류 코드인 ‘F’ 코드 자체는 사용할 수 없으며 소설의 특정 주제를 나타내는 하위 코드인 F* 코드를 선택할 것. 다음의 경우 F* 코드와 함께 해당 주제어 코드 혹은 수식자 코드 함께 사용할 것: 작품과 연관된 특정 장소나 시기가 있을 경우 장소 수식자 1*, 시기 수식자 3*과 함께 사용할 것. F* 코드는 해당 작품의 서사적 테마를 표현하기 위해 논픽션 주제어 코드를 함께 사용할 수 있음. 그러나 모든 소설의 메인주제어는 반드시 F* 코드여야 하며, 서사적 테마 등을 표현하기 위한 논픽션 주제어 코드는 추가적으로만 선택 가능함을 주의할 것. FX* 코드는 강력한 기저 주제를 나타내는데 사용될 수 있음. 또한 이러한 서사 테마 주제어는 작품 속에서 강력한 서사적 어필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흥미 수식자 중 5H*(공휴일, 행사, 시즌 관심사), 5J*(특정 대상), 5L*(인생의 단계), 5P*(특정 집단 및 문화 관련)와 함께 사용할 수도 있음. FY* 코드는 소설의 특별한 형태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할 수 있음 | 1.4 | |
FB | 소설: 일반 및 문학 날짜가 알려지지 않았거나 클래식/현대의 구분이 적용되지 않는 일반적인 비장르적 소설이 여기에 해당. FB* 코드는 적용 가능한 테마나 특징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FX* 코드나 FY* 코드와 함께 사용할 수 있음. FB* 코드는 소설의 다양한 장르를 가리키는 주제어 코드처럼 소설의 메인주제어로 사용할 수 있음. 다만, 적절한 장르적 메인 주제어가 있을 경우 일반 소설을 나타내는 FBA 코드나 FBC 코드보다 해당 장르 주제어를 메인주제어로 선택할 것을 권장 | 1.4 | |
FBA | 근현대소설 최근 수십 년 내에 최초 출간된 문학 및 비장르 소설 작품에 사용할 것 | 1.4 | |
FBAN | 거리 문학 도시 소설이 여기에 해당. 보통 작품 배경이 도시나 도심지역 소수민족 거주지로 주로 어둡고 도시 삶의 수면 아래를 다룬 작품이 많음 | 1.3 | |
FBC | 고전소설 일반적으로 고전, 클래식으로 널리 인식되는 문학 및 비장르 소설 작품으로 반드시 수십 년 동안 출간이 이어져왔을 필요는 없음. 가급적 일반적인 클래식을 의미하는 본 주제어 코드보다 특정 장르의 클래식(고전) 주제어 코드가 있을 경우 해당 주제어 코드를 사용할 것을 권장 See also: DBS* 고대 영웅전설, 서사시 and its sub-categories, FFC 고전범죄, 미스터리소설, FLC 고전 SF | 1.4 | |
FC | 인물소설 허구적 생활문이나 자전적 이야기, 자서전이 여기에 해당. 실존 인물의 삶에 가상의 설정(자서전을 바탕으로 한 소설 포함)이 상당 부분 가미된 작품이 여기에 해당. 필요한 경우 FV (역사 소설)과 함께 사용할 수 있음 See also: DN* 인물, 소설이외의 산문 and its sub-categories | 1.1 | 1.4 |
FD | 사변소설 | ||
FDB | 디스토피아 및 유토피아소설 가공의 이상향 혹은 그 반대의 부정적인 암흑세계를 그린 소설에 사용. 적절한 FL* 코드 혹은 다른 F*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1 | |
FDK | 대체역사소설 판타지나 SF와 별개로 역사 속의 어느 사건이 현재와 다른 결말을 낳게 되면서 벌어지는 상상의 세계를 다룬 작품이 여기에 해당. 예: 2차세계대전의 결말이 지금과 다른 경우 | ||
FDM | 아프로퓨쳐리즘/암울한 사변물 블랙 사이언스 픽션의 경우 FL* 코드와 함께 사용하고 혹은 필요한 경우 FK* 코드 FM*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4 | |
FF | 범죄, 미스터리소설 | ||
FFC | 고전범죄, 미스터리소설 클래식(고전)으로 널리 간주되거나 제공된 소설 작품이 여기에 해당. 반드시 수십 년 동안 출간이 이어져 왔을 필요는 없음 | 1.4 | |
FFD | 범죄 및 미스터리: 사설탐정 / 아마추어 형사 핵심 조사관이 경찰, 사법 조사관 등 공식적 직업이 아닌 스토리가 여기에 해당 | 1.3 | |
FFH | 역사범죄 및 미스터리 과거 시대를 다룬 미스터리 소설이 여기에 해당. 예를 들어 빅토리아 시대, 중세시대, 로마시대 등. 필요한 경우 장소 1*이나 시기 3* 수식자를 함께 사용할 것 | 1.3 | |
FFJ | 범죄, 미스터리: 코지미스터리 마을, 전통사회 등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소규모 사건을 다룬 미스터리 작품으로 전형적으로 아마추어 탐정의 활약이 여기에 해당 | ||
FFK | 코믹(유머) 범죄, 미스터리 | ||
FFL | 범죄, 미스터리: 하드보일드, 느와르 소설 | ||
FFP | 범죄, 미스터리: 경찰 소설 경찰, 법의학관, 사법 조사관 등이 여기에 해당 | 1.3 | |
FFS | 범죄, 미스터리: 여자탐정 | ||
FG | 스포츠소설 스포츠 분야를 특정하기 위해 적절한 S*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1 | |
FH | 스릴러 / 서스펜스소설 | ||
FHD | 스파이소설 | ||
FHK | 하이테크추리소설 소설 흐름의 중요 부분이 과학, 기술(컴퓨터 기술 포함), 의료 등과 관련 깊은 스릴러 소설이 여기에 해당 | 1.1 | |
FHP | 정치, 법정스릴러 | ||
FHQ | 난해한 스릴러 성배처럼 고대의 전통, 비밀, 난해한 지식을 다루는 스릴러 소설이 여기에 해당 | ||
FHX | 심리스릴러 | ||
FJ | 모험소설 주로 신체적, 때로는 폭력적인 행동을 강조하는 작품으로 종종 독자에게 위험을 느끼게 하고 그로 인해 흥분이나 모험심을 주기 위한 작품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FH 스릴러 / 서스펜스소설 | 1.4 | |
FJH | 역사모험소설 과거 시대를 다룬 모험 소설이 여기에 해당. 가능하면 FJM* 코드 사용 권장. 필요한 경우 시대를 이해할 수 있는 장소 1*, 시기 3* 수식자 함께 사용할 것 | ||
FJM | 전쟁, 전투 및 군대모험소설 특수 부대 이야기가 여기에 해당. 주로 전쟁 혹은 전투의 액션이나 모험의 측면을 강조하는 작품에 사용하며 전쟁이나 갈등이 스토리 배경의 일부이거나 전쟁의 영향을 조사하는 작품으로 메인주제가 액션이나 모험이라고 보기 어려운 경우에는 다른 F* 코드 사용을 권장 | 1.4 | |
FJMC | 나폴레옹전쟁소설 | ||
FJMF | 세계1차대전소설 | ||
FJMS | 세계2차대전소설 | ||
FJMV | 베트남전소설 | ||
FJN | 바다 이야기 해군 및 해양소설, 해상소설이 여기에 해당. 선원, 해적, 어부 등이 등장하는 모험 혹은 액션 이야기로 주요 배경이 바다인 경우에 사용 | 1.3 | 1.4 |
FJW | 모험소설: 서부 | ||
FK | 공포, 초자연소설 | ||
FKC | 고전 공포, 유령 이야기 고전 고딕 공포가 여기에 해당. 일반적으로 클래식(고전)으로 널리 인식되는 공포 유령 이야기가 여기에 해당되며 반드시 수십 년 동안 출간이 이어져 왔을 필요는 없음 | 1.4 | |
FKM | 현대 공포 및 유령 이야기 근현대를 배경으로 한 공포 소설이 여기에 해당. 일반적으로 최근 수십 년 내에 최초 출간된 작품 | 1.4 | |
FKW | 오컬트소설 | ||
FL | SF | ||
FLC | 고전 SF 클래식(고전)으로 널리 인식되거나 제공된 SF 소설로 반드시 수십 년 동안 출간이 이어져 왔을 필요는 없음 | 1.4 | |
FLG | SF: 시간여행 | ||
FLM | SF: 스팀펑크 디젤펑크, 레트로퓨처리즘이 여기에 해당. 현대의 지배적인 기술 (컴퓨터 등) 대신 19세기 증기기관이 발달하여 과거와 현재를 지배하는 SF 소설이 여기에 해당 | 1.3 | |
FLP | SF: 가까운 미래 | 1.3 | |
FLPB | SF: 사이버펑크 / 바이오펑크 고도로 기술이 발전된 사회에서 하찮거나 밑바닥 생활을 하는 인물에 기반한 SF 혹은 바이오 기술이나 유전 공학의 영향력에 초점을 맞춘 SF가 여기에 해당 | 1.3 | |
FLQ | SF: 종말론 | 1.1 | |
FLR | SF: 군대 군대를 배경으로 하거나 체계적인 무기 사용이 이야기의 핵심인 SF 소설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FLS SF: 스페이스오페라 | 1.1 | |
FLS | SF: 스페이스오페라 우주를 배경으로 한 SF 소설로 보통 앞선 문화, 기술과 관련 있는 작품이 여기에 해당 | ||
FLU | SF: 외계인, UFO 제일 접촉(first contact), 외계인 침공이 여기에 해당 | 1.1 | 1.3 |
FLW | SF: 우주 모험 우주 식민화가 여기에 해당 | 1.3 | |
FM | 판타지 | ||
FMB | 서사판타지/영웅판타지 하이 판타지가 여기에 해당 | 1.3 | |
FMH | 역사판타지 | ||
FMK | 코믹(유머)판타지 | ||
FMM | 마술적 사실주의 환상적, 마법적, 신화적 혹은 초자연적 요소가 실제 세계 혹은 평범한 환경에 포함된 작품에 사용할 것. 라틴아메리카 문학에서 자주 등장하는 요소처럼 마법적 사실주의가 포함된 문학 작품일 경우 FBA 코드 혹은 FBC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1 | 1.4 |
FMR | 판타지로맨스 로맨스 장르의 요소와 전형을 사용하되 판타지 요소를 핵심으로 다루는 소설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FRV 다크로맨스, FRT 로맨스: 판타지 및 파라노말 | 1.3 | |
FMT | 다크판타지 좀 더 어둡고 무서운 주제를 다룬 판티지로 주로 우울하고 위협적인 분위기 혹은 공포심이나 죽음 등의 요소가 가미된 소설이 여기에 해당 | 1.3 | |
FMW | 현대판타지 근현대를 배경으로 한 판타지 소설에 사용할 것 | 1.3 | |
FMX | 도시판타지 | ||
FN | 전래, 신화, 동화 이야기 형태로 된 신화, 전설, 민화, 동화, 우화가 여기에 해당. 성인 대상으로 전통적 이야기나 민속에서 영감을 받은 소설 작품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DBS* 고대 영웅전설, 서사시 and its sub-categories, QRS* 고대종교 및 신화 and its sub-categories, JBGB 민속, 신화, 전설, YFJ 어린이, 청소년 소설: 클래식, 신화, 전설, YNRU 어린이, 청소년 교양: 고대종교, 신화 및 전설 | 1.4 | |
FNF | 동화 및 민화 특정 문화의 민속과 동화가 이야기 형태로 전달되는 작품이 여기에 해당. 주로 성인 대상으로 전통 이야기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거나 전래동화에서 영감을 받은 이야기에 사용할 것 See also: JBGB 민속, 신화, 전설, YFJ 어린이, 청소년 소설: 클래식, 신화, 전설, YNXB4 어린이, 청소년 교양: 요정 등 | 1.4 | |
FNM | 전설, 신화 특정 문화의 신화와 전설을 이야기 형식으로 전달하는 작품이 여기에 해당. 주로 성인 대상으로 이러한 유형의 전통 이야기 혹은 전통 신화에서 영감을 받아 새로운 형태로 스토리를 창작하거나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작품에 사용할 것. 필요한 경우 해당 전통을 가리키는 QRS* 코드 혹은 QRR*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See also: DBS* 고대 영웅전설, 서사시 and its sub-categories, JBGB 민속, 신화, 전설, QRS* 고대종교 및 신화 and its sub-categories, YFJ 어린이, 청소년 소설: 클래식, 신화, 전설, YNRU 어린이, 청소년 교양: 고대종교, 신화 및 전설 | 1.4 | |
FP | 에로틱소설 로맨스가 아닌 명백하게 성관계나 관련 주제를 다룬 에로틱에 바탕을 둔 이야기가 여기에 해당. FRX 코드(에로틱로맨스)와 함께 사용하지 말 것. 필요한 경우 수식자 5X 사용할 것 See also: FRX 에로틱로맨스 | 1.3 | |
FQ | 현대 대중소설 로맨틱 코미디, 필굿(feel good, 기분이 좋아지는 소설), 업릿(up-lit, 독자를 낙관적으로 느끼게 하는 소설), 슬라이스 오브 라이프(slice of life, 인생의 단면을 보여주는 소설)가 여기에 해당. 근현대를 배경으로 일반적으로 가볍고 때로는 고된 방식으로 사실적인 일상의 주제 또는 일상생활을 다루는 소설에 사용할 것 | 1.1 | 1.4 |
FR | 로맨스 | ||
FRD | 현대로맨스 문명의 이기와 지금의 사회적 관심으로 전 세계 누구라도 이해할 수 있는 삶과 직업을 가진 주인공을 다룬 로맨스가 여기에 해당 | 1.3 | |
FRF | 로맨스: 건전한 내용 가슴 따뜻해지고 깔끔하고 편안한 로맨스가 여기에 해당. 폭언이나 신체적 친밀한 행동을 포함하지 않는 로맨스에 사용. 만일 종교적 로맨스일 경우 FW 코드와 함께 사용하고 흥미 수식자 5* 중 적절한 5P* 코드 함께 사용할 것 | 1.3 | |
FRH | 역사로맨스 일반적으로 작가가 살던 시대 이전의 과거를 배경으로 한 로맨스가 여기에 해당. 만일 작품 배경이 된 시대가 시대정신, 그 시대의 사회적 조건, 시대에 대한 상세 묘사가 있어 작품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할 경우 적절한 장소 1* 및 시기 3* 수식자 함께 사용할 것 | 1.3 | |
FRJ | 로맨스: 서부, 시골 혹은 오지 카우보이 로맨스가 여기에 해당. 주로 도시와 떨어진 농장, 목장, 소규모 시골의 지역사회를 배경으로 하는 소설이 여기에 해당 | 1.3 | |
FRM | 로맨틱서스펜스 | ||
FRP | 제복 연관 로맨스 군인, 소방관, 경찰, 파일럿, 승무원 등이 여기에 해당. 주인공이 제복을 입은 직업을 가진 로맨스가 여기에 해당 | 1.3 | |
FRQ | 로맨스: 의학 의사, 간호사 등이 주가 되는 로맨스 이야기가 여기에 해당 | 1.3 | |
FRT | 로맨스: 판타지 및 파라노말 뱀파이어, 늑대인간, 변신하는 인간을 다룬 로맨스가 여기에 해당. 판타지 장르, 신화적 창조물, 초자연적 요소와 혼합되어 있지만 로맨스가 주가 되는 소설이 여기에 해당. 필요한 경우 FM* 코드와 함께 사용 | 1.3 | |
FRU | 로맨스: 시간여행 | 1.3 | |
FRV | 다크로맨스 어두운 주제를 다룬 로맨스가 여기에 해당. 주로 반영웅적 캐릭터나 시련을 겪는 상황으로 악마적 혹은 공포적 주제가 사용됨 | 1.3 | |
FRX | 에로틱로맨스 노골적으로 성적인 내용을 담고 있으나 로맨스 시장을 겨냥한 작품이 여기에 해당. FP 코드와 함께 사용하지 말 것. 필요한 경우 수식자 5X 사용할 것 See also: FP 에로틱소설 | 1.3 | |
FS | 가정소설 가정 또는 소규모 가족생활에 관한 소설로 코드 FT(세대 전설)처럼 세대 간이 아닌 주로 가족 간 관계에 중점을 두는 소설에 사용할 것. 필요한 경우 다른 F*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See also: FT 세대전설 | 1.1 | 1.4 |
FT | 세대전설 가족 전설이 여기에 해당. 한 가족 또는 여러 연관되거나 상호 연결된 가족들의 삶과 흥망성쇄를 일정 기간동안 그리고 종종 여러 세대를 걸쳐 기록하는 장르 소설에 사용할 것. 종종 이러한 소설은 시리즈나 속편을 가지고 있음. 만일 로맨틱 사가(전설)인 경우 FR* 코드와 함께 사용하고 역사적 배경이 중요할 경우 FV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아이슬란드 전통 혹은 노르웨이 전통 사가에는 사용하지 말 것 See also: FS 가정소설 | 1.4 | |
FU | 유머소설 유머가 소설의 주된 목적이며 특징인 경우 여기에 해당. 다만 다른 특정 장르에 유머로 시작하는 주제어가 있을 경우 제외. 필요한 경우 다른 F*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
FUP | 풍자소설, 패러디 풍자적인 유머소설이나 기존 소설, 장르, 작가를 패러디한 소설일 경우 여기에 해당 See also: WHP 패러디(비소설), FYH 소설: 모방작품 | ||
FV | 역사소설 일반적으로 작가가 살던 시대 이전의 과거를 배경으로 한 이야기로 작품 배경이 된 시대가 시대정신, 그 시대의 사회적 조건, 시대에 대한 상세 묘사가 있어 작품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소설이 여기에 해당. 적절한 다른 F* 코드와 함께 사용. 적절한 장소 1* 및 시기 3* 수식자 함께 사용할 것. 가능하면 장르 소설 주제어 중 역사가 들어간 다른 구체적 주제어 선택할 것 See also: FFH 역사범죄 및 미스터리, FJH 역사모험소설, FMH 역사판타지, FRH 역사로맨스 | 1.3 | |
FW | 종교 및 영적인 소설 특정 종교, 영적 혹은 예지능력을 홍보할 목적인 소설이 여기에 해당. 필요한 경우 연관 코드로 5PG*를 사용하고, 사용 가능한 코드가 없을 경우 QR* 이나 VX* 코드 사용. 소설의 다른 F* 코드 함께 사용할 것 (예: 종교 로맨스일 경우 FR 코드 함께 사용) | 1.3 | |
FX | 소설: 서사 테마 로맨스 등 소설의 장르만을 주제어로 선택하여 해당 소설의 주제가 잘 전달되지 않을 경우 서사 테마 주제를 나타내는 FX* 코드를 추가적으로 선택하여 해당 소설의 주제를 명확히 전달할 수 있음. 모든 FX* 코드는 반드시 소설의 장르를 표현하는 다른 F* 코드와 함께 사용하고 혹은 작품의 중요한 서사적 주제를 표현하기 위해 DB* 코드, DC* 코드, DD* 코드 혹은 XQ* 코드를 함께 사용할 수 있음. FX* 코드는 필요한 경우 서사 테마를 보다 명확하게 정의하기 위해 논픽션 주제어와 함께 사용할 수 있음. 다만 주의할 것은 FX* 코드는 메인주제어로 선택할 수 없음. 반드시 추가적인 주제어로만 사용할 것 | 1.1 | 1.4 |
FXB | 서사 테마:성장 교양소설(성장소설)이 여기에 해당 | 1.1 | |
FXD | 서사 테마: 사랑 및 관계 강력한 인간 관계나 사랑이 중심 주제이지만 장르가 로맨스가 아닌 소설에 사용할 것. 이것은 스토리의 주요 주제 중 하나가 우정이나 가족 관계인 경우도 포함됨. 필요한 경우 관계의 종류를 특정하기 위해 적절한 흥미 수식자 5*를 함께 사용할 수 있음 | 1.3 | 1.4 |
FXE | 서사 테마: 환경 핵심 주제로 특정 환경 이슈를 소개하는 소설이 여기에 해당 | 1.2 | |
FXL | 서사 테마: 죽음, 상실, 비탄 핵심 주제로 상실, 비탄의 경험을 다룬 소설이 여기에 해당 | 1.2 | |
FXM | 서사 테마: 내면생활 내면의 성격이나 동기, 감정, 주인공의 성격 등을 강조한 소설이 여기에 해당. 심리스릴러일 경우 FHX 코드 사용할 것 | 1.1 | |
FXN | 서사 테마: 정체성/소속감 주인공(들)의 정체성(사회, 문화, 종교, 성별 등)을 찾거나 그 자체, 혹은 그러한 감정 등이 스토리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소설에 사용할 것. 필요한 경우 흥미 수식자 5*와 함께 사용할 것 | 1.4 | |
FXP | 서사 테마: 정치 정치 풍자를 포함해 정치적 관심이 녹아 있는 소설이 여기에 해당. 정치스릴러는 FHP 코드 사용할 것 | 1.1 | |
FXQ | 서사 테마: 추방, 망명, 이주 디아스포라, 분산, 망명, 비하, 강제이주, 문화적 전환, 강제 여행 등에 사용할 것 | 1.4 | |
FXR | 서사 테마: 장소감 실제 장소를 배경으로 한 소설(반드시 도시나 역사적인 장소일 필요는 없음)로 다른 곳에서는 느낄 수 없는 그 장소만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특성이 작품 전체에 녹아 있음. 장소 수식자 1*과 함께 사용할 것 | 1.2 | |
FXS | 서사 테마: 사회 이슈 작품의 중심 주제로 사회 문제나 이슈를 다루는 소설이 여기에 해당. 주요 사회적 이슈를 구체적으로 표현하려면 해당 논픽션 주제에 관한 JBF*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1 | 1.3 |
FY | 소설: 특별한 형태 장르나 유형을 나타내는 다른 F*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주의할 것은 FY* 코드는 메인 주제어로 사용할 수 없음. 반드시 추가적으로만 사용해야 함 | 1.4 | |
FYB | 단편 | ||
FYD | 서간체 소설 일련의 문서, 편지, 일기, 이메일, 블로그 등으로 씌여진 소설이 여기에 해당 | 1.3 | |
FYH | 소설: 모방작품 의도적으로 다른 작가의 스타일 (패러디보다는 경의를 표하는 방식으로)을 따라 쓴 소설로 모방한 작가 작품의 후속작품 혹은 인기 있는 캐릭터를 사용한 작품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FUP 풍자소설, 패러디 | ||
FYM | 소설: 매시업 주로 고전소설에서 볼 수 있는데 단편 서사에 공포를 사용하는 것처럼 기존 글을 다른 대비되는 장르와 결합한 소설이 여기에 해당. 다른 F* 코드 혹은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논픽션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See also: FUP 풍자소설, 패러디 | 1.1 | |
FYQ | 소설 특징: 야오이/BL소설 장르를 나타내는 다른 F*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예를 들어 로맨스 스토리인 경우 FR* 코드를, 만일 특정 세대에 관한 소설이면 5LKE* (청년) 코드 함께 사용할 것 See also: XAMT 만화: BL | 1.4 | |
FYR | 카테고리 소설, 연재 등 로맨스, 공상과학(SF), 기타 유형의 장르 소설로 보통 월을 기준으로 정기적으로 초단편이 출간되며 해당 연재물에 연재번호가 붙여짐. 해당 소설의 장르 혹은 유형을 가리키는 다른 F*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주의할 점은 이 코드는 메인주제어로 사용해서는 안 됨. 반드시 추가적으로 선택해야 함 | 1.3 | 1.4 |
FYS | 소설 특징: 라이트 노벨 성인 독자를 대상으로 한 단편 소설로 보통 대화와 캐릭터에 의해 작품이 전개되며 만화 혹은 만화와 유사한 스타일의 삽화가 등장함. 작품의 장르를 가리키는 다른 F*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필요한 경우 FYS 코드는 메인 주제어로 사용할 수 있음 | 1.4 | |
FYT | 번역소설 번역소설에 사용. 주의할 것은 원작 언어를 기술하기 위해 장소와, 언어 수식자를 사용하지 말 것. 원작언어는 테마가 아닌 다른 메타데이터 항목의 본문언어 중 원서의 본문언어 에 표시할 것. 다만 작품 배경이나 스토리와 관련된 장소 수식자는 사용할 수 있음. FYT 코드는 메인 주제어로 사용할 수 없음 | 1.4 | |
FYV | 소설: 영감을 받거나 개작된 소설 기존의 비도서 형태의 미디어 혹은 상품 (예를 들어 인기 영화, 온라인 게임, TV 시리즈에서 영감을 얻은 소설)의 파생작(스핀오프) 혹은 자매작, 소설화로 출간된 이야기가 여기에 해당. 작품의 장르나 유형을 가리키는 다른 F* 코드와 함께 사용하고 만일 코믹북이나 시로 출간되었다면 DB* 코드, DC* 코드, DD* 코드, XQ*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주의할 점은 영화로 만들어진 소설(소설이 먼저 출간)에는 사용하지 말 것 | 1.3 | 1.4 |
FYW | 소설 특징: 게임 연관 게임소설(LitRPG, GameLit, RoLit)이 여기에 해당. 비디오 게임처럼 구조화되거나 게임에서 볼 수 있는 것과 동일한 종류의 도전을 특징으로 하는 소설 또는 비디오 게임에 관한 것 혹은 비디오 게임으로 설정되어 있는 작품이 여기에 해당. 다른 F* 코드와 함께 사용하고 특히 필요한 경우 FL* 코드, FM*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4 | |
FZ | 소설 자매편 신화 세계를 나타낸 지도, 캐릭터 개요, 시리즈 가이드처럼 보통 인기 소설 (시리즈)의 자매편으로 무비판적임. 작품이 장르 혹은 유형을 나타내는 다른 F* 코드와 함께 사용하고 만일 해당 작품이 코믹북이나 시일 경우 DB* 코드, DC* 코드, DD* 코드, 혹은 XQ* 코드 함께 사용할 것 See also: DSR 문학 참고도서, XR* 그래픽노블, 만화: 가이드 and its sub-categories | 1.4 | |
G | 참고서적, 정보, 학제적 주제 학술, 전문가 혹은 일반 성인 독자 대상 도서에 모두 사용할 것. 다만, 최상위 대분류인 코드 ‘G’ 자체를 선택해서는 안 되며, 반드시 하위에 속한 주제어 코드 선택할 것. 필요한 경우 G* 코드는 다른 주제어 코드 혹은 수식자 코드와 함께 사용할 수 있음 | 1.4 | |
GB | 백과사전, 참고서적 | ||
GBA | 백과사전 일반 불특정주제를 다룬 백과사전만 해당 | ||
GBC | 참고서적 분야와 범위를 나타내는 다른 주제어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See also: CB* 언어: 일반, 참고서적 and its sub-categories, DSR* 문학 참고도서 and its sub-categories | ||
GBCB | 인물사전 WHO 시리즈 등이 여기에 해당. 분야 혹은 범위를 나타내는 다른 주제어 코드 함께 사용할 것 | 1.3 | |
GBCD | 주제사전 특정 주제를 다루는 사전에 사용할 것. 예: 법률사전, 용어사전. 적절한 다른 주제 코드 함께 사용할 것 | 1.2 | 1.4 |
GBCQ | 인용구, 속담, 격언 사전 특별한 목적을 위해 만든 잠언집, 명언집, 유용한 인용구 등이 여기에 해당 | 1.3 | |
GBCR | 참고문헌, 카탈로그 See also: AVD 디스코그래피 및 구매 가이드 | ||
GBCS | 연재물, 정기간행물, 초록, 색인 | ||
GBCT | 안내책자 이름, 주소, 전화번호와 같은 세부 정보와 함께 개인 또는 조직(일반적으로 알파벳순, 주제순 등)으로 나열한 도서에 사용할 것 | 1.4 | |
GBCY | 연감 | ||
GBD | 잡제 및 개요서 다양한 출처에서 수집된 여러 가지 요소가 혼합되어 있거나 여러 가지 주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인용문, 삽화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도서가 여기에 해당. 광범위한 주제를 다룰 경우 다른 해당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예: 동물 우화집은 WN* 코드와 함께 사용) See also: WDKX 일반상식, 퀴즈북 | 1.3 | |
GL | 도서관, 정보과학 / 박물관학 | ||
GLC | 도서관, 기록물, 정보관리 | ||
GLCA | 정보검색, 접속 | ||
GLF | 도서관 IT, 인터넷 및 전자정보 | ||
GLH | 장서개발 | ||
GLK | 도서목록 및 주제 관리 색인, 카탈로그, 주제분류가 여기에 해당 | ||
GLM | 도서관 정보서비스 대학, 전문가, 공공, 학교 도서관이나 참조문헌, 대출, 지역사회 서비스 등이 여기에 해당 | ||
GLP | 기록물 보관, 보존, 디지털 전환 | ||
GLZ | 박물관과 유물 연구 박물관 연구, 큐레이터, 문화유산 이해, 역사 보존이 여기에 해당. 문화적, 사회적으로 중요한 장소, 건물, 기념비, 유형, 무형, 자연 문화 유산 등의 보존 및 홍보에 관한 도서가 여기에 해당 See also: ABC 작품 보존, 복원, 보호, AGC 전시회 카탈로그, 컬렉션, NK* 고고학 and its sub-categories, RNK 환경보전, TNKX 건물보존 및 건축자재, WTHM 여행가이드: 박물관, 역사적장소, 갤러리 등 | 1.4 | |
GP | 학술정보: 일반 | ||
GPF | 정보이론 | ||
GPFC | 인공두뇌학과 시스템이론 시스템 통제 및 안정화, 예측이 여기에 해당 | ||
GPH | 데이터 사이언스 및 분석: 일반 데이터 시각화 및 인포그래픽, 대용량 데이터 세트, 빅데이터가 여기에 해당. 데이터 및 그 사용에 대한 학제적 접근일 경우에 사용할 것. 필요한 경우 다른 적절한 주제어와 함께 사용할 것 See also: UN* 데이터베이스 and its sub-categories, UX* 응용컴퓨팅 and its sub-categories, UYZF 정보시각화 | 1.4 | |
GPJ | 코딩 이론과 암호학 암호화가 여기에 해당 See also: URY 데이터암호화 | 1.4 | |
GPQ | 의사결정이론: 일반 See also: KJMD 경영: 의사결정 | ||
GPQD | 위험평가 위험 관리, 위험 분석이 여기에 해당 | 1.4 | |
GPS | 연구 방법: 일반 특정 분야의 연구 방법일 경우 해당 주제 코드와 함께 사용 See also: JHBC 사회연구 및 통계, KJT 오퍼레이션리서치 | 1.3 | |
GT | 학제간 연구 | ||
GTB | 학문의 역사 (주로 사회과학과 인문학) 영어표현의 과학(Science)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독일어의 학문(Wissenschaft: 모든 종류의 학문)이라는 용어에 포함되는 모든 전문영역 연구의 역사가 여기에 해당 See also: PDA 과학철학, PDX 과학사 | 1.1 | |
GTC | 언론정보학 언어적, 사회적, 산업과 기술을 포함한 모든 범위의 의사소통을 망라하는 도서 혹은 언론정보학 교과서 등에 여기에 해당 See also: JBCT* 미디어연구 and its sub-categories | ||
GTD | 기호학 See also: CFA 언어철학 | ||
GTK | 인지연구 학제적 접근일 경우 여기에 해당 See also: QDTM 심리철학, JM* 심리학 and its sub-categories, MKJ 신경과 및 임상신경생리학, PSAN 신경과학, UYQ* 인공지능 and its sub-categories, UXJ 사회, 행동과학의 컴퓨터응용프로그램 | 1.1 | |
GTM | 지역 및 국제연구 다루는 지리적 혹은 언어적 영역에 대해 광범위한 주제를 총망라한 학제적 접근일 경우 여기에 해당. 필요한 경우 장소 수식자 1* 혹은 언어 수식자 2*와 함께 사용할 것 See also: RGL 지역지리학 | 1.4 | |
GTP | 발달연구 See also: KCM 개발경제학, 개발도상국 | ||
GTQ | 세계화 | ||
GTT | 깃발, 상징물, 로고 See also: NHTG 계보, 문장, 이름 및 명예 | ||
GTU | 평화연구 및 갈등해소 See also: JWLP 평화유지활동 | ||
GTV | 협회 및 학회: 일반 See also: JPSN 국제기구 | ||
GTZ | 일반학부 및 성인교육 보통 학부 수준의 일반 연구 과정 혹은 성인교육을 위한 일반 지식 및 문화 정보를 대상으로 하는 학제 간 자료에 사용할 것. 시험 관련 도서일 경우 교육관련 수식자 4CN* 코드, 4CP* 코드, 4TN* 코드 함께 사용할 것 See also: WDKX 일반상식, 퀴즈북, YPWL 학습서: 학습일반: 교육역량 및 능력평가 | 1.4 | |
J | 사회, 사회과학 모든 J* 코드는 전문가 및 일부는 일반 성인 독자 대상 도서에 사용할 수 있음. 다만 일반인 대상 실용적 접근(실용서)인 경우 가급적 V* 코드에서 먼저 확인하고 없을 경우 J* 코드 사용할 것. J* 코드를 사용할 때는 필요한 경우 적절한 다른 주제어 코드 혹은 수식자 코드를 함께 사용할 것. 대부분 사회과학에서 다루는 주제는 광범위하여 대체용어나 이름을 가질 수 있으므로 가장 근접한 주제어를 선택할 것 | 1.4 | |
JB | 사회, 문화: 일반 사회적 이슈에 관한 일반, 학술서 모두 JB* 코드 사용. 필요한 경우 사회 교과서 및 기타 전문 분야에 관한 도서는 JH*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See also: VFV* 가족과 인간관계: 이슈 및 조언 and its sub-categories | ||
JBC | 문화, 미디어 연구 | ||
JBCC | 문화연구 교차문화 연구, 문화 정체성 연구, 문화유산 일반 연구, 사회의 현대 문화 연구가 여기에 해당. 특정 지역 또는 국가, 언어 그룹, 집단 등을 가리키기 위해 장소 수식자 1*, 언어 수식자 2*, 흥미 수식자 5P*를 함께 사용할 것 | 1.4 | |
JBCC1 | 대중문화 | ||
JBCC2 | 물질문화 인간과 사물 간의 관계, 사회에서 인공물의 역할, 사물의 제작, 역사, 보존 및 해석을 논하는 학제 간 분야에 사용할 것 | 1.3 | |
JBCC3 | 문화연구: 패션과 사회 문화 속 미의 개념, 신체 개념, 다양한 문화 혹은 사회의 패션이 여기에 해당. 역사적 접근인 경우 NHTB 코드 함께 사용하고, 필요한 경우 AKT* 코드 함께 사용할 것 | 1.4 | |
JBCC4 | 문화연구: 음식과 사회 전통, 습관, 관습, 의식, 다른 문화권의 음식과 음료와 관련된 금기, 무형 문화유산으로서의 음식 또는 음료를 조사한 도서에 사용할 것. 역사적 접근일 경우 NHTB 코드 함께 사용하고 필요한 경우 WB* 코드 함께 사용할 것 | 1.4 | |
JBCC6 | 문화연구: 관습과 전통 전통 의식 및 의식 연구, 사회, 제도, 전통 및 문화적 신념에 의해 정의된 문화적 금기 또는 미신, 사회적 행당, 가치 및 규범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JBGB 민속, 신화, 전설 | 1.2 | 1.4 |
JBCC7 | 비교문화 연구 및 주제 이문화 만남, 이문화 교류, 문하 충돌이 여기에 해당. 개인적 또는 사회적 수준에서 갈등, 부정적 또는 긍정적 교류를 포함하여 서로 다른 문화와 관련된 사회적/문화적 주제와 문제를 조사하는 내용을 다룬 도서에 사용할 것. 역사적 주제일 경우 NH*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4 | |
JBCC8 | 문화정책 및 논의 사회에서 문화의 역할이나 문화유산을 둘러싼 토론, 정책, 아이디어, 논쟁에 관한 도서가 여기에 해당 | 1.4 | |
JBCC9 | 사상사 시간이 지나면서 인간 아이디어의 표현, 보존, 변화를 살펴보는 도서가 여기에 해당. 필요한 경우 다른 J* 코드 혹은 NH* 코드, QD*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4 | |
JBCT | 미디어연구 See also: GTC 언론정보학 | ||
JBCT1 | 미디어연구: 인터넷, 디지털 미디어와 사회 온라인, 디지털 및 소셜미디어의 모든 측면과 블로그, 트윗, 인플루엔서, 진짜와 가짜 정보의 확산, 디지털 미디어와 관련된 습관 및 행동 변화 등을 포함하여 사회에서의 역할 또는 영향을 다룬 도서에 사용할 것 See also: ATN 인터넷 및 디지털 미디어: 예술 및 공연 | 1.4 | |
JBCT2 | 미디어연구: TV와 사회 전통적인 방식뿐 아니라 스트리밍, 주문형 서비스 같은 새로운 형태의 소형 스크린을 통한 즐길거리를 소비하거나 문화적 영향, 대중문화로 연결 등이 여기에 해당 | 1.4 | |
JBCT3 | 미디어연구: 광고와 사회 | ||
JBCT4 | 미디어연구: 저널리즘 See also: KNTP 출판산업 및 저널리즘 | 1.2 | |
JBCT5 | 허위정보 및 오보 선전, 가짜뉴스가 여기에 해당. 허위 또는 오해의 소지가 있는 정보의 의도적인 사용, 정보 사용을 통한 생각 및 행동 조작, 오해의 소지가 있거나 사실이 아닌 정보의 확산을 다룬 도서에 사용할 것. 디지털 플랫폼의 역할을 다룬 도서는 JBCT1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4 | |
JBF | 사회, 윤리적 이슈 See also: PDR 과학 및 기술의 사회영향, QDTQ 윤리학, 도덕철학, RNT 환경문제의 사회적 영향 | ||
JBFA | 사회 차별, 평등한 대우 다양한 형태의 차별, 평등 또는 불평등, 개인의 정체성에 따른 편견, 그리고 다양성 및 포용 정책, 긍정적 차별, 무의식적 편견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조치를 다룬 도서에 사용할 것. 특정한 형태의 차별을 가리키기 위해 다른 JB* 코드를 사용하거나 혹은 다른 주제어 코드 혹은 수식자를 함께 사용할 것. 예를 들어 성차별 또는 여성에 대한 성적 차별을 다룬 도서는 JBSF* 코드를, 종교에 따른 차별에는 QRAM9 코드 및 5PG* 코드, 성적 지향에 따른 차별은 JBSJ 및 5PS* 코드 등과 함께 사용할 것 | 1.4 | |
JBFA1 | 인종주의 및 인종차별 제도적 인종차별, 외국인 혐오가 여기에 해당. 피부색, 인종 또는 민족 출신에 따른 차별과 편견, 혹은 누군가가 외국인이거나 커뮤니티 외부에서 왔다는 인식에 근거한 편견, 불평등 및 차별 문제, 인종차별을 해결하기 위한 조치를 다룬 도서에 사용할 것 | 1.4 | |
JBFB | 사회통합 및 동화 | 1.3 | |
JBFC | 빈곤, 불안정 식량 빈곤, 푸드뱅크, 빈곤과 연결된 실업 혹은 고용, 프레카리아트, 경제적 불안, 취업, 혼란스러운 생활방식, 빈곤과 관련된 영양실조, 직장 내 빈곤, 워킹푸어 등에 사용할 것 | 1.4 | |
JBFD | 주택공급, 무주택 무주택, 주택공급 문제, 주택 비용, 주택 부족 등이 여기에 해당 | 1.4 | |
JBFF | 재해의 사회적 영향 질병, 기근, 영양실조, 재난으로 인한 강제이주 등이 여기에 해당. 적절한 다른 주제 코드 함께 사용할 것 See also: RNR 자연재해 | 1.4 | |
JBFG | 난민, 정치적 망명 망명 신청자, 피난처가 여기에 해당. 차별 이슈의 경우 JBFA 코드를, 주택 문제인 경우 JBFD 코드를, 사회 역사인 경우 NHTB 코드를, 난민이나 망명 관련 소설인 경우 FX 코드 등 특정 이슈에 대해 다른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4 | |
JBFG1 | 탈출 및 기피의 지원 언더그라운드 레일로드(Underground Railroad), Comet Line, Fluchthilfe 등이 여기에 해당. 난민이 억압, 노예화, 분쟁 등을 피할 수 있도록 돕는 내용을 담은 도서가 여기에 해당. 적절한 NH* 코드(역사), 장소 수식자 1* 및 시기 수식자 3*과 함께 사용할 것 | 1.3 | |
JBFH | 이주, 이민 디아스포라, 국외 거주자, 정착민 또는 이주민 자신 혹은 이주와 관련된 문화적, 사회적 주제를 다룬 도서에 사용할 것. 특정 주제를 가리키기 위해 다른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예를 들어 차별인 경우 JBFA 코드를, 주택 문제인 경우 JBFD 코드를 함께 사용할 것 | 1.4 | |
JBFJ | 인신매매 강제 노동, 강제 결혼, 성 노예, 노예, 강제 매춘, 아동 노동 착취가 여기에 해당 See also: NHTS 노예제도 및 폐지 | 1.3 | |
JBFK | 사회폭력 및 학대 사회에서의 학대, 고의적 방치, 문화적 전통에 기반한 폭력, 특정 집단 또는 개인에 대한 폭력, 제도적 폭력, 사회에서의 폭력적인 범죄 행위 등이 여기에 해당. 사회에서의 폭력 및 불안정에 대한 인식에 관한 도서, 실제 폭력, 학대 및 방치에 관한 도서에 사용할 것 See also: JKV 범죄 및 범죄학 | 1.4 | |
JBFK1 | 아동학대 아동 방치가 여기에 해당 | 1.4 | |
JBFK2 | 성적학대, 성희롱 성폭력, 강간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JKVN 폭력범죄 | 1.3 | |
JBFK3 | 가정폭력 가정폭력, 가족 폭력, 친밀한 파트너 폭력, 강압적 통제, 가스라이팅, 마스터 억제 기술 및 보호조치가 여기에 해당 | 1.4 | |
JBFK4 | 왕따 및 괴롭힘 온라인 군중폭행, 소셜미디어 트롤링, 사이버 괴롭힘, 협박, 강압, 스토킹, 위협 행위가 여기에 해당. 다양한 종류의 미디어와 연결된 이슈인 경우 JBCT* 코드를, 직장 괴롭힘인 경우 KNXC 코드 또는 KJMV2 코드를 함께 사용할 것 | 1.3 | 1.4 |
JBFL | 사회통제, 사생활, 사회안전 개인정보 보호, 데이터 사용, 정부 및 대기업의 역할, 보안, 테러 방지, 개인의 권리 대 사회 권리, 감시, 공공안전, 사회 통제 및 강압에 관한 문제 및 토론을 다룬 도서에 사용할 것 See also: JPV 정치적 통제와 자유 | 1.4 | |
JBFM | 장애: 사회적 측면 장애가 있는 사람에 대한 사회적 장벽, 사회가 장애인을 대하는 방식, 정책의 영향 등을 살펴보는 도서에 사용할 것. 필요한 경우 수식자 5PM* (장애를 가진 사람 관련) 코드를 함께 사용하고, 기타 특정 주제를 가리키기 위해 다른 주제어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예를 들어, 차별 이슈의 경우 JBFA 코드를, 주택 문제인 경우 JBFD 코드를, 사회 역사인 경우 NHTB 코드를, 난민이나 망명 관련 소설인 경우 FX 코드 등 특정 이슈에 대해 다른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4 | |
JBFN | 건강, 질병, 중독: 사회적 측면 건강정책 또는 다른 질병이나 중독의 사회적 혹은 문화적 영향 연구에 관한 도서에 사용할 것. 그리고 다양한 유형의 중독, 질병 또는 건강 공포에 대한 사회적, 문화적 행동 또는 반응에 관한 도서에 사용할 것. 의료체계의 사회적 측면을 다룬 경우 MBP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4 | |
JBFN2 | 약물과 알코올: 사회적 측면 약물 또는 알코올 중독, 오피오이드 중독, 약물 남용이 여기에 해당. 약물 및 알코올 중독 또는 남용이 사회, 그룹, 개인에 미치는 영향, 개입 전략, 공공정책 등에 대한 도서에 사용할 것 | 1.4 | |
JBFQ | 사회이동 | ||
JBFS | 소비자주의 | ||
JBFU | 동물과 사회 동물의 권리, 해부, 사냥, 동물복지, 동물을 식량 자원으로, 식량 상품으로 사용, 동물 세계에 대한 인간의 영향, 동물 거래 등을 사회적 이슈로 다루는 도서가 여기에 해당 | 1.4 | |
JBFV | 윤리적 이슈와 논쟁 윤리적 토론으로 특정 주제를 다루는 도서라는 것을 가리키기 위해 다른 주제어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See also: PSAD 생명윤리, QDTQ 윤리학, 도덕철학 | 1.4 | |
JBFV1 | 윤리적 이슈: 낙태, 산아제한 | 1.1 | |
JBFV2 | 윤리적 이슈: 사형 사형이 여기에 해당 | 1.1 | 1.4 |
JBFV3 | 윤리적 이슈: 검열 언론의 자유, 검열 대 보안 등을 둘러싼 논쟁 등을 다룬 도서가 여기에 해당 | 1.1 | 1.4 |
JBFV4 | 윤리적 이슈: 안락사, 죽을 권리 안락사, 보조자살이 여기에 해당. 법률적 측면을 다룰 경우 LNT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1 | 1.4 |
JBFV5 | 윤리적 이슈: 과학, 기술, 의료산업 발전 | 1.1 | |
JBFW | 성과 성생활, 사회적 측면 성과 사회, 포르노와 성 산업, 성 관련 직업, 매춘 관련한 일반도서가 여기에 해당 See also: JMU 심리학: 성적 행동, VFVC 성과 성관계: 이슈 및 조언 | 1.3 | |
JBFX | 사회적 태도 정치적 정당성이 여기에 해당. 사회 내 정치적, 사회적, 도덕적 태도를 다룬 일반 도서에 사용할 것. 특정 주제나 단체에 대한 태도인 경우 해당 주제어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4 | |
JBFZ | 사회예측, 미래연구 | ||
JBG | 통속적 믿음과 쟁점 지식 | 1.2 | |
JBGB | 민속, 신화, 전설 전통 이야기나 소재, 구전 혹은 관습적으로 전해오는 민속에 대한 논픽션 연구, 도시 및 현대 신화 및 전설에 관한 연구, 신화, 동화, 믿기 어려운 이야기, 초자연적 이야기, 초자연적 존재, 오래된 아내의 이야기 (Old wives’ tales), 대중적인 미신 등의 기원에 대한 연구, 아틀란티스, 성배, 히든 포크, 버뮤다 삼각지대, 그린맨 등의 이야기 기원에 대한 전문가 독자 대상 도서에 사용할 것. 신화의 영적 혹은 종교적 측면에 대한 도서일 경우 QR* 코드를, 좀 더 대중적인 접근일 경우 VX* 코드를, 스토리 자체에 대해서는 FN* 코드 사용 권장 See also: FN 전래, 신화, 동화, QRS* 고대종교 및 신화 and its sub-categories, VXQM* 괴물, 신화 및 전설속존재 and its sub-categories | 1.4 | |
JBGX | 음모론 거짓말, 은폐공작 등이 여기에 해당 | 1.2 | 1.3 |
JBS | 사회집단 및 동질감 모든 JBS* 코드는 주제를 특정하는 다른 주제어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예를 들어, 차별 이슈의 경우 JBFA 코드를, 주택 문제인 경우 JBFD 코드를, 사회 역사인 경우 NHTB 코드를, 난민이나 망명 관련 소설인 경우 FX 코드 등 특정 이슈에 대해 다른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필요한 경우 흥미 수식자 5*와 함께 사용할 것 | 1.4 | |
JBSA | 사회계급 계급 갈등, 사회 계층화, 사회 경제적 그룹이 여기에 해당. 계급, 특정 계급, 해당 계급의 특성 및 구분, 사회 계층 간 상호 작용, 특정 계급에 대한 인식 및 편견을 다루는 도서가 여기에 해당 | 1.4 | |
JBSC | 농촌공동체 농촌(시골) 지역의 소규모 정착지, 농촌(시골)에 사는 사람들, 준 시골지역, 고립된 커뮤니티가 여기에 해당 | 1.4 | |
JBSD | 도시공동체 도심, 교외, 도시 거주자, 교외 커뮤니티가 여기에 해당. 도시 또는 준 도시 환경을 다룬 도서에 사용할 것 | 1.4 | |
JBSF | 성연구, 성그룹 성(해부학적 관점의 개인의 생식 기관 및 이차 성징)에 관한 책뿐만 아니라 내부 인식(성 정체성)에 기반한 성에 대한 인식 혹은 인간의 성(성 역할)에 기반한 사회적 역할을 조사하는 도서에 사용할 것 | 1.4 | |
JBSF1 | 성연구: 여성, 소녀 여성학이 여기에 해당. 도서가 주로 여성이나 소녀를 다루고 있는 도서일 경우 다른 주제어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성차별에 관한 도서일 경우 JBFA 코드와 함께 여성의 역사에 관한 도서일 경우 NHTB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4 | |
JBSF11 | 페미니즘, 페미니스트 이론 | ||
JBSF2 | 성연구: 남성, 소년 남성 연구, 남성성에 관한 도서가 여기에 해당. 다루는 주제가 주로 남성 혹은 소년에 관한 경우 다른 주제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4 | |
JBSF3 | 성연구: 트렌스젠더, 성다변자 트렌스젠더, 젠더 비순응, 여성이나 남성에 속하지 않음, 젠더퀴어, 성소수자, 두 개의 영혼(two spirit), 제3의 성(thrid gender) 등에 관한 도서가 여기에 해당. 출생 시 부여된 성별(전부 혹은 부분)이 다른 사람에 관한 도서 혹은 두 개 이상의 성별을 설정한 문화권에서 성 다변성을 다룬 도서에 사용할 것. 차별이나 성전환 혐오를 다룬 도서일 경우 JBFA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2 | 1.4 |
JBSJ | 게이, 레즈비언 연구 / LGBTQ 연구 퀴어 연구, 성 다양성 연구가 여기에 해당. 성적 취향, 성적 지향 및 관련 정체성에 기반한 그룹 혹은 문화 연구를 다룬 도서에 사용할 것. 특정 주제에 해당 할 경우 다른 적절한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예: 동성애 공포증 혹은 차별 관련 문제일 경우 JBFA 코드, LGBTQ+ 역사에 관한 도서일 경우 NHTB 코드 및 필요한 경우 흥미수식자 5* 중 5PS* 함께 사용할 것) See also: JBSF3 성연구: 트렌스젠더, 성다변자 | 1.4 | |
JBSL | 인종학 학제 간 연구를 위한 도서인 경우 다른 주제어 코드와 함께 사용하고 필요한 경우 적절한 장소 수식자 1* 및 흥미 수식자 5* 코드 중 5PB* 코드를 함께 사용할 것 | 1.4 | |
JBSL1 | 인종집단, 다문화 연구 인종 관계, 소수민족, 다문화주의가 여기에 해당. 다문화 사회와 연관된 사회 및 문화를 다룬 도서에 사용할 것 See also: JBFA 사회 차별, 평등한 대우 | 1.4 | |
JBSL11 | 선주민 토착민 또는 원주민 관련 도서가 여기에 해당 | ||
JBSL13 | 혼합된 유산 / 혼합된 인종집단 혹은 민족 | 1.3 | |
JBSP | 연령층, 세대 다른 세대, 세대 간에 발생하는 문제, 이슈, 주제, 세대간 갈등이나 오해 등에 관한 도서에 사용할 것 | 1.4 | |
JBSP1 | 연령대: 어린이 | ||
JBSP2 | 연령대: 청소년 | ||
JBSP3 | 연령대: 성인 | ||
JBSP4 | 연령대: 노인 | ||
JBSR | 사회집단: 종교집단과 공동체 필요할 경우 적절한 흥미 수식자의 5PG* 코드와 QR*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
JBSW | 사회집단: 대안 생활방식 주류와 관련한 다양한 생활방식 혹은 문화적 규범에서 벗어난 것으로 인식되는 생활방식에 관한 도서에 사용할 것 | 1.4 | |
JBSX | 비밀결사 프리메이슨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QRY* 대안적 신념체계 and its sub-categories, FHQ 난해한 스릴러 | ||
JBSY | 사회집단: 클럽, 단체 자발적 임의단체나 선택적 친화력에 관한 책, 혹은 사람들이 특정 집단에 합류하는 이유, 방법에 관한 책 등이 여기에 해당 | ||
JH | 사회학 및 인류학 교재, 학술 혹은 전문가를 위한 도서는 JH* 코드 사용하고 주제를 특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는 적절한 다른 J*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
JHB | 사회학 See also: LAQ 법과 사회, 법사회학, MBS 의료사회학 | ||
JHBA | 사회이론 | ||
JHBC | 사회연구 및 통계 See also: GPS 연구 방법: 일반 | ||
JHBD | 인구, 인구통계학 | ||
JHBK | 사회학: 가족, 인간관계 가족의 구조, 가족 내 관계, 소셜네트워크, 또래 그룹, 우정, 기타 사람과의 신체적, 정서적 관계의 사회학, 사회적 통제 혹은 가족이나 그룹 내 순응 등을 다룬 도서에 사용할 것 See also: JBFW 성과 성생활, 사회적 측면, VFV* 가족과 인간관계: 이슈 및 조언 and its sub-categories | 1.4 | |
JHBL | 사회학: 일, 근로 고용 / 실업의 사회학이 여기에 해당 | 1.3 | |
JHBS | 사회학: 스포츠, 레저 | ||
JHBZ | 사회학: 죽음, 임종 See also: VFJX 죽음과 사별 대처 | ||
JHM | 인류학 | 1.2 | |
JHMC | 사회, 문화인류학 민족지학, 친족 및 가족, 제도적 인류학, 사회문화인류학이 여기에 해당. 인류학의 다양한 전문 분야에 관한 도서인 경우 다른 J*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See also: JBCC* 문화연구 and its sub-categories | 1.4 | |
JK | 사회사업 및 복지, 범죄학 | ||
JKS | 사회복지 및 사회사업 | ||
JKSB | 복지혜택제도 | ||
JKSB1 | 아동복지 및 청소년 서비스 아동보호, 사회 취약/소외 계층 청소년 지원을 위한 사회복지 서비스가 여기에 해당 See also: LNMK 가족법: 아동 | 1.4 | |
JKSF | 입양, 위탁양육 | ||
JKSG | 노인부양 노인학대, 학대와 방치, 노인돌봄기관을 다룬 도서가 여기에 해당. 사회복지측면, 지역사회 및 정부 정책과 관련 직업 또는 역할에 관한 도서에 사용할 것 | 1.4 | |
JKSL | 특별한 도움이 필요한 사람 돌봄 시각장애 또는 숨겨진 장애가 있는 사람, 신체 및 감각장애가 있는 사람 돌봄, 추가적인 도움이 필요한 신경발달장애인 돌봄에 관한 도서가 여기에 해당. 사회복지 측면, 지역사회 및 정부 정책 및 연관된 직업 혹은 역할을 다룬 도서에 사용할 것. 필요할 경우 수식자 5PM* 코드 함께 사용할 것 | 1.4 | |
JKSM | 정신질환자 케어 사회복지 측면, 지역사회과 정부 정책, 이와 관련된 직업 또는 역할을 다룬 도서에 사용할 것. 필요한 경우 수식자 5PM* 코드 함께 사용할 것 See also: MBPK 정신건강서비스, VFJQ 정신건강 이슈 대처 | 1.4 | |
JKSN | 사회복지업무 | ||
JKSN1 | 구호단체, 봉사활동, 자선활동 | ||
JKSN2 | 카운슬링, 상담 서비스 | ||
JKSR | 원조, 구호 프로그램 국제 및 해외원조 혹은 지원, 인도주의적 지원, 재난구호활동이 여기에 해당. 국내 및 국제프로그램, 단기 혹은 장기 원조 프로그램, 구호활동 등에 사용할 것 | 1.4 | |
JKSW | 응급서비스 | ||
JKSW1 | 치안 및 안전서비스 | ||
JKSW2 | 소방대 | ||
JKSW3 | 구급차, 구조 서비스 준의료 및 이에 상응하는 응급서비스를 다룬 비의료 업무에 관한 도서에 사용할 것 See also: MQF 응급처치 및 준의료서비스 | 1.4 | |
JKV | 범죄 및 범죄학 See also: DNXC 범죄 실화 | ||
JKVC | 범죄원인과 예방 감시, 테러방지조치, 범죄로부터 대중 보호, 범죄예방 및 원인에 대한 정책, 사회 통제 이론이 여기에 해당 | 1.4 | |
JKVF | 범죄수사 | ||
JKVF1 | 과학수사 See also: JMK 범죄, 법심리학, MKT 법의학 | ||
JKVG | 마약거래, 마약밀매 | ||
JKVJ | 길거리범죄, 총기범죄 강도, 소매치기, 공공기물파손, 칼, 총기 범죄가 여기에 해당 | 1.3 | |
JKVK | 기업범죄, 화이트칼라 범죄 금융범죄, 사기, 횡령, 뇌물 및 부패 등이 여기에 해당 | 1.3 | |
JKVM | 조직범죄 갱단 범죄, 마피아, 노상강도, 해적질이 여기에 해당 | 1.3 | |
JKVN | 폭력범죄 살인, 불법살해, 납치, 고문, 폭행, 명예범죄, 강간 및 성폭력 범죄 등이 여기에 해당. 다양한 유형의 폭력 범죄의 여러 측면을 다룬 도서에 사용할 것. 실제 폭력 범죄에 대한 저널리즘 스타일의 설명인 경우 DNXC*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4 | |
JKVP | 행형학, 형벌 징역, 벌금이나 형벌제도와 이론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JWXR 전쟁포로 | ||
JKVQ | 범죄자 | ||
JKVQ1 | 범죄인 교화 | ||
JKVQ2 | 청소년 범죄자 소년범죄가 여기에 해당 | ||
JKVS | 보호감찰 | ||
JKVV | 피해자학 및 범죄 피해자 피해자 권리가 여기에 해당 See also: DNXR 학대, 부당함에서 생존 실화 | 1.3 | |
JM | 심리학 학술, 전문가 수준의 도서에 JM* 코드 사용. 만일 일반 독자 대상일 경우 VS* 코드(실용서) 사용을 권장함 See also: VSP* 교양심리학 and its sub-categories | ||
JMA | 심리학이론, 체계, 학파, 관점 See also: QDTM 심리철학 | 1.2 | |
JMAF | 정신분석학, 프로이드학파 심리학 정신분석이 여기에 해당 | 1.2 | |
JMAF1 | 자크라캉의 정신분석학 | 1.3 | |
JMAJ | 분석심리학, 융 심리학 | ||
JMAL | 행동주의, 이론 | 1.2 | |
JMAN | 인간성 심리학 | ||
JMAP | 긍정심리학 | 1.2 | |
JMAQ | 인지주의, 이론 | ||
JMB | 심리학적 방법론 | ||
JMBT | 심리검사, 심리평가, 심리측정 심리측정이 여기에 해당 | 1.4 | |
JMC | 아동 발달 및 전생애 심리학 See also: JNC 교육심리학 | ||
JMD | 노화의 심리학 | ||
JMF | 가족심리학 | ||
JMG | 성 심리학 | ||
JMH | 사회, 집단, 공동체 심리학 | ||
JMHC | 대인커뮤니케이션 및 기술 언어, 비언어적 의사소통 심리학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GTC 언론정보학 | 1.3 | 1.4 |
JMJ | 직업, 산업 심리학 See also: SCGP 스포츠심리학 | ||
JMK | 범죄, 법심리학 See also: JKV* 범죄 및 범죄학 and its sub-categories | ||
JML | 실험 심리학 | ||
JMM | 생리학적심리학, 신경학적심리학, 생물심리학 | ||
JMP | 이상심리학 See also: MKM* 임상심리학 and its sub-categories | ||
JMQ | 심리학: 감정 감정신경과학이 여기에 해당 | 1.4 | |
JMR | 인지 및 인지심리학 인지신경과학, 학습, 기억 및 기억상실, 지능, 추리력, 인식에 관한 심리학 도서가 여기에 해당 | 1.4 | |
JMS | 심리학: 자아, 에고, 정체성, 인격 | ||
JMT | 심리학: 의식상태 의식과 무의식에 관한 심리학책이나 수면과 꿈에 관한 책, 그리고 최면, 약물로 인한 환각 등의 마음의 변화에 관한 책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VXN 꿈, 꿈풀이 | ||
JMU | 심리학: 성적 행동 See also: VFVC 성과 성관계: 이슈 및 조언, JBFW 성과 성생활, 사회적 측면 | ||
JMX | 초심리학 연구 학술적 연구 수준의 작품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VXP 초능력 및 심령현상 | ||
JN | 교육 교육을 실습이나 과목으로 접근한 모든 도서에 JN* 코드 사용하되 초중고 학생을 위한 교과서나 참고서 등 교육자료는 YP* 코드 사용할 것 | 1.4 | |
JNA | 교육철학 및 이론 | 1.1 | |
JNAM | 교육의 도덕적, 사회적 목적 사회와 연관된 주제 혹은 사회 내에서의 행동에 초점을 맞춘 교육의 이론에 관한 도서가 여기에 해당 | 1.1 | 1.2 |
JNB | 교육사 교육의 일반 역사뿐 아니라 특정 학교나 대학의 역사도 여기에 해당 | ||
JNC | 교육심리학 | ||
JND | 교육체계 및 구조 선발, 입학, 학교 순시, 관리에 관한 내용을 다룬 도서가 여기에 해당. 서로 다른 교육체계를 비교하는 도서인 경우 장소 수식자 1*과 함께 사용할 것 | 1.4 | |
JNDG | 교육과정 계획 및 개발 | ||
JNDH | 교육: 시험과 평가 | ||
JNE | 사회교육 연구분야로 사회 교육학에 관한 연구가 여기에 해당 | 1.3 | |
JNF | 교육전략 및 정책 쓰기, 읽기, 산술 등의 교육전략이나 학급편성에 관한 정책 등이 여기에 해당 | 1.2 | |
JNFC | 학생 상담 및 돌봄 학생 지도, 학생복지, 결석, 무단결석, 징계, 교육기관의 안전, 학교에서의 아동보호 등에 관한 도서가 여기에 해당 | 1.2 | 1.4 |
JNFK | 교육전략 및 정책: 통합교육 정책수립 및 실질적인 적용이 여기에 해당 | 1.2 | 1.3 |
JNG | 영유아보육 및 교육 보육 관련 전문가 대상 도서 혹은 관련 주제에 관한 일반서가 여기에 해당 See also: JNLA 유치원 | 1.3 | |
JNH | 홈스쿨링 | ||
JNK | 교육행정 및 조직 | 1.3 | |
JNKG | 교육자금 및 학생 재정 | ||
JNKH | 교직원 | ||
JNL | 학교 및 유치원 See also: VSK 교육 조언 | 1.3 | |
JNLA | 유치원 | ||
JNLB | 초등 및 중학교 예비, 초등, 중학교가 여기에 해당 | ||
JNLC | 고등학교, 제2차 교육 고등학교가 여기에 해당 | ||
JNLP | 사립학교, 사교육 | ||
JNLR | 종교학교 | ||
JNLV | 야외 학교 / 교육 체험 교육, 야외 학습, 산림학교가 여기에 해당. 야외에서 이루어지는 조직적 학습에 사용할 것 | 1.3 | |
JNM | 대학교육, 제3차 교육 고등학교 이후의 모든 교육과정이 여기에 포함되며, 직업교육, 기술교육, 대학이 모두 포함됨. 제3차 교육은 영국에서 중등학교에서 대학 및 직업 교육과정의 총칭을 말함 See also: VSK 교육 조언 | 1.4 | |
JNMT | 교사연수 | ||
JNP | 성인교육, 평생학습 평생학습, 대중교육, 지역사회교육, 빌둥(교양)이 여기에 해당. 대학이나 직업교육이 아닌 성인 학습자의 교육 또는 훈련에 관한 도서가 여기에 해당 See also: VSL 성인용 쓰기/읽기 가이드, VSN 성인용 산술공부 가이드 | 1.4 | |
JNQ | 통신교육, 원격교육 | ||
JNR | 직업 가이드 | ||
JNRD | 현장 실습, 인턴십 | 1.3 | |
JNRV | 산업, 직업교육 도서의 주제가 산업/직업교육, 전문성 개발 및 교육인 경우가 여기에 해당. 직업교육 과목에 관한 교재인 경우 이 코드보다는 해당하는 주제어 코드 사용 권장. 예를 들어 어린이/청소년 직업교육인 경우 YPW* 코드를, 기술인 경우 T* 코드 사용을 권장하며 필요할 경우 적절한 교육관련 수식자 4CP* 코드 함께 사용할 것 | 1.4 | |
JNS | 특수교육 교수법 특수교육, 문화적 혹은 언어 배경이 다른 학생들의 혼합 수업 등이 여기에 해당 | 1.4 | |
JNSC | 신체장애학생 교수법 청각장애, 시각장애 등 신체적 장애로 인해 특수교육이 필요한 학생을 위한 교수방법이 여기에 해당. 필요한 경우 적절한 흥미수식자 5PM* 코드 함께 사용할 것 | 1.4 | |
JNSG | 학습장애학생 교수법 난독증, 자폐증, 행동장애, 혹은 기타 정신적 장애로 인해 특수교육이 필요한 학생을 위한 교수방법이 여기에 해당 | 1.3 | |
JNSL | 사회적, 정서적, 행동장애학생 교수법 | 1.3 | |
JNSP | 영재학생 교수법 | 1.3 | |
JNSR | 보충학습 및 교수법 발달교육, 보충학습이 여기에 해당 | 1.3 | |
JNSV | 2중어, 다중어 학생 교육 제2언어를 통한 교육이론, 여러 언어를 혼합한 교육,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학생에 대한 교육을 다루지만 언어교육 자체가 교육의 초점이 아닌 도서에 사용할 것 | 1.4 | |
JNT | 교수기법 교실통제, 코칭, 멘토링, 수업계획, 과외 등이 여기에 해당 | 1.4 | |
JNTC | 수행능력개발 역량 기반 교육 및 훈련, 역량학습이 여기에 해당. 교육 또는 훈련에서 역량과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실질적인 접근 방식을 다루는 도서에 사용할 것 | 1.2 | 1.4 |
JNTP | 프로젝트 기반 학습 | 1.3 | |
JNTR | 놀이기반 학습 가르치고 배우기 위해 놀이와 활동을 사용하는 이론이나 접근방식을 다루는 도서에 사용할 것 | 1.4 | |
JNTS | 읽기, 쓰기, 산술 교수 기본 기량을 배우거나 가르치는 이론이나 다양한 접근 방식에 관한 도서에 사용할 것 See also: CJCR 어학: 독해, CJCW 어학: 작문, JNF 교육전략 및 정책, YPCA2 학습서: 국어: 읽기, 쓰기 | 1.4 | |
JNU | 과목 교수법 YP* 코드에서 가르치는 과목 주제 코드를 찾아 함께 사용할 것 | ||
JNUM | 수업자료 대화형 리소스, 교사용 교과서, 수업활동 자료, 교사가 만든 교재 등이 여기에 해당. 필요한 경우 YP* 코드에서 가르치는 과목 주제 코드를 찾아 함께 사용할 것 | 1.4 | |
JNUM1 | 학습계획 가르치는 과목 주제 코드를 YB* 코드에서 찾아 함께 사용할 것 | 1.3 | |
JNV | 교육장비, 교육공학, CAL 수업에 미디어 기술 사용, 학습관리시스템에 관한 도서가 여기에 해당. 수업이나 학습에 디지털 기술을 이용한 도서에 사용할 것 | 1.4 | |
JNW | 특별활동 현장학습, 수학여행, 운동회, 지역사회활동, 각종 행사, 쉬는시간, 점심시간, 방과후 활동, 동아리 활동 등이 여기에 해당됨 | 1.3 | |
JNZ | 학습법: 일반(수험서 등) | ||
JP | 정치 및 정부 | ||
JPA | 정치학 및 이론 See also: QDTS 사회, 정치철학 | ||
JPB | 비교정치학 | ||
JPF | 정치이념 및 운동 정치적 스펙트럼의 다양한 부분에 대해 다룬 도서에 사용할 것 | 1.4 | |
JPFA | 환경정책/환경 보호주의 녹색운동, 활동가 단체 등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RNA 환경운동가 사상 및 이념, RNB 환경운동가, 단체 | 1.4 | |
JPFB | 무정부주의 | ||
JPFC | 극좌파정치이념 및 운동 공산주의, 마르크스-레닌주의, 트로츠키주의, 마오주의, 극좌파, 급진좌파, 강좌파, 민주사회주의자, 포퓰리스트 사회주의자, 사회 포퓰리스트, 좌익 포퓰리즘이 여기에 해당 | 1.4 | |
JPFF | 사회주의, 좌파민주이념 사회민주주의, 사회주의가 여기에 해당 | 1.4 | |
JPFK | 중도민주주의이념 공산주의, 중도주의가 여기에 해당 | 1.4 | |
JPFM | 보수주의, 우파민주이념 보수주의, 기독교 민주주의가 여기에 해당 | 1.4 | |
JPFN | 민족주의 민족 민주주의, 언어 민족주의, 민족주의 또는 자연주의 운동이 여기에 해당. 민족주의를 다루는 모든 종류의 도서에 사용할 것. 역사를 다루고 있을 경우 NH* 코드와 함께 사용하고 필요한 경우 적절한 흥미수식자 5*와 함께 사용할 것 | 1.4 | |
JPFN2 | 범민족주의 다양한 공통분모를 기반으로 ‘더 높은’ 범국가적(모든 것을 포함하는) 정체성을 만들기 위해 기본 국가 정체성의 전통적인 경계를 넘어서는 특정 형태의 민족주의를 다룬 도서가 여기에 해당. 역사를 다루고 있을 경우 NH* 코드와 함께 사용하고 필요한 경우 적절한 흥미수식자 5*와 함께 사용할 것 | 1.4 | |
JPFQ | 극우파정치이념 및 운동 파시즘과 네오-파시즘, 나치즘과 네오-나치즘, 초민족주의, 극우, 우익, 하드우익, 급진적 우익, 팔레오 보수주의, 자연주의, 우익 포퓰리즘이 여기에 해당 | 1.4 | |
JPFR | 종교적이념, 신정주의 신권정치가 여기에 해당. 정치적 이데올로기, 정체성 또는 행동의 원천으로 종교가 사용되는 경우를 다룬 도서에 사용할 것. 필요할 경우 종교를 특정하는 QR* 코드 함께 사용할 것 | 1.4 | |
JPH | 정치구조 및 과정 | ||
JPHC | 헌법: 정부와 국가 | ||
JPHF | 선거 및 국민투표 선거학, 투표 시스템, 선거권이 여기에 해당. 특정 선거나 국민투표, 투표 행동 연구, 선거 및 투표 관행를 다룬 도서뿐만 아니라 관련 연구에 관한 도서에도 사용할 것 | 1.4 | |
JPHL | 정치지도자 및 리더십 | ||
JPHV | 정치구조: 민주주의 | ||
JPHX | 정치구조: 전체주의, 독재주의 권위주의, 폭정, 절대주의가 여기에 해당 | 1.4 | |
JPL | 정당 및 정당 강령 개별 또는 여러 정당을 다루거나 특정 정당 플랫폼 또는 프로그램을 조사하는 도서에 사용할 것. 정치적 스펙트럼 측면에서 특정 정당을 다룬 도서일 경우 JPF* 코드 함께 사용할 것 | 1.4 | |
JPN | 토착민: 정부 및 정치 정책, 정부 관련 도서가 여기에 해당 | 1.3 | 1.4 |
JPP | 행정 See also: KNV 시민서비스 및 공공영역 | ||
JPQ | 정부, 중앙정부, 연합정부 | ||
JPQB | 정부, 중앙정부, 연합정부의 정책 See also: KCP 정치경제학 | ||
JPR | 광역지방자치정부 시/군/구 등 기초지방자치단체는 JPT 코드 사용 See also: JPT 기초지방자치정부 | 1.3 | |
JPRB | 광역지방자치정부의 정책 시/군/구 등 기초지방자치단체는 JPT 코드 사용 See also: JPT 기초지방자치정부 | 1.3 | |
JPS | 국제관계 국제정치, 외교정책이 여기에 해당 | 1.4 | |
JPSD | 외교 | ||
JPSF | 군축협상 및 통제 군비 경쟁, 무기비축, 군비축소에 관한 도서가 여기에 해당 | 1.4 | |
JPSH | 간첩, 첩보기관 감시, 방첩, 스파이, 군사정보에 관한 도서가 여기에 해당 | 1.4 | |
JPSL | 지정학 | ||
JPSN | 국제기구 UN 및 UN 산하기구, EU, 정부간 기구 및 비정부기구(IGOs와 NGOs) 등이 여기에 해당. 필요한 경우 장소 수식자 중 1QF* 코드에서 적절한 수식자 사용할 것 See also: GTV 협회 및 학회: 일반 | 1.3 | |
JPT | 기초지방자치정부 시/군/자치구 등이 여기에 해당 | 1.2 | 1.3 |
JPV | 정치적 통제와 자유 정치선전 등에 관한 도서가 여기에 해당 | ||
JPVC | 공민학 및 시민정신 | ||
JPVH | 인권, 시민권 연설의 자유, 정보열람의 자유, 신앙의 자유 등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LNDC 법: 인권 및 시민자유 | ||
JPVR | 정치탄압 및 박해 | ||
JPVR1 | 정치적 납치, 불법감금, 실종, 암살 정치적 억압의 한 형태로 이용되는 강제납치, 투옥, 불법 살인, 다양한 사회에서 실종자, 사람 혹은 신체 수색 등을 다룬 도서에 사용할 것. 법률적 측면을 다룬 도서일 경우 LBBR 코드 혹은 LNDC 코드를, 역사적 자료인 경우 NH*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4 | |
JPW | 정치적 활동 | ||
JPWA | 여론 및 여론조사 | ||
JPWC | 선거운동 | ||
JPWG | 압력단체, 항의운동 및 비폭력 행동 로비, 시위, 시민불복종, 평화적인 저항, 권력에 대한 적극적인 도전 등이 여기에 해당 | 1.3 | |
JPWH | 민간단체, NGO | ||
JPWL | 테러리즘, 무장투쟁 정치적 암살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JWCG 비정규군, 게릴라군과 전투 | 1.2 | |
JPWQ | 혁명단체 및 운동 See also: NHTV 혁명, 봉기, 반란 | ||
JPWS | 무력분쟁 전쟁의 규모에는 미치지 못하는 봉기, 무력충돌, 일촉즉발상황이 여기에 해당 | ||
JPZ | 정치, 정부, 사회부패 정부 및 공공 부문의 부패, 사법 및 경찰 부패, 사회의 일상 속 뇌물이나 부패 등에 관한 도서가 여기에 해당 See also: JKV* 범죄 및 범죄학 and its sub-categories | 1.4 | |
JW | 국방 및 방위 | ||
JWA | 전쟁이론 및 군사학 군대의 지리적 주제를 다루고 있는 도서일 경우 RG*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4 | |
JWC | 군대 | ||
JWCD | 육군과 전투 | ||
JWCG | 비정규군, 게릴라군과 전투 무장 저항 운동, 반란군, 외국인 전투요원이 여기에 해당. 정치적, 경제적, 이념적 또는 종교적 이유로 싸우는 비정규 군대에 대해 다룬 도서에 사용할 것. 필요한 경우 적절한 NHW* 코드, 장소 수식자 1* 및 시기 수식자 3*과 함께 사용할 것 | 1.4 | |
JWCK | 해군과 전투 See also: NHTM 해양사 | ||
JWCM | 공군과 전투 | ||
JWCS | 특수부대 | ||
JWJ | 군사행정 군대인사, 규율, 조달, 자금 등에 관련 도서가 여기에 해당 | ||
JWK | 군사전략, 방어전략 군대 전술, 민방위, 국가 안보 정책 등이 여기에 해당 | 1.4 | |
JWKF | 군사정보 | ||
JWL | 전쟁과 방어작전 See also: NHW* 전쟁사 and its sub-categories | ||
JWLF | 전투 및 군사행동 | ||
JWLP | 평화유지활동 See also: GTU 평화연구 및 갈등해소 | ||
JWM | 무기 및 장비 특정 군 조직을 가리키려면 JWC* 코드 사용할 것 See also: WCK 군수품, 무기, 병기수집 | ||
JWMC | 생화학무기 | ||
JWMN | 핵무기 | ||
JWMV | 군용차 필요한 경우 분야를 특정하기 위해 적절한 JWC* 코드 및 WG* 코드 함께 사용할 것 | 1.3 | |
JWT | 군 관련 단체 및 기념물 연대, 군복, 휘장, 기념비, 전쟁 공동묘지, 명예 명부, 지휘 센터, 방위 기관, 군사 아카데미, 참전 용사 혹은 전(前) 전투원 조직 등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AMG 건축: 공공, 상업 및 산업건물, WCK 군수품, 무기, 병기수집 | 1.4 | |
JWTU | 군복, 휘장 | 1.3 | |
JWX | 기타 전투 및 방어 이슈 See also: TTM 군사공학 | ||
JWXF | 무기거래 군비, 무기산업이 여기에 해당 | 1.4 | |
JWXJ | 민간인 민간인, 언론인, 구호요원, 의무병, 군종 목사, 중립국 등이 여기에 해당 | 1.4 | |
JWXK | 전쟁범죄 See also: NHTZ 대량학살 및 인종청소, NHTZ1 홀로코스트 | ||
JWXN | 용병 용병, 사병, 민간 방위 회사가 여기에 해당. 돈이나 개인적 이득을 위해 싸우는 군인을 다룬 도서가 여기에 해당 | 1.4 | |
JWXR | 전쟁포로 | ||
JWXT | 군인의 반란 | ||
JWXV | 재향군인 | ||
JWXZ | 전투 / 방어술과 지침 | ||
K | 경제, 재무, 비즈니스, 경영 전문가(직업 혹은 학술)뿐만 아니라 일반 성인 독자 대상의 도서에 모두 K* 코드 사용할 것. 다만 여러 주제를 실용적으로 접근한 도서(실용서)는 VS* 코드 확인하여 해당 주제어가 있을 경우 적절한 주제어 선택할 것. 필요한 경우 모든 K* 코드에는 다른 주제어 코드나 수식자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4 | |
KC | 경제 | ||
KCA | 경제이론 및 철학 경제사상사가 여기에 해당. 적절한 시기 수식자 3*과 함께 사용할 것 | 1.2 | |
KCB | 거시경제학 | ||
KCBM | 화폐경제학 통화정책이 여기에 해당 | 1.3 | |
KCC | 미시경제학 국내무역, 소비자활동, 사업결정 등이 여기에 해당 | 1.4 | |
KCCD | 국내무역 도소매업이 여기에 해당. 해외가 아닌 국내에서 상품 거래에 관한 경제를 다룬 도서에 사용할 것 See also: KCLT 국제무역 및 상거래 | 1.4 | |
KCD | 산업조직의 경제학 | ||
KCF | 노동 / 소득경제학 임금정책, 기본소득, 소득, 종합소득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JBFC 빈곤, 불안정 | 1.3 | |
KCG | 경제성장 | ||
KCH | 계량경제학, 경제통계 | ||
KCJ | 경제전망 | ||
KCK | 행동경제학 | ||
KCL | 국제경제학 국제금융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RGCM 경제지리학 | 1.3 | |
KCM | 개발경제학, 개발도상국 See also: GTP 발달연구 | ||
KCLT | 국제무역 및 상거래 국제무역협정, 자유무역 및 보호주의, 관세 및 관세할당, 보조금, 덤핑, 무역 협상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KCCD 국내무역 | 1.3 | 1.4 |
KCP | 정치경제학 | ||
KCS | 경제체제 및 구조 변화적 경제, 전통적 경제, 참여경제, 물물교환경제, 선물경제 등이 여기에 해당 | 1.3 | |
KCSA | 자본주의 자유방임주의, 시장경제, 자유시장, 신자유주의 경제, 기업 자본주의, 중상주의 등이 여기에 해당. 자본주의와 관련한 다양한 경제 모델을 다룬 도서에 대해 사용할 것 | 1.3 | 1.4 |
KCSD | 혼합경제체제 사회적 시장경제, 복지경제, 사회적 기업주의, 국가 후원 자본주의, 분산 소유권 모델 등이 여기에 해당 | 1.3 | 1.4 |
KCSG | 계획경제체제 중앙집권적 계획경제, 통제경제가 여기에 해당 | 1.3 | |
KCST | 순환경제체제 순환 모델이 여기에 해당. 낭비를 제거하고 자원을 지속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지속가능한 경제 모델, 상품을 수리, 리메이크, 재사용, 재설계하는데 기반한 순환 경제 모델에 관한 도서에 사용할 것 | 1.4 | |
KCV | 경제학 / 특정분야 | ||
KCVD | 농업경제학 | ||
KCVG | 환경경제학 녹색경제, 환경회계, 환경세, 환경 경제 전략 및 정책이 여기에 해당 | 1.4 | |
KCVJ | 보건경제학 | ||
KCVK | 후생경제학 | ||
KCVM | 디지털 혹은 인터넷 경제학 | 1.3 | |
KCVP | 지식경제학 정보경제, 지식 기반 경제, 지적 자본이 여기에 해당 | 1.3 | 1.4 |
KCVQ | 서비스분야 경제학 보통 엔터테인먼트, 소매, 보험, 관광, 은행 및 기타 서비스처럼 ‘무형’의 상품인 서비스 부분의 경제학을 다룬 도서에 사용할 것 | 1.4 | |
KCVS | 도시경제학 | ||
KCX | 경제, 금융위기, 재난 | ||
KCY | 교양경제학 일반 독자를 위한 경제학 도서가 여기에 해당 | ||
KCZ | 경제사 필요한 경우 NH* 코드와 함께 사용하고 적절한 장소 수식자 1* 및 시기 수식자 3*과 함께 사용할 것 | 1.3 | |
KF | 재무 및 회계 학술, 전문가 수준의 도서에 KF* 코드 사용. 일반 독자 대상일 경우 실용서 코드 VS* 사용 권장 | ||
KFC | 회계 See also: UFK 회계소프트웨어 | ||
KFCC | 원가계산 | ||
KFCF | 재무회계 | ||
KFCM | 관리회계 및 부기 회계감사가 여기에 해당 | ||
KFCP | 재정회계 | ||
KFCR | 재무제표, 재무보고서 국제회계기준(IFRS), 일반회계기준(GAAP) 및 기타 국제 또는 국가에서 인정하는 회계 기준에 관한 도서가 여기에 해당 | 1.4 | |
KFCX | 회계: 개정 안내, 연구 국제 또는 국가에서 인정한 회계기준 및 부기 자격에 대한 개정, 시험 준비 등에 관한 도서가 여기에 해당(예: ACCA, CIMA, ICAEW 등). 필요한 경우 적절한 교육관련 수식자 4CP*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See also: KFFX 금융, 재무: 개정안내, 연구 | 1.4 | |
KFF | 재무 금융 서비스 분야, 핀테크 등이 여기에 해당. 다만 U* 코드를 참조하고 금융기술에 관한 도서일 경우 UXT 코드 참조할 것 See also: VSB 개인재무관리 | 1.4 | |
KFFD | 공공재정, 세무 See also: KCP 정치경제학 | ||
KFFH | 기업재무 | ||
KFFJ | 통화 / 외화 통화거래, 자금시장, 암호통화(금융/투자 측면) 등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UNKD 분산원장 | 1.3 | |
KFFK | 금융 | ||
KFFL | 신용, 금융기관 | ||
KFFM | 투자, 증권 금융상품, 주식, 채권, 선물, 헤지펀드 등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VSB 개인재무관리 | ||
KFFN | 보험, 보험회계학 | ||
KFFP | 연금 See also: VSR 퇴직 | ||
KFFR | 부동산 See also: VSH 주택 및 부동산: 매매 및 법률이슈 | ||
KFFX | 금융, 재무: 개정안내, 연구 국제 또는 국가에서 인정한 은행, 금융, 보험 자격(예: IMC, CFA, FIA 등)에 대한 개정 또는 시험 준비에 관한 도서에 사용할 것. 필요할 경우 적절한 교육관련 수식자 4CP* 코드 함께 사용할 것 See also: KFCX 회계: 개정 안내, 연구 | 1.4 | |
KJ | 비즈니스, 경영 학술, 전문가 수준의 도서에 KJ* 코드 사용하고 일반 독자 대상의 실용서일 경우 VS* 코드 사용할 것 | ||
KJB | 비즈니스: 일반 | ||
KJBX | 비즈니즈, 경영: 개정안내, 연구 | ||
KJC | 비즈니스전략 | ||
KJD | 비즈니즈혁신 신기술에 관한 비즈니스 및 효과, 전략, 비즈니스 혁신에 관한 도서에 사용할 것 See also: KJH 기업가 | 1.4 | |
KJDD | 파괴적인 혁신 새로운 시장이나 가치, 네트워크 개발로 기존 시장을 파괴하거나 대체하는 내용이 들어간 도서가 여기에 해당 | ||
KJE | 전자상거래, 이커머스: 비즈니스 측면 전자상거래, 인터넷 상거래가 여기에 해당. 인터넷을 이용하여 상품 또는 서비스의 구매와 판매, 그리고 이러한 거래를 실행하기 위한 자금 및 데이터 전송에 관한 도서에 사용할 것 See also: KJSG 온라인마케팅 | 1.4 | |
KJF | 비즈니스 경쟁 | ||
KJG | 기업윤리, 사회적 책임 | ||
KJH | 기업가 | ||
KJJ | 비즈니스와 환경: 비즈니스에 환경(그린)적 접근 | ||
KJK | 국제비즈니스 | ||
KJL | 자문, 기업보조금 교부금, 보조금, 연구비 지원 등 사업 운영에 대한 조언을 구하거나 제공하는 도서가 여기에 해당 | 1.3 | |
KJM | 경영, 경영기술 See also: VSC 경력, 성공 조언 | ||
KJMB | 경영: 리더십과 동기부여 변화관리가 여기에 해당 | 1.3 | |
KJMD | 경영: 의사결정 See also: GPQ 의사결정이론: 일반 | ||
KJMK | 지식경영 See also: KCVP 지식경제학 | ||
KJMP | 사업관리 애자일(Agile), 스크럼(Scrum) 등 프로젝트 및 프로그램 관리 방법론이 여기에 해당 | 1.4 | |
KJMQ | 품질보증(QA), 종합품질관리(TQM) | ||
KJMT | 시간관리 | ||
KJMV | 경영 특수분야 | ||
KJMV1 | 예산 및 재무관리 | ||
KJMV2 | 인적자원관리 See also: VSC 경력, 성공 조언 | ||
KJMV21 | 인사관리 / 평가 직업 적성 테스트, 수행평가, 검토 및 평가가 여기에 해당 See also: VSC 경력, 성공 조언 | 1.3 | 1.4 |
KJMV22 | 직장 내 다양성과 포함 | 1.3 | 1.4 |
KJMV4 | 자산관리 (부동산, 소유물, 공장 등) 물리적 자산, 시설관리가 여기에 해당 | 1.4 | |
KJMV5 | 제품생산품질관리 | ||
KJMV6 | 연구개발관리 | ||
KJMV7 | 세일즈 및 마케팅관리 See also: KJS 세일즈, 마케팅 | ||
KJMV8 | 구매 및 공급관리 | ||
KJMV9 | 유통 및 물류관리 See also: KNP 도소매산업 | ||
KJN | 비즈니스 협상 | ||
KJP | 비즈니스 소통능력 및 프리젠테이션 | ||
KJQ | 비즈니스 수학 및 체계 | ||
KJR | 기업경영: 역할, 이사회 및 임원의 책임 총무책임자의 역할과 책임 등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KJG 기업윤리, 사회적 책임 | 1.1 | |
KJS | 세일즈, 마케팅 판매(세일즈)기법, 기술에 관한 일반적인 사항을 다룬 도서가 여기에 해당 See also: KJMV7 세일즈 및 마케팅관리 | 1.4 | |
KJSA | 광고 광고산업이 여기에 해당 | 1.3 | |
KJSC | 브랜드, 브랜딩 | ||
KJSG | 온라인마케팅 소셜미디어나 온라인 리소스를 활용한 상품 마케팅, 웹마케팅, SEO, 관심 혹은 경험 경제, 온라인 뉴스레터, 인플루엔서가 여기에 해당 See also: KJE 전자상거래, 이커머스: 비즈니스 측면 | 1.4 | |
KJSJ | DM / 텔레마케팅 | 1.3 | |
KJSM | 시장조사 | ||
KJSP | 홍보, PR | ||
KJSU | 고객서비스 | ||
KJT | 오퍼레이션리서치 See also: PBW 응용수학 | ||
KJU | 조직론 및 조직행동 조직변동관리(OCM)가 여기에 해당 | 1.3 | |
KJV | 기업소유 및 조직 | ||
KJVB | 인수, 합병, 매입 | ||
KJVD | 민영화 | ||
KJVF | 프랜차이즈 | ||
KJVG | 다국적기업 | ||
KJVN | 공유제, 국유화 | ||
KJVP | 독점 | ||
KJVS | 소기업, 자영업 창업(자영업) 및 운영, 프리랜서, 신규 기업, 스타트업이 여기에 해당 | 1.4 | |
KJVT | 외주 및 내주 외부 계약자나 리소스를 사용하는 외부 혹은 조직의 자체 리소스를 사용하는 내주를 다룬 도서에 사용할 것 | 1.4 | |
KJVV | 조인트벤처 비스니스 파트너십, 콜라보가 여기에 해당 | 1.4 | |
KJVW | 우리사주, 협동조합 | ||
KJVX | 비영리조직 | ||
KJW | 직장, 사무실 | ||
KJWB | 사무관리 | ||
KJWF | 오피스시스템 및 장비 | ||
KJWS | 비서업무, 사무 | ||
KJWX | 근로패턴과 실습 재택근무, 교대근문, 파트타임 및 풀타임 근무, ‘긱 이코노미’, 유연하거나 제한적인 업무 실습 등이 여기에 해당 | 1.4 | |
KJZ | 특정기업의 역사 See also: NHTK 산업화 및 산업사 | ||
KN | 산업 및 산업연구 분야 전체 연구에 관한 도서 혹은 비즈니스나 산업 연구 관점에서 이러한 주제들의 측면들을 바라보는 도서에 사용할 것 | 1.3 | |
KNA | 영농 및 1차산업 특정할 코드가 없는 일반 분야 혹은 산업에 사용할 것 See also: KCVD 농업경제학 | 1.3 | |
KNAC | 농업, 영농 및 식품산업 비즈니스 혹은 산업 연구 관점에서 농업이나 식품산업을 다룬 도서에 사용할 것 See also: TV* 농축산업 and its sub-categories | 1.3 | |
KNAF | 어업과 연관산업 비즈니스 혹은 산업 연구 관점에서 어업분야를 다룬 도서에 사용할 것 See also: TVT 수경재배, 양식: 실습 및 기술 | 1.3 | |
KNAL | 산림산업 산림 및 연관 자원의 생성, 관리, 사용, 보존 및 보수에 관한 비즈니스 혹은 산업 관점에서 다룬 도서에 사용할 것 See also: TDPJ 목재가공, TVR 살림관리: 실습 및 기술 | 1.3 | |
KNAT | 채취산업 광업, 시추, 준설 및 채석이 여기에 해당. 비즈니스 혹은 산업 관점에서 다룬 도서에 사용할 것 See also: RBGL 경제지질학, TTU 광산공학 | 1.3 | |
KNB | 에너지산업 및 공익사업 비즈니스 혹은 산업 연구 관점에서 각 분야를 바라보는 일반적 도서에 사용할 것 See also: TH* 에너지기술 및 공학 and its sub-categories | 1.3 | |
KNBL | 전력생산 및 배전 공공 및 민간 공익사업 기업, 원자력 산업 등이 여기에 해당. 비즈니스 혹은 산업 연구 관점에서 이러한 분야를 바라보는 도서에 사용할 것 See also: THY* 에너지발전, 분포, 저장 and its sub-categories | 1.3 | |
KNBP | 석유, 가스 산업 셰일가스 시추기술이 여기에 해당. 비즈니스 혹은 산업 연구 관점에서 이러한 분야를 바라보는 일반적 도서에 사용할 것 See also: RBGL 경제지질학, TDCF 연료 및 석유화학제품 | 1.3 | 1.4 |
KNBT | 대체 및 재생에너지 산업 재생에너지 사업(수력 전기, 풍력, 태양열, 파도 등)을 비즈니스나 산업 연구 관점에서 다룬 도서에 사용할 것 See also: THV 대체, 재생에너지원 및 기술 | 1.3 | |
KNBW | 물산업 공공 및 민간 공익사업 기업, 식수 및 폐수 산업이 여기에 해당. 비즈니스 혹은 산업 연구 관점에서 이러한 분야를 바라보는 도서에 사용할 것 See also: TQSR 폐기물처리, TQSW 상수도 및 처리 | 1.3 | |
KND | 제조산업 비즈니스 혹은 산업 관점에서 이러한 분야를 바라보는 일반적 도서에 사용할 것 See also: TDP* 기타제조기술 and its sub-categories | 1.3 | |
KNDC | 화학, 생명공학, 제약산업 석유화학, 플라스틱산업이 여기에 해당. 비즈니스 혹은 산업 관점에서 이러한 분야를 바라보는 도서에 사용할 것 See also: TDC* 산업화학 및 화학공학 and its sub-categories | 1.3 | |
KNDD | 의류, 섬유산업 의류, 직물제조 비즈니스 혹은 산업에 관한 도서가 여기에 해당. 비즈니스 혹은 산업 관점에서 이러한 분야를 바라보는 도서에 사용할 것 See also: TDPF 직물 및 섬유, AKT 패션 및 섬유 디자인 | 1.3 | |
KNDR | 자동차와 운송차량제조업 자동차 산업, 조선, 항공, 철도 차량 제조 산업이 여기에 해당. 비즈니스 혹은 산업 관점에서 이러한 분야를 바라보는 도서에 사용할 것. 필요한 경우 차량 혹은 운송차량 유형을 특정하는 WG*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See also: TR* 수송기술 및 관련업 and its sub-categories | 1.3 | 1.4 |
KNG | 운송산업 모든 운송산업. 즉, 도로, 선박, 철도, 항공, 우주 등이 여기에 해당. 비즈니스 혹은 산업 관점에서 이러한 분야를 바라보는 도서에 사용할 것. 필요한 경우 차량 유형을 특정하기 위해 WG* 코드 함께 사용할 것 See also: KNDR 자동차와 운송차량제조업, TR* 수송기술 및 관련업 and its sub-categories, WG* 차량: 취미일반 and its sub-categories | 1.3 | |
KNJ | 건설 및 중공업 비즈니스 혹은 산업 관점에서 이러한 분야를 바라보는 도서에 사용할 것 | 1.3 | |
KNJC | 건설 및 건축산업 비즈니스 혹은 산업 관점에서 이러한 분야를 바라보는 도서에 사용할 것 See also: TN* 토목공학, 측량, 건설 and its sub-categories | 1.3 | |
KNJH | 철강 및 기타 금속산업 비즈니스 혹은 산업 관점에서 이러한 분야를 바라보는 도서에 사용할 것 See also: TDPM 금속기술 / 금속공학 | 1.3 | |
KNP | 도소매산업 유통업, 창고업이 여기에 해당. 비즈니스 혹은 산업 연구 관점에서 이러한 분야를 바라보는 도서에 사용할 것 See also: KJMV9 유통 및 물류관리 | 1.3 | |
KNS | 환대 및 서비스산업 비즈니스 혹은 산업 연구 관점에서 이러한 분야를 바라보는 도서에 사용할 것 See also: TTVC 호텔, 환대 및 식음료서비스업 | 1.3 | |
KNSB | 식음료 서비스산업 케이터링 산업(음식공급업)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TDCT 식음료기술, TTVC2 음식공급 및 음식준비 기술 및 관련업 | 1.3 | |
KNSG | 환대, 스포츠, 여가, 여행산업 호텔산업, 호텔경영, 테마파크, 피트니스 비스니스가 여기에 해당. 레저 비즈니스 혹은 산업에 관한 도서에 사용할 것 See also: TTVC 호텔, 환대 및 식음료서비스업, WT* 여행, 휴가 and its sub-categories | 1.3 | 1.4 |
KNSJ | 행사관리산업 비즈니스 혹은 산업 연구 관점에서 이러한 분야를 바라보는 도서에 사용할 것 | 1.3 | |
KNSX | 패션 및 미용산업 화장품, 향수 산업이 여기에 해당. 비즈니스 혹은 산업 연구 관점에서 이러한 분야를 바라보는 도서에 사용할 것 See also: AKT 패션 및 섬유 디자인, JBCC3 문화연구: 패션과 사회, KNDD 의류, 섬유산업, TTVH 헤어디자인 및 미용요법 기술, WJF 패션과 스타일가이드 | 1.3 | |
KNT |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정보, 커뮤니케이션 산업 우편, 통신산업 등이 여기에 해당. 비즈니스 혹은 산업 연구 관점에서 이러한 분야를 바라보는 도서에 사용할 것 See also: GTC 언론정보학, JBCT 미디어연구 | 1.3 | |
KNTC | 영화, TV, 라디오 산업 TV, 영화, 비디오, 라디오, 팟캐스트, 오디오 산업 그리고 이것들과 연관된 스트리밍 서비스를 포함하여 관련된 산업, 기업, 기술에 관한 도서에 사용할 것 | 1.1 | 1.4 |
KNTF | 음악산업 음반, 라이브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음악관련 도서가 여기에 해당 | 1.1 | 1.4 |
KNTP | 출판산업 및 저널리즘 | 1.2 | |
KNTP1 | 출판 및 출판업 종이책, 전자책, 모든 종류의 디지털 출판, 저널이 여기에 해당. 책이나 출판의 역사에 관한 도서일 경우 NHTB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2 | 1.4 |
KNTP2 | 뉴스미디어 및 저널리즘 온오프라인 뉴스, 신문, 잡지가 여기에 해당 | 1.2 | |
KNTR | 인쇄 및 복제산업 인쇄물 및 라벨 산업이 여기에 해당 | 1.4 | |
KNTV | 컴퓨터 및 비디오게임산업 쌍방향 연예오락산업이 여기에 해당 | 1.3 | |
KNTX | 정보기술산업 기술분야, 기술산업, 실리콘밸리가 여기에 해당 See also: KJE 전자상거래, 이커머스: 비즈니스 측면 | 1.3 | |
KNV | 시민서비스 및 공공영역 See also: JPP 행정 | ||
KNX | 노사관계, 노동위생, 안전 노동조합, 파업, 쟁의조정과 협상, 산업안전 및 보건 등이 여기에 해당. 중공업이나 제조업뿐 아니라 모든 산업 및 영리목적의 작업장에 사용할 것 | 1.3 | |
KNXC | 직장 내 노동위생, 안전 | 1.1 | 1.3 |
KNXN | 노동쟁의중재 및 협상 | 1.1 | |
KNXU | 노동조합 노동조합, 조직 노동자가 여기에 해당 | 1.1 | 1.3 |
L | 법 L* 코드는 학술, 전문가 대상 도서에만 사용할 것. 대분류 최상위 코드인 L 코드 자체는 사용할 수 없으며 L* 코드 하위 카테고리에서 적절한 주제어 선택하여 사용할 것. L* 섹션은 특정한 법률체계를 반영하고 있지 않으므로 대부분의 경우 특정 도서에 대해 적절하게 해당 도서의 주제어를 표현하려면 최소 2개 이상의 주제어를 선택할 필요가 있음. 필요한 경우 사법 관할권(재판적 등)을 표시하기 위해 적절한 장소 수식자 1*과 함께 사용(특히 코드 LN* 코드 선택할 경우)하고, 여기에 적절한 다른 수식자 추가 선택할 것. 일반 성인 독자 대상 도서일 경우 VS* 코드 사용 권장 | 1.4 | |
LA | 법학일반 | ||
LAB | 법철학, 이론, 방법 | ||
LAF | 법체계 다양한 법률 체계에 대해 다룬 도서 혹은 특정 유형의 법률은 특정 법체계에 속해 있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서에 사용할 것. 모든 LAF* 코드는 다른 L* 코드 주제어와 함께 사용하고 필요한 경우 적절한 장소 수식자 1*과 함께 사용하여 법률 시스템 유형과 법의 유형 그리고 사법체계 관할권 등을 표현할 것 | 1.4 | |
LAFC | 법체계: 관습법(common law) | ||
LAFD | 법체계: 민법 민법에 기반한 법률, 민법 체계에 관한 도서에 사용할 것 See also: LAFR 법체계: 로마법 | 1.4 | |
LAFF | 법체계: 관습법(customary law) 전체 혹은 부분적으로 관습이나 선례에 기반한 법률 체계를 다룬 도서에 사용할 것 | 1.4 | |
LAFG | 법체계: 혼합체계 둘 이상의 법체계에 기반한 법률 체계에 관한 도서에 사용할 것 | 1.4 | |
LAFR | 법체계: 로마법 | ||
LAFS | 법체계: 회교율법 See also: LW 회교율법 | ||
LAFT | 법체계: 율법 | ||
LAFX | 법체계: 교회법 | ||
LAM | 비교법학 | ||
LAQ | 법과 사회, 법사회학 | ||
LAQG | 법과 사회, 성 이슈 | ||
LAR | 범죄학의 법률적 측면 | ||
LAS | 법률기술 및 사무 | ||
LASD | 법률기술: 변호 | ||
LASH | 법률기술: 법률문서작성 학술적 법률 문서 작성이 여기에 해당 | 1.3 | |
LASK | 법률기술: 협상과 인터뷰 법률 기술로 구두 의사 소통이 여기에 해당 | 1.3 | |
LASN | 법률기술: 조사방법 법률 기술로 온라인 툴이나 법과 관련된 데이터베이스 사용 등이 여기에 해당 | 1.3 | |
LASP | 법률사무: 법률보조원 | ||
LAT | 법률가: 일반 See also: LNAL 법체계: 변호사에 관한 규정 | ||
LATC | 법조윤리, 직무행위 | ||
LAY | 다른 직종이나 분야에 적용되는 법률 See also: VSD 비전문가용 법률, 시민의식, 권리 | ||
LAZ | 법의역사 | ||
LB | 국제법 | ||
LBB | 국제공법 | ||
LBBC | 국제공법: 조약 및 기타 | ||
LBBC1 | 국제공법: 관습법 | ||
LBBD | 국제공법: 외교관련법 | ||
LBBF | 국제공법: 사법관할 및 면책특권 | ||
LBBJ | 국제공법: 영토 및 국가지위 | ||
LBBK | 국제공법: 해양법 주권국에 영향을 끼치는 해안경계선이나 해저 자원 등의 규정을 위한 법률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LBDM 국제법, 운송 및 무역: 해상법, LNCB5 해상운송법 | ||
LBBL | 국제공법: 보건 | ||
LBBM | 국제공법: 경제, 무역 | ||
LBBM1 | 국제공법, 경제 및 무역: 관세 | ||
LBBM3 | 국제공법, 경제 및 무역: 투자협정 및 분쟁 | ||
LBBM5 | 국제공법: 에너지 및 천연자원 | ||
LBBM7 | 국제공법, 경제 및 무역: 기업 | ||
LBBP | 국제공법: 환경 | ||
LBBP1 | 국제공법, 환경: 농업관련법 | ||
LBBQ | 국제공법: 행정 | ||
LBBR | 국제공법: 인권 국제법상 실체적 권리이며 양도할 수 없는 권리에 관한 도서가 여기에 해당 | 1.4 | |
LBBR1 | 국제공법, 인권: 노동 및 사회 | ||
LBBS | 국제공법: 인도주의법률 난민조약, 전시법규 등이 여기에 해당 | ||
LBBU | 국제공법: 국제기구 및 기관 | ||
LBBV | 국제공법: 국가 및 기타 단체의 책임 | ||
LBBZ | 국제공법: 형법 | ||
LBD | 국제법: 운송, 통신, 무역 | ||
LBDA | 국제법, 운송: 우주 및 항공우주산업법 | ||
LBDK | 국제법: 초국가적무역 및 국제상품매매관련법 | ||
LBDM | 국제법, 운송 및 무역: 해상법 선박, 화물, 보험, 해적행위 등에 관한 법률이 여기에 해당. 주권국이 아닌 해상기업에 영향을 미침 See also: LBBK 국제공법: 해양법, LNCB5 해상운송법 | ||
LBDT | 국제법: 통신, 전기통신 및 미디어 | ||
LBG | 국제사법 | ||
LBH | 국제법: 국제분쟁 및 민사소송 | ||
LBHG | 국제법: 국제재판소 및 절차 | ||
LBHT | 국제법: 중재 | ||
LBJ | 국제법: 지적재산권 | ||
LBK | 국제법: 스포츠 | ||
LBL | 국제법 보고서 | ||
LN | 특정관할 및 분야에 관한 법률 모든 LN* 코드에는 재판적을 나타내는 적절한 장소 수식자 1*과 함께 사용 | ||
LNA | 법체계: 일반 | ||
LNAA | 법체계: 법원과 절차 | ||
LNAA1 | 법체계: 사법권 | ||
LNAA2 | 법체계: 법의 무시 | ||
LNAC | 법체계: 민사소송, 고소, 분쟁해결 See also: LNFX 형사소송 | ||
LNAC1 | 민사책임 | ||
LNAC12 | 보상, 배상 | ||
LNAC14 | 손해와 배상 | ||
LNAC16 | 법원명령 및 기타 | ||
LNAC3 | 민사소송: 증거법 | ||
LNAC4 | 민사소송: 조사, 절차 | ||
LNAC5 | 조정, 중재, 분쟁해결기구 중재 및 법적 협상이 여기에 해당 | 1.4 | |
LNAF | 법체계: 소송비용 및 기금 | ||
LNAL | 법체계: 변호사에 관한 규정 | ||
LNB | 민법: 일반 | ||
LNBA | 법적실체 (자연인 및 법인) | ||
LNBB | 주민등록제도 | ||
LNC | 회사법, 상법, 독점규제법: 일반 | ||
LNCB | 상법 | ||
LNCB1 | 금융관련법 | ||
LNCB2 | 전자상거래관련법 | ||
LNCB3 | 상품매매관련법 | ||
LNCB4 | 아웃소싱관련법 | ||
LNCB5 | 해상운송법 해양 활동을 관할하는 국내법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LBBK 국제공법: 해양법, LBDM 국제법, 운송 및 무역: 해상법 | 1.3 | |
LNCB6 | 항공법 | ||
LNCB7 | 요식업관련법 소비용 식품의 준비 및 조리에 관한 법률, 규정과 위생 그리고 안전 관련 법률을 포함하여 대중에게 식품을 준비, 판매 또는 제공하는 기관, 기업, 혹은 개인과 관련된 법률에 대한 도서에 사용할 것 See also: LNTV 식품위생관련법 | 1.4 | |
LNCB8 | 환대, 여행 및 관광관련법 접객업, 여행 및 관광 산업에 관한 법률과 관련 규정에 관한 도서에 사용할 것 | 1.4 | |
LNCC | 규정준수 | ||
LNCD | 회사법 | ||
LNCD1 | 인수합병관련법 | ||
LNCE | 등기 및 의사록관련법 | ||
LNCF | 파트너십 및 협동조합법 | ||
LNCG | 회사변경관련법, 조직변경 | ||
LNCH | 독점규제법 | ||
LNCJ | 계약관련법 | ||
LNCK | 기업범죄 | ||
LNCL | 대리인관련법 | ||
LNCN | 조달사업에관한법률 | ||
LNCQ | 건설기술관련법 | ||
LNCQ1 | 민간건설기술관련법 | ||
LNCQ2 | 공공건설관련법 | ||
LNCR | 에너지 및 천연자원관련법 | ||
LND | 헌법 및 행정법: 일반 | ||
LNDA | 시민권 및 국적법 | ||
LNDA1 | 이민법 | ||
LNDA3 | 정치망명법 | ||
LNDB | 행정구역 및 행정학 | ||
LNDB1 | 행정법: 일반 | ||
LNDB2 | 행정절차 및 관할법원 | ||
LNDB3 | 국가 및 공공재산 | ||
LNDB4 | 행정부의 제재권 | ||
LNDB5 | 공용수용, 강제수용, 수용권 | ||
LNDB6 | 규칙제정 및 행정입법 | ||
LNDB7 | 공공서비스규정 See also: LNCN 조달사업에관한법률 | 1.2 | |
LNDB8 | 과학 및 연구관련법, 대학관련법 See also: PDJ 과학규정 및 실험 | ||
LNDC | 법: 인권 및 시민자유 관할권에 적용되는 실질적 권리가 여기에 해당 See also: JPVH 인권, 시민권 | 1.4 | |
LNDC1 | 헌법 및 인권 | ||
LNDC2 | 개인사생활보호법 | ||
LNDC4 | 표현의자유관련법 | ||
LNDC5 | 헌법사 및 비교헌법 | ||
LNDE | 공무원법 | 1.3 | |
LNDF | 정보공개법 | ||
LNDG | 종교법 및 협약 | ||
LNDH | 국가권력 | ||
LNDJ | 국고부담금 및 배상법 | ||
LNDK | 병역, 방위사업, 민방위관련법 | ||
LNDL | 치안, 경찰관련법, 무기관련법 | ||
LNDM | 사법심사 | ||
LNDP | 의회 및 입법실무 | ||
LNDS | 선거법 | ||
LNDU | 광역단체제정법규 | ||
LNDV | 기초단체제정법규 | ||
LNDX | 헌법 | ||
LNE | 경제행정법 및 공공상거래법 | ||
LNEA | 재정행정 및 국가재정법 | ||
LNEB | 대외경제 및 관세법 | ||
LNEC | 세액공제 및 보조금관련법 | ||
LNEF | 조달청 서비스 및 공급 | ||
LNF | 형법: 절차 및 범죄 | ||
LNFB | 형사사법제도 | ||
LNFG | 형법: 국가대항범죄 | ||
LNFG1 | 국가, 공공행정, 사법행정대항범죄 | ||
LNFG2 | 토지이용, 도시계획, 기념비, 환경보호대항범죄 | ||
LNFJ | 형법: 고의적 상해 | ||
LNFJ1 | 형법: 스토킹과 괴롭힘 | 1.4 | |
LNFJ2 | 형법: 성폭력 | 1.4 | |
LNFL | 형법: 재산권침해 | ||
LNFN | 사기죄 | ||
LNFQ | 청소년형법 | ||
LNFR | 공중보건 및 안전, 질서위반 | ||
LNFS | 형법: 가중처벌법 | ||
LNFT | 도로교통법, 자동차운행관련위반행위 | ||
LNFU | 형법: 국가재정범죄 | ||
LNFV | 형법: 테러방지법 | ||
LNFW | 부패 | ||
LNFX | 형사소송 | ||
LNFX1 | 선고와 처벌 | ||
LNFX3 | 범죄절차: 증거법 | ||
LNFX31 | 범죄절차: 조사, 절차 | ||
LNFX5 | 경찰법과 집행절차 | ||
LNFX51 | 경찰법: 예비적금지명령 | ||
LNFX7 | 행형법 | ||
LNFY | 배심재판 | ||
LNH | 노동법: 일반 | ||
LNHD | 직장내차별과 괴롬힘방지법 | ||
LNHH | 직업보건 및 안전법, 노동시간법 | ||
LNHJ | 노동규칙 위반 및 벌칙 | ||
LNHR | 노동조합법 | ||
LNHU | 근로계약 | ||
LNHW | 직업교육법 | ||
LNHX | 노동법: 절차 및 분쟁해결 | ||
LNJ | 엔터테인먼트 및 미디어법 | ||
LNJD | 모욕, 명예회손, 중상모략법 | ||
LNJS | 스포츠관련법 | ||
LNJX | 광고, 마케팅 및 후원법 | ||
LNK | 환경, 운송, 계획법: 일반 | ||
LNKF | 농업관련법 | ||
LNKG | 동물관련법 | ||
LNKJ | 환경법 | ||
LNKK | 재난관리 및 화재보호법 | ||
LNKN | 자연보호법 | ||
LNKP | 물과폐수관련법 | ||
LNKT | 운송법 | ||
LNKV | 도로교통법 | ||
LNKW | 계획법 | ||
LNKX | 역사적건물 및 문화적 자산의 보호 | ||
LNL | 법: 자기자본, 신탁재산, 재단기금 | ||
LNM | 가족법 | ||
LNMB | 가족법: 결혼, 별거, 이혼 | ||
LNMC | 가족법: 동거 | ||
LNMF | 가족법: 동성파트너십 | ||
LNMI | 가족법: 부부간 재산상황보고서 | ||
LNMK | 가족법: 아동 | ||
LNP | 재정법: 일반 | ||
LNPA | 회계 및 회계감사법 | ||
LNPB | 은행법 | ||
LNPC | 파산 및 채무초과 금융문제로 사업을 그만두거나 회사구조조정을 사법적으로 처리하는 경우가 여기에 해당 | 1.2 | |
LNPC1 | 파산법: 재판외절차 기업금융문제를 사법절차 외의 방법으로 접근하는 경우가 여기에 해당. 예: 자발적합의 | 1.2 | |
LNPD | 캐피탈시장 및 담보법규 | ||
LNPF | 금융서비스규제법률 | ||
LNPN | 보험법 | ||
LNPP | 연금, 노후대비, 사적연금 | ||
LNQ | IT 및 통신관련법: 우편법 See also: LNCB2 전자상거래관련법 | ||
LNQD | 데이터보호법 | ||
LNQE | 컴퓨터범죄, 사이버범죄 | ||
LNR | 지적재산권법 | ||
LNRC | 저작권법 | ||
LNRD | 특허법 | ||
LNRF | 상표법 | ||
LNRL | 디자인법 | ||
LNRV | 비밀정보보호법 See also: LNQD 데이터보호법 | ||
LNS | 재산법: 일반 See also: LNKW 계획법 | ||
LNSH | 토지및부동산법 | ||
LNSH1 | 소유권 및 모기지법 | ||
LNSH3 | 임대차보호법 | ||
LNSH5 | 부동산양도법 | ||
LNSH7 | 감정평가관련법 | ||
LNSH9 | 주택법 | ||
LNSP | 물권법 | ||
LNT | 사회법 및 의료법 | ||
LNTC | 자선관련법 | ||
LNTD | 교육법 | ||
LNTH | 사회보장 및 복지법 | ||
LNTH1 | 사회보험법 | ||
LNTJ | 공중위생 및 안전관련법 | ||
LNTM | 의료 및 건강관리관련법 | ||
LNTM1 | 정신건강법 | ||
LNTM2 | 의료 및 의료장비관련규정 | ||
LNTN | 약사법 | ||
LNTQ | 장애관련법 | ||
LNTS | 노인관련법 | ||
LNTU | 소비자보호법 | ||
LNTV | 식품위생관련법 식품 수입 및 수출, 관련 동물 복지 규정, 식품 안전, 이력추적(traceability)을 포함하는 식품 기준을 다루는 모든 관련 법률과 규정, 제품 회수 및 리콜, 라벨링, 알레르기 조언 등에 관한 도서도 여기에 사용할 것 See also: LNCB7 요식업관련법 | 1.4 | |
LNTX | 허가, 게임, 클럽관련법 주류판매, 도박 등 이것들의 금지, 관련 시설에 관한 법률 등에 사용할 것 | 1.4 | |
LNU | 세법 | ||
LNUC | 법인세, 영업세 | ||
LNUD | 지방세, 부과, 소비세 | 1.4 | |
LNUP | 대인세 | ||
LNUS | 판매세, 관세 부가가치세 관련 법률, 일반 판매세 관련 법률 시스템이 여기에 해당 | 1.4 | |
LNUT | 신탁재산세, 증여세 | ||
LNUU | 부동산취득세, 가치평가 | ||
LNUV | 국내소비세 주류, 연료, 담배와 같은 상품에 부과되는 간접세에 관한 법률 | 1.4 | |
LNUW | 기타 거래세 | ||
LNUX | 국제세법 | ||
LNUY | 세금징수 | ||
LNV | 불법행위, 손해 및 보상관련법 See also: LNAC14 손해와 배상 | ||
LNVC | 과실 일반과실뿐 아니라 업무상 과실도 여기에 해당 | ||
LNVF | 소란행위 | ||
LNVJ | 상해 | ||
LNW | 법: 유언장, 공증, 승계 | ||
LNX | 일반법 | 1.2 | |
LNZ | 주요 법원(法源) 법의 출처 및 유형을 구분하기 위해 다른 L*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4 | |
LNZC | 법원(法源): 판례법, 판례 사법부의 법률적 결정, 판단과 관련한 도서에 사용할 것 | 1.4 | |
LNZL | 법원(法源): 제정법 입법부 혹은 법을 제정할 권한을 가진 사회적 그룹으로부터 나온 법의 출처가 여기에 해당 | 1.4 | |
LW | 회교율법 | ||
LWF | 회교율법: 회교법학의 4개학파 | ||
LWFA | 회교율법: 샤피학파 | ||
LWFB | 회교율법: 한발리학파 | ||
LWFC | 회교율법: 말리카학파 | ||
LWFD | 회교율법: 하나피학파 | ||
LWK | 회교율법: 핵심주제 및 실천 | ||
LWKF | 회교율법: 가족관계 | ||
LWKG | 회교율법: 죄와 처벌 | ||
LWKH | 회교율법: 유산 및 재산의처분 | ||
LWKL | 회교율법: 경제 및 재정 | ||
LWKM | 회교율법: 음식규정 | ||
LWKN | 회교율법: 술과 도박 | ||
LWKP | 회교율법: 풍습 및 품행 | ||
LWKR | 회교율법: 사법 (형벌 및 변절 포함) 파트와가 여기에 해당 | 1.3 | |
LWKT | 회교율법: 이슬람의식 | ||
LWKT1 | 회교율법: 이슬람의식: 정화 | ||
LWKT2 | 회교율법: 이슬람의식: 지하드 | ||
LWKT3 | 회교율법: 이슬람의식: 기도 및 장례식기도 | ||
LWKT4 | 회교율법: 이슬람의식: 자카트 | ||
LWKT5 | 회교율법: 이슬람의식: 금식 | ||
LWKT6 | 회교율법: 이슬람의식: 순례 | ||
LX | 법: 개정가이드 및 연구 | ||
M | 의학, 간호학 M* 코드는 학술, 기술 및 전문 의료 관련 도서에만 사용할 것. 보통 이 코드는 다른 주제어 코드나 수식자와 함께 사용하지 않음. 만일 일반 성인 독자 대상의 도서일 경우 건강에 관한 주제를 다룬 V* 코드 사용 권장함 | 1.4 | |
MB | 의학: 일반 | ||
MBD | 의료업 | ||
MBDC | 의학윤리 및 직무 | ||
MBDP | 의사와 환자의 관계 | ||
MBDS | 환자안전 의료보건체계 안에서 환자의 안전과 안녕을 확보하기 위해 설계된 절차, 안전수칙, 표준, 훈련 등에 관한 전문가용 도서에 사용할 것 See also: MJCJ3 병원감염 | 1.1 | |
MBF | 의료 및 의료정보학 See also: PSAX 컴퓨터생명공학 / 생물정보학 | ||
MBG | 의료장비 및 기술 | ||
MBGL | 의료실험테스트 및 기술 | ||
MBGR | 의학연구 | ||
MBGR1 | 임상시험 | ||
MBGT | 원격의료 원격의료, mHealth, eHealth, 비디오 혹은 온라인 상담, 원격치료가 여기에 해당. 필요한 경우 치료를 특정하기 위해 다른 M*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4 | |
MBN | 공중위생 및 예방의학 | ||
MBNC | 검진 집단 검진, 고위험/선택적 검진이 여기에 해당 | 1.3 | |
MBNH | 개인 및 공중위생 / 보건교육 건강교육, 환자교육, 보건 교육 전문가 양성에 관한 전문가용 도서가 여기에 해당 | 1.3 | |
MBNH1 | 위생 | ||
MBNH2 | 환경요인 환경건강, 환경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등이 여기에 해당 | 1.4 | |
MBNH3 | 영양학 및 영양 다이어트, 건강 및 질병에 관한 의학 및 학술서에 사용할 것 See also: VFM 신체단련과 다이어트 | 1.4 | |
MBNH4 | 산아제한, 피임, 가족계획 | ||
MBNH9 | 건강심리학 | ||
MBNK | 예방접종 | 1.3 | |
MBNS | 전염병학 및 의학통계 의학 및 건강 과학에 관한 통계 적용 혹은 질병 (일반적으로 전염병과 질병 모두 포함) 및 기타 비 질병, 건강과 관련된 문제의 발생률, 분포 및 가능한 통제에 대한 연구를 다루는 도서가 여기에 해당 | 1.4 | |
MBP | 의료체계 및 서비스 | ||
MBPA | 일차진료의학, 일차보건의료 | ||
MBPC | 일반진료/가족의료 가족의료가 여기에 해당 | 1.4 | |
MBPK | 정신건강서비스 | ||
MBPM | 의료행정 및 관리 | ||
MBPN | 거주간호 노인간호, 회복기 환자 요양소, 호스피스, 요양원, 전문요양시설(SNF), 가정 간호, 요양소, 중간치료시설 등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JKSG 노인부양, MQCL4 노인간호, MQCL9 임종간호 | 1.2 | 1.3 |
MBPR | 의료보험 | ||
MBQ | 법의학 이슈 | ||
MBS | 의료사회학 | ||
MBX | 의학사 See also: NHTF 역사: 전염병, 질병 등 | ||
MF | 예과: 기초의학 See also: PSB 생화학 | ||
MFC | 해부학 | ||
MFCC | 세포학 | ||
MFCH | 조직학 | ||
MFCR | 국소해부학 | ||
MFCX | 해부 | ||
MFG | 생리학 | ||
MFGC | 세포생리학 | ||
MFGG | 생리학 / 부위 | ||
MFGM | 대사 | ||
MFGT | 전기 생리학 뇌파검사, 심전도, 전기 피질 검사, EGG, ECG, 전기 신경 검사가 여기에 해당 | 1.4 | |
MFGV | 생체역학, 인간운동학 운동생리학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SCGF 스포츠과학 및 체육 | ||
MFK | 인간의생식, 성장 및 발달 | ||
MFKC | 생식의료 | ||
MFKC1 | 불임 및 수정 보조생식기술(IVF)이 여기에 해당 | 1.3 | |
MFKC3 | 발생학 | ||
MFKH | 인간의성장 및 발달 | ||
MFKH3 | 성숙 및 노화 | ||
MFN | 의학유전학 | ||
MJ | 임상 및 내과 | ||
MJA | 의료진단 | ||
MJAD | 환자의 검사 | ||
MJC | 질병 및 장애 | ||
MJCG | 선천성질환 및 장애 | ||
MJCG1 | 유전성질환 및 장애 | ||
MJCJ | 감염성 및 전염성질환 전염성/전염성 질병, 전염병, 바이러스, 세균 및 기생충 감염, 치료 및 예방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MKFM 병원미생물학 및 바이러스학 | 1.4 | |
MJCJ1 | 성병 성병 감염이 여기에 해당 | 1.4 | |
MJCJ2 | 의학: HIV / AIDS, 레트로바이러스 질병 인체 면역 결핍 바이러스 및 후천성 면역 결핍 증후군에 관한 의학 도서가 여기에 해당 | 1.4 | |
MJCJ3 | 병원감염 병원감염(의료기관을 통해 감염), 의원성 감염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MBDS 환자안전 | 1.4 | |
MJCL | 종양학 | ||
MJCL1 | 방사선치료 | ||
MJCL2 | 화학요법 | ||
MJCM | 면역학 | ||
MJCM1 | 의학: 알레르기 아나팔락시스, 건초열(알레르기성 비염), 음식 알레르기가 여기에 해당. 알레르기에 관련한 의학 도서에 사용할 것 | 1.4 | |
MJD | 심장혈관의학 | ||
MJE | 근골격계의학 See also: MNS 정형외과 및 골절 | ||
MJF | 혈액학 | ||
MJG | 내분비학 | ||
MJGD | 의학: 당뇨병 제1 형 및 제2 형 당뇨병, 임신성 당뇨병, 청년 성숙기 발생 당뇨병(MODY)에 관한 의학 도서에 사용할 것 | 1.4 | |
MJH | 소화기병학 | ||
MJJ | 간장학 | ||
MJK | 피부병학 | ||
MJL | 호흡기의학 | ||
MJM | 류마티스 | ||
MJP | 이비인후과 (ENT) 귀, 코, 인후, 이비인후과(두부경 수술), 후두학, 비과학, 이과 및 신경학이 여기에 해당. 수술 테크닉에 관한 도서는 MN*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4 | |
MJPD | 청각 및 이과학 | ||
MJQ | 안과학 안과, 눈 수술 등이 여기에 해당. 수술 테크닉에 관한 도서는 MN*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4 | |
MJR | 신장의학 및 신장병학 | ||
MJRD | 혈액투석 | ||
MJS | 비뇨기과 및 비뇨생식기의학 남성 성기능장애 등이 여기에 해당 | ||
MK | 의과분야 | ||
MKA | 마취 | ||
MKAL | 통증 및 통증관리 | ||
MKB | 완화의학 | ||
MKC | 부인과 및 산부인과 | ||
MKCM | 모성태아의학 / 출산의료학 | 1.3 | |
MKD | 소아의학 | ||
MKDN | 신생아의학 | ||
MKE | 치과의학 예방, 치료, 미용치과, 치과 위생이 여기에 해당. 기본, 일반 및 임상 치과에 관한 도서에 사용할 것. 치과 간호용 도서인 경우 MQC* 코드, 치과 행정인 경우 MBPM 코드 함께 사용할 것 | 1.4 | |
MKED | 치과 교정술 치과교정학, 치열교정이 여기에 해당 | 1.4 | |
MKEH | 치과 전공분야 보철학, 치내요법학, 치주학, 소아치과, 치과 마취학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MKED 치과 교정술 | 1.4 | |
MKEP | 구강악안면외과 | ||
MKF | 병리학 | ||
MKFC | 세포병리학 | ||
MKFH | 조직병리학 조직검사가 여기에 해당 | ||
MKFK | 만성질환 만성피로증후군이 여기에 해당 | 1.2 | 1.4 |
MKFM | 병원미생물학 및 바이러스학 See also: MJCJ 감염성 및 전염성질환 | ||
MKFP | 기생충학 | ||
MKFS | 심신의학 | 1.2 | |
MKG | 약리학 기본, 일반 및 임상 약리학에 관한 도서에 사용할 것 | 1.4 | |
MKGT | 의료독성학 | ||
MKGW | 정신약리학 | ||
MKH | 재생의학 | 1.1 | |
MKHC | 재생의학: 줄기세포 | 1.1 | 1.2 |
MKJ | 신경과 및 임상신경생리학 신경 및 신경퇴행성 장애, 신경계 질환 및 장애에 관한 도서에 사용할 것 | 1.4 | |
MKJA | 자폐증 및 아스퍼거 증후군 | ||
MKJD | 알츠하이머 및 치매 | ||
MKL | 정신의학 | ||
MKLD | 정신질환 | 1.3 | |
MKM | 임상심리학 See also: JMP 이상심리학 | ||
MKMT | 심리치료 | ||
MKMT1 | 심리치료: 일반 | ||
MKMT2 | 심리치료: 그룹 | ||
MKMT3 | 심리치료: 아동 및 청소년 | ||
MKMT4 | 심리치료: 커플 및 가족 | ||
MKMT5 | 심리치료: 상담 | ||
MKMT6 | 인지행동치료 | ||
MKN | 노인의학 | ||
MKP | 사고 및 응급학 | ||
MKPB | 외상 및 충격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가 여기에 해당 | 1.3 | |
MKPD | 화상 | ||
MKPL | 집중치료의학 | ||
MKR | 핵의학 | ||
MKS | 의료영상 See also: TTBM 이미지시스템기술 | ||
MKSF | 초음파 | 1.3 | |
MKSG | 핵자기공명 (NMR / MRI) | 1.3 | |
MKSH | 방사선과 | 1.3 | |
MKSJ | 단층촬영 | 1.3 | |
MKT | 법의학 | ||
MKV | 환경의학 | ||
MKVB | 항공 및 우주의학 | ||
MKVD | 다이빙 및 고압의학 | ||
MKVP | 직업병의학 See also: KNX 노사관계, 노동위생, 안전 | ||
MKVQ | 여행의학 | 1.3 | |
MKVT | 열대의학 | ||
MKW | 스포츠부상 및 의학 See also: SCGF 스포츠과학 및 체육 | ||
MKZ | 치료 및 치료제 See also: MJCL1 방사선치료, MJCL2 화학요법, MKMT* 심리치료 and its sub-categories, MQS 물리치료, MQT* 작업요법 and its sub-categories | ||
MKZD | 섭식장애 및 치료 | ||
MKZF | 비만: 치료 및 요법 | ||
MKZL | 언어장애 및 치료 언어병리학, 언어 및 언어와 관련한 모든 치료법이 여기에 해당 | 1.4 | |
MKZR | 중독 및 치료 | ||
MKZS | 수면장애 및 치료 수면장애, 불면증, 수면 무호흡증이 여기에 해당 | 1.4 | |
MKZV | 유전자 치료 | ||
MN | 외과 See also: MKEP 구강악안면외과 | ||
MNB | 수술기법 | ||
MNC | 일반수술 | ||
MND | 복부수술 | ||
MNG | 위장관 및 대장수술 | ||
MNH | 흉부외과 | ||
MNJ | 혈관수술 | ||
MNK | 외과종양학 | ||
MNL | 중환자수술 | ||
MNN | 신경외과 | ||
MNP | 성형 및 재건수술 | ||
MNPC | 미용성형수술 | ||
MNQ | 이식수술 | ||
MNS | 정형외과 및 골절 See also: MJE 근골격계의학 | ||
MNZ | 수술전후 주의 See also: MQCL6 수술간호 | ||
MQ | 간호 및 보조서비스 의료 전문가 혹은 자체 주제어 코드가 없는 의료 보조 역할에 관한 도서에 사용할 것 | 1.4 | |
MQC | 간호 | ||
MQCA | 간호기초 및 기술 | ||
MQCB | 간호연구 및 이론 | ||
MQCH | 간호사와 환자 관계 | ||
MQCL | 간호분야 | ||
MQCL1 | 사고 및 응급간호 | ||
MQCL2 | 집중치료간호 중환자 간호가 여기에 해당 | 1.4 | |
MQCL3 | 소아간호 어린이 간호가 여기에 해당 | 1.4 | |
MQCL4 | 노인간호 노인간호, 노인 간호 및 돌보기가 여기에 해당 | 1.4 | |
MQCL5 | 정신간호 정신건강 간호가 여기에 해당 | 1.4 | |
MQCL6 | 수술간호 수술 전후 및 수술실 간호가 여기에 해당 See also: MNZ 수술전후 주의 | 1.4 | |
MQCL7 | 임상 간호사/상급 간호 실습 등 | 1.4 | |
MQCL9 | 임종간호 완화간호, 임종간호가 여기에 해당 | 1.4 | |
MQCM | 간호약리학 | ||
MQCW | 간호사회학 | ||
MQCX | 지역사회간호 방문간호사, 일반간호 및 기타 병원 외부 간호 분야 전문서가 여기에 해당 | 1.4 | |
MQCZ | 간호관리 및 리더십 | ||
MQD | 산파술 | ||
MQDB | 출산방법 | ||
MQF | 응급처치 및 준의료서비스 | ||
MQG | 의사 보조직/보조의사 임상보조원, 의료보조원, 의사보조사가 여기에 해당. 의사, 의사 및 기타 자격을 갖춘 의료 전문가를 지원하기 위해 교육을 받거나 교육받은 자격을 갖춘 의료 전문가에 관한 도서에 사용할 것. 전문분야를 특정하기 위해 다른 M*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3 | 1.4 |
MQH | 방사선촬영 | ||
MQK | 발치료 및 발병학 | ||
MQP | 약국 / 조제 | ||
MQR | 시력검사 / 안경사 | ||
MQS | 물리치료 물리치료, 운동처방이 여기에 해당 | 1.4 | |
MQT | 작업요법 레크리에이션 요법, 원예요법이 여기에 해당 | 1.4 | |
MQTC | 창조적요법 예술, 음악, 드라마 치료가 여기에 해당 | 1.4 | |
MQU | 의료상담 | ||
MQV | 재활 | ||
MQVB | 재활: 뇌 및 척수부상 | ||
MQW | 의용생체공학 | ||
MQWB | 장구학 | ||
MQWP | 보철 | ||
MQZ | 시체안치실습 | ||
MR | 의학연구 및 개정가이드, 참고자료 | ||
MRG | 의학연구 및 개정가이드 의학 시험 관련한 적절한 장소 수식자 1*과 교육관련 수식자 4*와 함께 사용할 것 | 1.3 | |
MRGD | 의학개정가이드: MRCP | ||
MRGK | 의학개정가이드: MRCS | ||
MRGL | 의학개정가이드: PLAB | ||
MRT | 진료차트, 칼라 아틀라스 해부학 차트, 아틀라스 및 포스터가 여기에 해당 | 1.4 | |
MX | 대체의학 모든 MX* 코드를 다음의 경우에 사용할 것: 의대생 및 전문의를 위한 전문가용 대체 또는 전통 의학에 관한 학술, 전문가용 중국, 아유르베다 의학요법, 자연의학, 식물요법, 의료침술, 뜸. 필요한 경우 VXH* 코드를 부가적으로 사용하여 특정 보완 약물의 세부 정보 제공 가능 See also: VXH* 보완대체치료법 and its sub-categories | 1.4 | |
MXH | 척추지압 및 정골요법 | ||
MZ | 수의학 | ||
MZA | 수의학: 일반 | 1.4 | |
MZAB | 수의학 : 연구 | 1.4 | |
MZAD | 수의학: 참조 및 통계 | 1.4 | |
MZB | 사전임상 수의학: 기초과학 | 1.4 | |
MZC | 수의학: 작은동물 작은 애완동물 수의학, 개, 고양이, 조류 진료 등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MZG 수의학: 이국적인동물, 동물원동물 | 1.4 | |
MZD | 수의학: 큰동물 가축/농장동물 수의학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MZG 수의학: 이국적인동물, 동물원동물 | 1.4 | |
MZDH | 수의학: 말 | ||
MZF | 수의학: 실험동물 | ||
MZG | 수의학: 이국적인동물, 동물원동물 | ||
MZH | 동물해부학 및 생리학 | ||
MZK | 수의병리학 및 조직학 | ||
MZL | 동물영양 | ||
MZM | 수의학: 감염성질환 및 치료제 | 1.4 | |
MZMP | 수의세균학, 바이러스학, 기생충학 | ||
MZP | 수의약리학 | ||
MZR | 수의방사선 | ||
MZS | 수의외과학 | ||
MZSN | 수의마취과 | ||
MZT | 수의치과학 | ||
MZV | 수의간호학 | ||
MZX | 동물대체의학 | ||
N | 역사, 고고학 N* 코드는 전문가뿐만 아니라 일반 성인 독자 대상 도서에도 사용할 것. 최상위 대분류 코드인 N 코드 자체를 선택해서는 안 되며 하위 주제어 중 적절한 코드 선택할 것. 필요한 경우 다른 주제어 코드나 적절한 수식자 특히 장소 수식자 1*, 시기 수식자 3*과 함께 사용할 것. 보통 역사서는 1개 이상(역사 주제어 코드 N*일수도 있고 다른 비역사 주제어 코드일 수도 있음)의 주제어 선택이 필요할 수 있음. 예를 들어 사회과학 분야인 경우 NHTB 코드와 함께 사회과학 주제어 코드인 J*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4 | |
NH | 역사 폭넓은 주제, 장소 등 일반적인 역사서에 사용. 특정 주제에 관한 역사서일 경우 해당 주제의 카테고리 내에서 관련 주제코드 사용할 것 권장. 예: 과학사는 과학 주제코드에서 PDX 코드, 종교사는 종교 주제코드에서 QRAX 코드, 경제사는 KCZ 코드. 모든 NH* 코드는 역사 주제를 가리키는 다른 주제 코드와 함께 적절한 장소 수식자 1* 및 시기 수식자 3*과 함께 사용할 것 | 1.4 | |
NHA | 역사: 이론 및 방법 | ||
NHAH | 역사기록학 | ||
NHAP | 역사연구: 원천문서 해당 주제에 관한 도서와 보통 원문 혹은 현대 번역의 주석이 달린 버전으로 현대 또는 현대 형식으로 출간된 역사적 문서에 사용할 것 See also: CFL 고문서학 | 1.4 | |
NHB | 일반 및 세계사 백과사전, 사전 또는 세계사 연대표가 여기에 해당. 역사에 관해 글로벌 관점에서 다룬 도서에 사용하고 역사 분야가 특정된 경우 이 코드는 적절하지 않음. 특정 주제를 일반적 혹은 글로벌 차원에서 다룬 도서일 경우 연관 주제 코드와 함께 사용하되 다른 주제어 범주에 해당될 경우 이 코드보다는 해당 주제 분야에서 역사를 찾아 사용하는 것이 좋음 | 1.4 | |
NHC | 고대사 도서에서 다루는 특정 지역과 주제가 ‘고대사’ 개념이나 관념에 따른 고대사에 관한 도서가 여기에 해당. 필요한 경우 적절한 장소 수식자 1* 및 시기 수식자 3*과 함께 사용할 것 | 1.4 | |
NHD | 유럽사 필요한 경우 적절한 장소 수식자 1D* 코드 혹은 1QB* 코드 및 시기 수식자 3*과 함께 사용할 것 | 1.4 | |
NHDA | 유럽사: 로마시대 필요한 경우 적절한 장소 수식자 1* 및 시기 수식자 3*과 함께 사용할 것 | ||
NHDC | 유럽사: 켈트족시대 필요한 경우 적절한 장소 수식자 1* 및 시기 수식자 3*과 함께 사용할 것 | ||
NHDE | 유럽사: 바이킹시대 필요한 경우 적절한 장소 수식자 1* 및 시기 수식자 3*과 함께 사용할 것 | ||
NHDG | 유럽사: 노르만족시대 필요한 경우 적절한 장소 수식자 1* 및 시기 수식자 3*과 함께 사용할 것 | ||
NHDJ | 유럽사: 중세시대 필요한 경우 적절한 장소 수식자 1* 및 시기 수식자 3*과 함께 사용할 것 | ||
NHDL | 유럽사: 르네상스 필요한 경우 적절한 장소 수식자 1* 및 시기 수식자 3*과 함께 사용할 것 | ||
NHDN | 유럽사: 종교개혁 필요한 경우 적절한 장소 수식자 1* 및 시기 수식자 3*과 함께 사용할 것 | ||
NHF | 아시아사 필요한 경우 적절한 장소 수식자 1F* 코드 혹은 1QB* 코드 및 시기 수식자 3*과 함께 사용할 것 | 1.4 | |
NHG | 중동사 필요한 경우 적절한 장소 1FB*, 1QB* 및 시기 3* 수식자 함께 사용할 것 | 1.4 | |
NHH | 아프리카사 필요한 경우 적절한 장소 1H*, 1QB* 및 시기 3* 수식자 함께 사용할 것 | 1.4 | |
NHHA | 아프리카사: 식민지 이전시대 필요한 경우 적절한 장소 1H*, 1QB* 및 시기 3* 수식자 함께 사용할 것 | 1.4 | |
NHK | 아메리카사 필요한 경우 적절한 장소 1K*, 1QB* 및 시기 3* 수식자 함께 사용할 것 | 1.4 | |
NHKA | 아메리카사: 콜럼버스발견 이전시대 필요한 경우 적절한 장소 1K*, 1QB* 및 시기 3* 수식자 함께 사용할 것 | 1.4 | |
NHM | 오스트랄라시아 및 태평양사 오세아니아, 멜라네시아, 미크로네시아, 폴리네시아 등이 여기에 해당. 필요한 경우 적절한 장소 1K*, 1QB* 및 시기 3* 수식자 함께 사용할 것 | 1.4 | |
NHQ | 기타 지리적 그룹 및 지역 역사 남극대륙, 극지방, 격리된 해양섬 등이 여기에 해당. 다른 NH* 코드로 포함되지 않는 지역이나 혹은 대륙 횡단 또는 여러 지역 역사에 관한 도서에 사용할 것. 필요한 경우 적절한 장소 1* 및 시기 3* 수식자 함께 사용할 것 | 1.4 | |
NHT | 역사: 특정사건 및 주제 NHT* 코드는 가급적 지역이 특정된 다른 NH* 코드와 함께 사용하고 적절한 장소 1* 및 시기 3* 수식자와 함께 사용할 것 | 1.3 | |
NHTB | 사회사, 문화사 다른 주제어 코드 특히 도서가 다루는 주제가 사회 혹은 문화와 관련된 주제를 다루고 있는 경우 해당 사회 혹은 문화를 가리키는 J*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예를 들어 노동의 역사일 경우 JHBL 코드와 함께, 여성 이슈와 관련된 역사서일 경우 JBSF1 코드 함께 사용할 것 | 1.4 | |
NHTD | 구전역사 | ||
NHTF | 역사: 전염병, 질병 등 흑사병, 역사상 전염병, 팬데믹에 관한 도서가 여기에 해당 See also: MBX 의학사 | 1.4 | |
NHTG | 계보, 문장, 이름 및 명예 See also: GTT 깃발, 상징물, 로고, VFXB1 작명: 부모용가이드, WQY 가족사, 선조추적 | ||
NHTK | 산업화 및 산업사 산업 또는 기술혁명, 사회 내 산업 혹은 기술변화의 영향에 관한 도서가 여기에 해당 See also: KJZ 특정기업의 역사 | 1.4 | |
NHTM | 해양사 해양, 선원, 해적, 포경, 낚시, 항해, 탐사, 해상무역, 해운, 해상 관련 공동체 등에 대한 역사서가 여기에 해당. 바다와 인간 상호작용 또는 활동의 역사적 측면을 다룬 도서에 사용할 것 | 1.4 | |
NHTP | 역사지리 | ||
NHTP1 | 역사지도 및 지도 아틀라스의 역사뿐 아니라 오래된 지도 혹은 특정 목적으로 그려진 지도 등 모든 종류의 지도의 역사를 다룬 도서에 사용할 것 See also: RGXB 월드아틀라스, 세계지도, RGV 지도제작법, 지도투영법 | 1.4 | |
NHTQ | 식민주의 및 제국주의 식민지와, 식민지 혹은 제국 연구에 관한 도서가 여기에 해당 See also: NHTR 민족 해방 및 독립, 포스트식민주의 | 1.4 | |
NHTR | 민족 해방 및 독립, 포스트식민주의 탈식민지화가 여기에 해당. 독립 달성, 새롭게 독립된 사회 혹은 포스트 식민 사회와 관련한 역사서에 사용할 것 | 1.4 | |
NHTS | 노예제도 및 폐지 다양한 사회, 문화 혹은 지역에서 노예제도를 역사적 측면에서 다룬 도서에 사용할 것 | 1.4 | |
NHTT | 침공, 정복 및 점령 | 1.4 | |
NHTV | 혁명, 봉기, 반란 See also: JPWQ 혁명단체 및 운동 | ||
NHTW | 냉전 및 대리충돌 냉전, 가짜 전쟁이 여기에 해당. 직접적인 군사 행동이 동반되지 않지만 주로 대리자가 수행하는 경제 및 정치적 행동, 선전, 스파이 혹은 대리전쟁을 통해 추구하는 국가 간 갈등을 다룬 도서가 여기에 해당 | 1.4 | |
NHTX | 폭력, 이민족 편견, 박해 역사 숙청, 민족학살, 폭력적 억압, 잔인, 잔학 행위, 학살 등이 여기에 해당. 다양한 사회, 문화 또는 지역의 특정 사건을 역사적 관점에서 다룬 도서에 사용할 것 | 1.4 | |
NHTZ | 대량학살 및 인종청소 | ||
NHTZ1 | 홀로코스트 | ||
NHW | 전쟁사 필요한 경우 적절한 장소 1* 및 시기 3* 수식자 함께 사용할 것 See also: JW* 국방 및 방위 and its sub-categories | ||
NHWA | 고대전쟁사 필요한 경우 적절한 장소 1* 및 시기 3* 수식자 함께 사용할 것 | 1.3 | |
NHWD | 중세전쟁 (화약 이전의 전쟁) 고대 이후의 전쟁으로 보통 기병대가 많이 투입되는 시기로 등자, 중무장 기사 혹은 성 같은 기술이 적용되지만 화약 전쟁과 같은 현대 시대 이전 기술이 적용된 전쟁을 다룬 도서에 사용할 것. 필요한 경우 적절한 장소 수식자 1*, 시기 수식자 3*과 함께 사용할 것 | 1.4 | |
NHWF | 초기현대전쟁사(화약전쟁 포함) 화약 및 관련 무기, 기술이 개발되고 사용된 시기의 전쟁을 다룬 도서에 사용할 것. 필요한 경우 적절한 장소 1* 및 시기 3* 수식자 함께 사용할 것 | 1.4 | |
NHWL | 현대전쟁사 전면전 기간에 산업 기술을 사용한 전쟁, 정교한 기술, 징집 군대 등을 다룬 도서에 사용할 것. 필요한 경우 적절한 장소 1* 및 시기 3* 수식자 함께 사용할 것 | 1.4 | |
NHWR | 특정전쟁 및 군사행동 특정 전쟁이나 캠페인(다른 메타데이터에 전쟁명이 기술되어 있음)을 다룬 도서에 사용할 것. 필요한 경우 적절한 장소 1* 및 시기 3* 수식자 함께 사용할 것 | 1.4 | |
NHWR1 | 특정전투 특정 전투(전투명은 다른 메타데이터에 설명되어 있음)를 다룬 도서에 사용할 것. 필요한 경우 적절한 장소 1* 및 시기 3* 수식자 함께 사용할 것 | 1.4 | |
NHWR3 | 남북전쟁 필요한 경우 적절한 장소 1* 및 시기 3* 수식자 함께 사용할 것 | 1.3 | |
NHWR5 | 세계1차대전 필요한 경우 적절한 장소 1* 및 시기 3* 수식자 함께 사용할 것 | 1.3 | |
NHWR7 | 세계2차대전 필요한 경우 적절한 장소 1* 및 시기 3* 수식자 함께 사용할 것 | 1.3 | |
NHWR9 | 전투사: 2차대전후기 충돌 필요한 경우 적절한 장소 1* 및 시기 3* 수식자 함께 사용할 것 | 1.3 | |
NK | 고고학 | ||
NKA | 고고학이론 | ||
NKD | 고고학: 시기, 지역별 필요한 경우 적절한 장소 1* 및 시기 3* 수식자 함께 사용할 것 | ||
NKDS | 유적 특정 현장 혹은 발굴에 관한 도서에 사용할 것 | 1.4 | |
NKL | 경관고고학 | ||
NKP | 환경고고학 | ||
NKR | 수중고고학 해양 고고학이 여기에 해당 | 1.4 | |
NKT | 산업고고학 | ||
NKV | 전장고고학 | ||
NKX | 고고학: 과학, 방법론 및 기법 | ||
P | 수학, 과학 주로 학술, 기술 및 관련 분야 전문가를 위한 도서에 사용하지만 일부는 일반 성인 독자 대상 도서에도 P* 사용할 수 있음. 대부분의 경우 수식자는 P* 코드에 필요 없으므로 사용하지 말 것. 대분류 최상위 코드인 P 코드 자체는 사용해서는 안 되며, 하위 체계인 구체적인 주제어 P* 코드 선택하여 사용할 것. 필요한 경우 성인 일반 독자 대상 도서의 경우 WN* 코드 사용 권장 | 1.4 | |
PB | 수학 | ||
PBB | 수학철학 | ||
PBC | 수학기초론 | ||
PBCD | 기호논리학 | ||
PBCH | 집합론 | ||
PBCN | 숫자체계 | ||
PBD | 이산수학 유한수학이 여기에 해당 | ||
PBF | 대수학 | ||
PBG | 군수학 및 군론 | ||
PBH | 정수론 | ||
PBJ | 미적분준비과정 | ||
PBK | 미적분 및 수리분석 | ||
PBKA | 미적분학 | ||
PBKB | 실수분석, 실변수 | ||
PBKD | 복소해석학, 복소변수 | ||
PBKF | 함수해석학 및 변환 푸리에, 힐버트, 라플라스, Z 변환 등이 여기에 해당 | ||
PBKJ | 미분학 및 방정식 | ||
PBKL | 적분학 및 방정식 | ||
PBKQ | 변분법 | ||
PBKS | 수치해석 | ||
PBM | 기하학 | ||
PBMB | 삼각법 | ||
PBMH | 유클리드기하학 | ||
PBML | 비유클리드기하학 | ||
PBMP | 미분 및 리만기하학 | ||
PBMS | 해석기하학 | ||
PBMW | 대수기하학 | ||
PBMX | 프랙털기하학 | ||
PBP | 위상수학 | ||
PBPD | 대수적위상수학 | ||
PBPH | 해석위상수학 | ||
PBT | 확률과 통계 | ||
PBTB | 베이지안추론 | ||
PBU | 최적화 | ||
PBUD | 게임이론 | ||
PBUH | 선형계획법 | ||
PBV | 조합론 및 그래프이론 | ||
PBW | 응용수학 See also: PDE 과학자용 수학, TBJ 공학수학, UYAM 컴퓨터과학자를 위한 수학 | ||
PBWH | 수학적모델링 | ||
PBWL | 추측통계학 | ||
PBWR | 비선형과학 | ||
PBWS | 카오스이론 | ||
PBWX | 퍼지이론 | ||
PBX | 수학사 | ||
PD | 과학: 일반 과학의 다양한 분야에 관한 일반 도서뿐 아니라 자연과학에도 사용할 것. 필요한 경우 적절한 다른 주제어 코드 함께 사용할 것 | 1.4 | |
PDA | 과학철학 | ||
PDC | 과학적 명명법 및 분류 | ||
PDD | 과학적 표준, 측정 등 | ||
PDE | 과학자용 수학 See also: PBW 응용수학 | ||
PDG | 산업용 과학연구 및 기술혁신 | ||
PDJ | 과학규정 및 실험 과학분야 종사자를 겨냥하여 법이나 기타 관련 지시 권한 있는 기관에서 정한 규정이 여기에 해당. 해당 과학분야를 나타내는 다른 적절한 P* 코드 함께 사용할 것 See also: LNDB8 과학 및 연구관련법, 대학관련법 | 1.1 | 1.3 |
PDK | 과학기금 및 정책 | ||
PDM | 과학연구 | ||
PDN | 과학장비, 실험, 기술 | ||
PDR | 과학 및 기술의 사회영향 과학이나 기술이 사회에 끼쳤거나 가질 수 있는 영향을 살펴본 도서에 사용할 것. 도서가 사회사인 경우 NHTB 코드와 함께 사용하고 필요한 경우 기타 P* 코드 혹은 J*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See also: JBFV5 윤리적 이슈: 과학, 기술, 의료산업 발전, UBJ 디지털 및 정보기술: 윤리, 사회적 측면 | 1.4 | |
PDT | 나노과학 나노물질, 합성, 나노입자화학에 사용할 것 See also: TBN 나노기술 | 1.1 | 1.3 |
PDX | 과학사 See also: TBX 공학, 기술의 역사 | ||
PDZ | 교양과학 교양과학 분야를 특정하기 위해 다른 P*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See also: WNW* 지구 자연사: 취미일반 and its sub-categories, WNX 교양 천문학, 우주 | ||
PDZM | 교양 및 오락용 수학 교양수학 분야를 특정하기 위해 다른 PB*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3 | |
PG | 천문학, 시공간 See also: TTD* 우주과학 and its sub-categories | ||
PGC | 이론천문학, 수리천문학 See also: PHVB 천체물리학 | ||
PGG | 천체관측: 관측, 장비, 방법 See also: WNX 교양 천문학, 우주 | ||
PGK | 우주론, 우주 | ||
PGM | 은하계, 항성 외계 행성이 여기에 해당 | 1.4 | |
PGS | 태양계: 태양과 행성 다른 행성의 달이 여기에 해당 | 1.4 | |
PGT | 천문학차트, 아틀라스 | ||
PGZ | 시간(연대순), 시간체계 및 표준 | ||
PH | 물리학 | ||
PHD | 고전역학 | ||
PHDB | 기초역학 | ||
PHDD | 해석역학 | ||
PHDF | 물리학: 유체역학 | 1.3 | |
PHDS | 파동역학 | ||
PHDT | 동학 및 정학 | ||
PHDV | 중력 | ||
PHDY | 에너지 | ||
PHF | 물질 / 물질의 상태 | ||
PHFB | 저온물리학 | ||
PHFC | 응집물질물리학: 액체상태 및 고체물리학 | ||
PHFC1 | 연성물질물리학 | ||
PHFC2 | 메조스코픽물리학 | ||
PHFG | 기체관련 물리학 | ||
PHFP | 플라스마물리학 | ||
PHH | 열역학 및 열 | ||
PHJ | 광물리학 | ||
PHJL | 레이저물리학 | ||
PHK | 전기, 전자기, 자성 | ||
PHM | 원자분자물리학 미시적 물리학이 여기에 해당 | 1.4 | |
PHN | 핵물리학 | ||
PHP | 고에너지물리학 | ||
PHQ | 양자물리학: 양자역학 및 장의양자론 | ||
PHR | 상대성이론 시간물리학 등이 여기에 해당 | 1.2 | |
PHS | 통계물리학 | ||
PHU | 수리물리학 전산 물리학이 여기에 해당 | 1.4 | |
PHV | 응용물리학 | ||
PHVB | 천체물리학 | ||
PHVD | 의료물리학 | ||
PHVG | 지구물리학 See also: RBG* 지질학, 지형학, 암석권 and its sub-categories | ||
PHVJ | 대기권물리학 | ||
PHVN | 생물물리학 | ||
PHVQ | 화학물리학 | ||
PHVS | 극저온학 | ||
PN | 화학 See also: TDC 산업화학 및 화학공학, TQ* 환경과학, 공학, 기술 and its sub-categories | ||
PNB | 의료화학 약품 발견, 설계, 약물개발 등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MKG 약리학 | 1.1 | |
PNC | 환경화학 대기, 토양, 수화학, 화학오염과 개선이 여기에 해당. 환경화학 응용에 관한 도서는 TQ* 코드 사용할 것 See also: RBGK 지구화학, TQ* 환경과학, 공학, 기술 and its sub-categories | 1.1 | |
PND | 식품화학 식품과학이 여기에 해당. 다만 해당 분야에 대해 좀 더 실제 적용에 중점을 둔 경우 TDCT2 코드 사용 권장 See also: TDCT2 식음료가공 및 공학 | 1.1 | 1.4 |
PNF | 분석화학 | ||
PNFC | 크로마토그래피 | ||
PNFR | 자기공명 | ||
PNFS | 분광분석, 분광화학, 질량분석 | ||
PNK | 무기화학 | ||
PNN | 유기화학 | ||
PNND | 유기금속화학 | ||
PNNP | 고분자화학 | ||
PNR | 물리화학 | ||
PNRA | 컴퓨터화학 | 1.1 | |
PNRC | 콜로이드질화학 | ||
PNRD | 촉매작용 | ||
PNRD1 | 생체촉매반응 | 1.1 | |
PNRE | 실험화학 | 1.2 | |
PNRH | 전기화학 및 자기화학 배터리화학이 여기에 해당 | 1.2 | |
PNRL | 핵화학, 광화학, 방사선 | ||
PNRP | 양자 및 이론화학 | ||
PNRR | 물리유기화학 | 1.1 | |
PNRS | 고체화학 | ||
PNRW | 열화학 및 화학열역학 | ||
PNRX | 계면화학 및 흡착 | ||
PNT | 결정학 | ||
PNV | 광물, 결정체, 보석 화학 | 1.2 | |
PS | 생물학, 생명과학 학술용, 전문가 수준의 도서에 PS* 코드 사용할 것. 일반 독자 대상의 도서는 WN* 코드 사용하는 것이 좋음 See also: WN* 자연세계: 취미일반 and its sub-categories | ||
PSA | 생명과학: 일반 | ||
PSAB | 분류학 및 계통학 | ||
PSAD | 생명윤리 생물학 및 의학의 발전과 연결되는 생명윤리 이슈에 관한 도서에 사용할 것 See also: JBFV 윤리적 이슈와 논쟁, MBDC 의학윤리 및 직무 | 1.2 | |
PSAF | 생태과학, 생물권 생물 및 생물간 연관성에 대해 복합적으로 다뤘으며 과학적, 객관적, 기술적으로 다룬 도서에 사용할 것 See also: RNC 응용생태학 | ||
PSAG | 제노바이오틱스 | ||
PSAJ | 진화 | ||
PSAK | 유전학(비의학분야) DNA, 게놈 등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MFN 의학유전학, TCBG 유전공학 | ||
PSAN | 신경과학 신경과학의 치료적인 측면을 다룬 도서는 MKMT6 코드 (인지행동치료) 사용할 것 See also: GTK 인지연구, MKJ 신경과 및 임상신경생리학, MKMT6 인지행동치료 | 1.1 | |
PSAN1 | 세포, 분자 신경과학 | 1.1 | |
PSAN2 | 발달신경과학 | 1.1 | |
PSAN3 | 신경촬영법 및 신경해부학 | 1.1 | |
PSAN4 | 감각모터시스템 | 1.1 | |
PSAN5 | 인지행동신경과학 | 1.1 | |
PSAX | 컴퓨터생명공학 / 생물정보학 See also: MBF 의료 및 의료정보학 | ||
PSB | 생화학 생화학적면역, 비의학적독성학, 효소학, 지질 등이 여기에 해당 | ||
PSC | 발생생물학 | ||
PSD | 분자생물학 | ||
PSE | 화학생물학 합성생물학 등이 여기에 해당 | 1.1 | |
PSF | 세포생물학, 세포학 | ||
PSG | 미생물학(비의학분야) 원생동물, 비의학적 세균학, 기생충학, 바이러스학 등이 여기에 해당 | ||
PSGN | 원생동물 | ||
PSP | 수생생물학 See also: RBK 수문학 및 수권 | ||
PSPA | 조류학(해조 및 해초) | 1.2 | |
PSPF | 담수생물학 See also: RBKF 육수학 (내수) | ||
PSPM | 해양생물학 See also: RBKC 해양학 (바다 및 대양) | ||
PSQ | 진균학 및 균류 이끼 등이 여기에 해당 | 1.3 | |
PST | 식물학 및 식물과학 | ||
PSTB | 식물생물학 | 1.1 | |
PSTH | 꽃식물(속씨식물) | 1.3 | |
PSTJ | 침엽수 및 겉씨식물 소철, 은행나무 및 겉씨식물이 여기에 해당 | 1.3 | |
PSTM | 양치식물, 이끼, 우산이끼 석송, 붕어마름이 여기에 해당 | 1.3 | |
PSV | 동물학 및 동물과학 See also: WNC 야생동물: 취미일반 | ||
PSVA | 동물학: 무척추동물 환형동물(벌레), 다지류다족강, 극피동물(불가사리, 성게), 해파리가 여기에 해당 See also: WNCN 야생동물: 나비, 기타 곤충, 거미: 일반 | 1.3 | |
PSVA2 | 곤충(곤충학) 애벌레, 나비, 나방이 여기에 해당 | 1.3 | |
PSVA4 | 갑각류(갑각류학) 게, 바닷가재, 가재, 새우, 크릴새우, 따개비 등이 여기에 해당 | 1.3 | |
PSVA6 | 연체동물(연체 동물학) 두족류, 문어, 오징어, 복족류, 달팽이, 민달팽이, 쌍각류조개, 조개, 굴, 새조개, 홍합, 가리비 등이 여기에 해당 | 1.3 | |
PSVA8 | 거미류(거미학) 거미, 전갈, 진드기 등이 여기에 해당 | 1.3 | |
PSVC | 동물학: 어류(어류학) See also: WNCS 야생동물: 수중생물: 일반 | ||
PSVF | 동물학: 양서류 및 파충류(파충류학) See also: WNCK 야생동물: 파충류, 양서류: 일반 | ||
PSVJ | 동물학: 조류(조류학) See also: WNCB 야생동물: 새, 들새관찰: 일반 | ||
PSVM | 동물학: 포유류(포유동물학) See also: WNCF 야생동물: 포유류: 일반 | 1.3 | |
PSVM1 | 동물학: 유대목동물 및 단공류동물 | ||
PSVM2 | 동물학: 바다 및 담수서식포유류 고래류, 바다소목 (고래, 돌고래, 바다소 등)이 여기에 해당. 수생 및 반수생 포유류에 사용할 것 See also: PSVM 동물학: 포유류(포유동물학), WNCS 야생동물: 수중생물: 일반 | 1.3 | |
PSVM3 | 동물학: 영장류 (영장류동물학) 여우원숭이, 원숭이, 유인원 등이 여기에 해당 | ||
PSVP | 행동생물학 및 동물행동학 | 1.3 | |
PSX | 인간생물학 | ||
PSXE | 진화인류학 초기인류, 고인류학, 호미니데 및 인류의 선조 등이 여기에 해당 | 1.3 | |
Q | 철학, 종교 Q* 코드는 학술, 전문가, 일반 성인 독자 대상 모드에 사용할 것. 최상위 대분류 코드인 Q 코드 자체는 사용하지 말고 하위에 속한 구체적인 주제어 Q* 코드 선택하여 사용할 것. 주의할 점은 QRA* 코드와 QRV* 코드는 지역을 특정하는 다른 QR* 코드와 함께 사용해야 함 See also: VX* 마음, 신체, 영혼 and its sub-categories | 1.4 | |
QD | 철학 | ||
QDH | 철학의 전통 및 학파 철학의 역사가 여기에 해당. 모든 QDH* 코드는 다른 관련 주제어 코드 Q* 혹은 장소 수식자 1*, 시기 수식자 3*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4 | |
QDHA | 고대 그리스, 로마 철학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피타고라스, 소크라테스 이전 및 헬레니즘 철학, 스토아학파, 궤변학파, 냉소주의, 에피쿠로스철학 등과 관련 학파가 여기에 해당 | 1.4 | |
QDHC | 동아시아, 인도철학 See also: QRRL1 유교, QRRL5 도교 | ||
QDHC2 | 요가(철학) See also: VFMG1 요가 (운동) | 1.3 | |
QDHF | 중세 서양 철학 스콜라철학, 중세 스콜라철학, 아퀴나스 등이 여기에 해당 | 1.4 | |
QDHH | 인본주의철학 르네상스 인본주의 에라스무스가 여기에 해당 See also: QRYA 인본주의 및 세속적인 대안 | 1.2 | 1.3 |
QDHK | 이슬람, 아랍철학 See also: QRP* 이슬람교 and its sub-categories | ||
QDHL | 유대철학 마이모니데스가 여기에 해당 | 1.4 | |
QDHM | 서양철학: 계몽사상 실증주의, 합리주의, 데카르트에서 칸트까지 등이 여기에 해당 | ||
QDHP | 아프리카 철학 아프리카 철학 및 비평 이론이 여기에 해당 | 1.4 | |
QDHR | 서양철학: 1800년부터 포스트 칸트 철학, 대륙철학, 비판이론이 여기에 해당. ‘서양’ 전통 현대(17세기에서 20세기 초) 혹은 현대(20세기 및 21세기) 철학에 관한 도서가 여기에 해당 | 1.4 | |
QDHR1 | 이상주의 | ||
QDHR3 | 실용주의 | ||
QDHR5 | 현상학과 실존주의 | ||
QDHR7 | 구조주의 및 포스트구조주의 | ||
QDHR9 | 분석철학, 논리실증주의 | ||
QDT | 철학 주제 See also: CFA 언어철학, JNA 교육철학 및 이론, KCA 경제이론 및 철학, PBB 수학철학, PDA 과학철학 | ||
QDTJ | 철학: 형이상학, 존재론 See also: QRAB 종교철학 | ||
QDTK | 철학: 인식론과 지식론 | ||
QDTL | 철학: 논리 | ||
QDTM | 심리철학 See also: JMA 심리학이론, 체계, 학파, 관점, GTK 인지연구 | ||
QDTN | 철학: 미학 See also: ABA 예술론 | ||
QDTQ | 윤리학, 도덕철학 See also: JBFV 윤리적 이슈와 논쟁, KJG 기업윤리, 사회적 책임, LATC 법조윤리, 직무행위, MBDC 의학윤리 및 직무, PSAD 생명윤리 | ||
QDTS | 사회, 정치철학 See also: JPA 정치학 및 이론, JPF 정치이념 및 운동, LAB 법철학, 이론, 방법 | ||
QDX | 교양철학 일반 독자 대상으로 철학의 원칙이나 일상생활의 철학 등에 대한 도서에 사용할 것 See also: JBFV 윤리적 이슈와 논쟁, VSP 교양심리학 | ||
QR | 종교 및 믿음 | ||
QRA | 종교: 일반 종교 연구에 관한 도서에 여기에 해당. 모든 QRA* 코드는 특정 종교를 가리키는 다른 QR*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4 | |
QRAB | 종교철학 | ||
QRAB1 | 자연, 신의존재 | ||
QRAC | 비교종교학 | ||
QRAF | 종파추월종교 | ||
QRAM | 종교이슈 및 논쟁 QRAM* 코드는 다른 관련 종교를 나타내는 QR* 코드와 함께 사용하거나 비교하는 내용을 다룰 경우 QRAC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
QRAM1 | 종교윤리 | ||
QRAM2 | 종교와 정치 | ||
QRAM3 | 종교와 과학 | ||
QRAM6 | 종교적 근본주의 | ||
QRAM7 | 신성모독, 이단, 배교 | ||
QRAM9 | 종교적 편협성, 박해, 갈등 다른 신념을 가진 타인에 의한 차별, 편협, 폭력 혹은 종교 박해에 관한 도서에 사용할 것. 종교적 정체성에 기반한 사회 차별 문제인 경우 JBFA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4 | |
QRAX | 종교사 | ||
QRD | 힌두교 | ||
QRDB | 힌두교: 종파 및 그룹 | ||
QRDF | 힌두교성서 및 숭배의 글 모든 QRDF* 코드는 성서 혹은 숭배의 글에 대한 해설, 주석, 평론에 관한 주제어인 QRVC 코드 함께 사용할 것 | 1.4 | |
QRDF1 | 힌두교경전: 베다, 우파니샤드 | ||
QRDF2 | 힌두교경전: 바가바드기타 | ||
QRDP | 힌두교도: 신앙생활 | ||
QRF | 불교 | ||
QRFB | 불교: 종파 및 그룹 | ||
QRFB1 | 소승불교 | ||
QRFB2 | 대승불교 | ||
QRFB21 | 티베트불교 | ||
QRFB23 | 선종 | ||
QRFF | 불교경전 및 숭배의 글 모든 QRFF* 코드는 경전 혹은 숭배의 글에 대한 해설, 주석, 평론에 관한 주제어인 QRVC 코드 함께 사용할 것 | 1.4 | |
QRFP | 불교: 신앙생활 | ||
QRJ | 유대교 | ||
QRJB | 유대교: 종파 및 그룹 | ||
QRJB1 | 정통파유대교 하레디파, 현대 정교회 유대교, 하시딤이 여기에 해당 | 1.4 | |
QRJB2 | 마소르티 유대교 보수적 유대교가 여기에 해당 | 1.4 | |
QRJB3 | 자유개혁파유대교 | ||
QRJF | 유대교: 성서 및 숭배의 글 모든 QRJF* 코드는 경전 혹은 숭배의 글에 대한 미드라시, 해설, 주석, 평론에 관한 주제어인 QRVC 코드 함께 사용할 것 | 1.4 | |
QRJF1 | 유대교경전: 타나크, 유대교율법, 예언서, 케투빔 히브리 성서, 모세5경, Mikra가 여기에 해당 | 1.4 | |
QRJF5 | 랍비문학 미슈나, 탈무드가 여기에 해당 | 1.4 | |
QRJP | 유대교: 신앙생활 | ||
QRM | 기독교 | ||
QRMB | 교회, 교파, 그룹 | ||
QRMB1 | 천주교회, 로마가톨릭교회 | ||
QRMB2 | 정통파, 오리엔탈정교회 그리스정교회, 러시아정교회, 콥트교회, 시리아정교회 등이 여기에 해당 | ||
QRMB3 | 개신교 및 프로테스탄트교회 | ||
QRMB31 | 영국성공회교도 영국국교회 등이 여기에 해당 | ||
QRMB32 | 침례교회 | ||
QRMB33 | 칼뱅파, 개신교 및 장로교회 합동개혁교회, 장로교, 위그노 등이 여기에 해당 | ||
QRMB34 | 루터교 | ||
QRMB35 | 감리교회 | ||
QRMB36 | 펜테코스트파교회 | ||
QRMB37 | 퀘이커교, 프렌드교회 | ||
QRMB39 | 기타 비국교도 및 복음주의교회 | ||
QRMB5 | 미국기원교파 재림파, 모르몬교 (후기성도교회), 여호와의증인, 크리스천사이언스 등이 여기에 해당 | ||
QRMB8 | 기독교, 사이비기독교추종 및 종파 | ||
QRMB9 | 세계교회주의 | ||
QRMF | 기독교: 성서 및 숭배의 글 정본 및 이단 글이 여기에 해당. 모든 QRMF* 코드는 성서 혹은 숭배의 글에 대한 해설, 주석, 평론에 관한 주제어인 QRVC 코드 함께 사용할 것. 성서 버전 자체에 관한 도서인 경우 관련된 QRMF 코드 사용 권장 | 1.4 | |
QRMF1 | 성경 성경의 특정 버전이 여기에 해당. 성경, 성경연구, 성서일치나 해설은 QRVC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4 | |
QRMF12 | 구약성경 시편, 70인역, 모세5경이 여기에 해당. 구약 성경 해설이나 비평인 경우 QRVC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4 | |
QRMF13 | 신약성경 복음서, 사도 서간이 여기에 해당. 신약 성서의 일부 혹은 전체에 대한 비평, 해설서인 경우 QRVC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4 | |
QRMF14 | 성서 외경 및 신구약중간 위경(僞經)이 여기에 해당 | 1.4 | |
QRMF19 | 성경읽기, 명상 | ||
QRMF3 | 초기 교회 신부의 글 교부학, 교부 유서집이 여기에 해당. 초기 기독교 신부의 글을 비평하는 도서인 경우 QRVC 코드 함께 사용하고 글만 있을 경우 자체 코드만 사용할 것 | 1.4 | |
QRMP | 기독교도: 신앙생활 | ||
QRMP1 | 기독교 성례 | ||
QRP | 이슬람교 | ||
QRPB | 이슬람교: 종파 및 그룹 | ||
QRPB1 | 이슬람교: 수니파 | ||
QRPB2 | 이슬람교: 하와리지파 | ||
QRPB3 | 이슬람교: 시아교파 | ||
QRPB4 | 이슬람교: 수피교파 | ||
QRPF | 이슬람성전 및 숭배의 글 모든 QRPF* 코드는 성전, 숭배의 글에 대한 tafsir, 비평, 해설에 관한 도서는 QRVC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4 | |
QRPF1 | 코란 | ||
QRPF2 | 하디스 | 1.4 | |
QRPP | 이슬람교도: 신앙생활 | ||
QRR | 기타 세계종교 및 영적 믿음 살아 있는 종교와 그들의 신념, 신화, 관습, 이야기, 의식 등에 관한 도서에 사용할 것. 필요한 경우 다른 주제어 Q* 코드 및 장소 수식자 1*과 함께 사용할 것 | 1.4 | |
QRRB | 바하이교 | ||
QRRC | 자이나교 | ||
QRRD | 시크교 | ||
QRRF | 조로아스터교 | ||
QRRL | 동아시아종교 | ||
QRRL1 | 유교 | ||
QRRL3 | 신도 | ||
QRRL5 | 도교 | ||
QRRL6 | 중국 민간신앙 중국 신화, 중국 민속 신념이 여기에 해당 | 1.3 | 1.4 |
QRRM | 아프로 아메리카 종교 칸돔블레, 움반다, 큄반다, 부두교, 영적 침례교, 정신주의, 라스타파리가 여기에 해당. 미국 내 아프리카 종교의 변형 혹은 아프리카계 이교에 사용할 것 | 1.3 | |
QRRN | 전통 아프리카 종교 및 영적 믿음 신화, 판테온, 신과 영혼, 창조, 혹은 기원신화, 이야기, 전설, 관행, 의식, 전통 치료사 등을 포함한 아프리카 민족의 살아 있는 전통적 신념 체계에 대한 도서에 사용할 것. 필요한 경우 특정 전통을 나타내기 위해 적절한 장소 수식자 1*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3 | 1.4 |
QRRT | 기타 토착, 민족, 민속 종교 및 영적 믿음 신화, 판테온, 신과 영혼, 창조 혹은 기원신화, 이갸이 전설, 관행, 의식 등을 포함하여 종교 및 영적 신념을 포함하여 종교 혹은 영적 믿음과 관련하여 해당하는 구체적인 주제어 코드가 없는 경우 사용할 것. 특정 전통을 나타내기 위해 장소 수식자 1*, 언어 수식자 2* 및 흥미 수식자 5P*와 함께 사용할 것 | 1.4 | |
QRRT1 | 콜럼버스 미대륙 발견 이전 시대 종교 및 신화 아즈텍, 마야, 올맥, 잉카 종교 및 신화가 여기에 해당. 유럽인과 접촉하기 전의 아메리카 대륙에 존재했거나 존재했던 신화, 종교, 의식, 관습을 포함한 영적 신념에 관한 도서에 사용할 것 | 1.4 | |
QRRV | 애니미즘 및 샤머니즘 자연종교, 자연숭배, 페티시즘, 토템주의가 여기에 해당. 이러한 영적 신념, 관련 의식, 관행, 이야기, 신화 등에 관한 연구 도서에 사용할 것. 특정 전통을 나타내기 위해 장소 수식자 1*와 함께 사용할 것. 만일 해당 도서가 성인 일반 독자 대상의 대중적인 접근 방식일 경우 VXWS 코드 사용을 권장함 | 1.4 | |
QRS | 고대종교 및 신화 이교도, 비교신화, 신화 일반 연구, 해당하는 특정 주제어 코드가 없는 특정 지역 신화 연구가 여기에 해당. 이러한 영적 신념, 신화, 판테온(만신전), 신과 영혼, 창조 또는 기원신화, 이야기, 전설, 관행, 의식 등을 연구하거나 조사하는 내용을 담은 도서에 QRS* 코드 사용할 것. 모든 QRS* 코드는 적절한 장소 수식자 1*과 함께 사용하고 특히 역사적 실체를 다룬 도서일 경우 장소 수식자 1QB* 코드 함께 사용하고 살아있는 종교와 연관된 신화 연구인 경우 다른 QR* 코드 함께 사용할 것. 만일 이러한 종교 기반의 전통적 스토리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해 이야기 형태로 출간한 도서는 FN*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See also: FN 전래, 신화, 동화, JBGB 민속, 신화, 전설 | 1.4 | |
QRSA | 고대이집트종교 및 신화 | ||
QRSG | 고대그리스종교 및 신화 See also: DBSG 고대 그리스, 로마 문학 | ||
QRSL | 고대로마종교 및 신화 See also: DBSG 고대 그리스, 로마 문학 | ||
QRST | 켈트족종교 및 신화 켈트 신화와 신념에 관한 도서에 사용할 것. 특정 전통을 가리키기 위해 장소 수식자 1*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4 | |
QRSV | 슬라브족종교 및 신화 기독교 이전 슬라브 신화와 영적 신념에 관한 도서에 사용할 것 | 1.4 | |
QRSW | 스칸디나비아종교 및 신화 기독교 이전 북유럽 및 게르만(앵글로색슨과 바이킹 포함) 신화 및 신념에 관한 도서에 사용할 것 See also: DBSN 아이슬란드, 고대 스칸디나비아 전설 | 1.4 | |
QRV | 종교일반 연관종교를 나타내는 다른 QR*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가능하면 위에 열거한 특정 종교 코드 사용 권장. 예를 들어 불교성서는 QRVA와 QRF를 섞어 쓰는 것보다 QRFF를 쓰는 것이 좋음 | 1.1 | |
QRVA | 경전, 성서 및 숭배의 글 QRVA* 코드는 신성한 글 그 자체의 사본뿐만 아니라 신성한 글을 다룬 도서에 사용할 것. 연구, 분석, 이력 등에 관한 도서일 경우 QRVC 코드 함께 사용할 것 | 1.4 | |
QRVA2 | 성서 낭독, 성서 셀렉션, 명상 일반적인 모음집에 사용하고 특정 성서 글의 셀렉션인 경우 다른 QR*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See also: QRMF19 성경읽기, 명상 | 1.4 | |
QRVC | 경전해설, 주석, 평론 용어색인집, 주석서 등이 여기에 해당. 경전 또는 종교적 글 연구에 관한 도서에 사용할 것. 종교 또는 관련 글을 나타내는 다른 QR*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예를 들어 성경 연구 및 주석에 관한 도서일 경우 QRMF1 코드와 함께 사용하고, 코드 연구에 관한 도서일 경우 QRPF1 코드 함께 사용할 것 | 1.4 | |
QRVD | 종교 교의 신념 체계에서의 가르침의 본질로서의 신념 혹은 가르침, 지침의 글, 가르침이 된 원리 또는 입장에 관한 도서에 사용할 것 | 1.4 | |
QRVG | 신학 | ||
QRVH | 설교 설교가 여기에 해당. 설교 모음집, 분석, 설교 기법에 관한 도서에 사용할 것 See also: DNS 연설문 | 1.4 | |
QRVJ | 기도, 예배 | ||
QRVJ1 | 예배, 의식, 의례, 의식절차 찬송가, 시편이 여기에 해당. 행사, 의식 절차, 의례에 관한 도서 혹은 종교 의식에 사용되는 언어, 음악, 행동을 다룬 도서가 여기에 해당 | 1.4 | |
QRVJ2 | 기도, 기도집 기도모음, 기도방법 혹은 기도의 여러 측면을 다룬 도서에 사용할 것 | 1.4 | |
QRVJ3 | 예배자료 신성한 글에서 발견된 생각, 주제, 이야기, 의문점을 다루지만 그것이 교리적이거나 신학적인 것이 아니라 개인이 자신의 교화와 영적 형성을 위해 읽을 수 있도록 한 종교적 저작물에 사용할 것 | 1.4 | |
QRVK | 영적, 종교적 경험 영적 깨달음, 발전 및 개인의 종교적 성장에 관한 도서가 여기에 해당 | 1.4 | |
QRVK2 | 신비주의 | ||
QRVK4 | 기적, 유령, 종교적 현상 | 1.3 | |
QRVP | 신앙생활 믿음, 신념이 여기에 해당. 종교에 대한 일반 도서, 일상 생활의 일부로 믿음을 다루는 도서, 매일의 믿음 혹은 신앙 체계의 교리에 따른 생활을 다룬 도서에 사용할 것 | 1.4 | |
QRVP1 | 성지순례 순례자가 여기에 해당 | 1.3 | 1.4 |
QRVP2 | 종교적 축제 특정 종교를 지칭하는 다른 QR* 코드과 필요한 경우 흥미 수식자 5HP*와 함께 사용할 것 | 1.3 | |
QRVP3 | 종교적 가르침 | ||
QRVP4 | 금식 및 금욕 | 1.3 | |
QRVP5 | 신앙상담 | ||
QRVP7 | 성별, 성, 인간관계의 종교적측면 결혼, 가정생활, 성 역할 등을 포함하여 성과 성관계에 관한 종교적 가르침 또는 태도를 다룬 도서에 사용할 것 | 1.4 | |
QRVS | 종교기관 및 단체 | ||
QRVS1 | 종교, 영적인물 종교지도자, 종교계 영향력 있는 인사, 영적 인물로 성인, 구루, 신비주의자, 예언가, 신학자 등이 여기에 해당 | 1.1 | |
QRVS2 | 종교사회활동, 목회활동 | ||
QRVS3 | 성직자 목사, 성직자, 사제, 주교, 교황, 랍비, 하잔, 이맘, 무프티, 물라 등이 여기에 해당. 종교에서 특정 역할을 가진 사람들의 직업적 측면을 다룬 도서에 사용할 것 | 1.4 | |
QRVS4 | 종교미션 및 회심 선교사, 전도가 여기에 해당. 선교의 개념에 관한 도서 혹은 모든 형태의 종교 개종에 관한 도서에 사용할 것 | 1.4 | |
QRVS5 | 종교사회 및 수도원생활 | ||
QRVX | 종교적 증언 및 영적활동 | ||
QRY | 대안적 신념체계 | ||
QRYA | 인본주의 및 세속적인 대안 인본주의, 세속주의가 여기에 해당 See also: QDHH 인본주의철학 | 1.4 | |
QRYA5 | 불가지론, 무신론 | ||
QRYC | 소수열성종교 및 신념체계 | ||
QRYC1 | 그노시스주의 | ||
QRYC5 | 신지학 및 인지학 | ||
QRYM | 현대 비기독교, 파라크리스찬컬트 및 종파 사이언톨로지, 종말론자 등이 여기에 해당 | ||
QRYM2 | 유심론 | ||
QRYX | 초자연, 불가사의연구 진지하거나 학술적인 연구에 관한 도서만 이 코드 사용할 것 See also: VXW* 신비주의, 마법, 주술 and its sub-categories | ||
QRYX2 | 마술, 연금술 | ||
QRYX5 | 마법 현대 및 역사적 주술, 연관된 관행, 이를 수행한 사람, 마녀와 주술에 대한 사회적 태도 등을 다룬 도서에 사용할 것. 필요한 경우 적절한 장소 수식자 1*, 시기 수식자 3*, 기타 다른 주제어 코드과 함께 사용할 것. 예를 들어 마녀 박해에 관한 도서인 경우 NHTX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도서가 일반 독자 대상의 대중서인 경우 VXWT 코드 사용 권장 See also: VXWT 사악한마법, 위카 | 1.4 | |
QRYX9 | 악마숭배, 귀신학 | ||
R | 지구과학, 지리, 환경, 지역계획 R* 코드는 학술, 관련 분야 전문가, 일반 성인 독자 대상 도서에 모두 사용할 것. 최상위 대분류 코드인 R 코드 자체는 사용할 수 없으며, 하위에 속한 구체적인 주제어 R* 코드를 찾아 사용할 것. 모든 R* 코드는 필요한 경우 적절한 다른 주제어 코드, 수식자, 특히 장소 수식자 1*과 함께 사용할 것 | 1.4 | |
RB | 지구과학 학술적, 전문가 수준의 도서에만 RB* 코드 사용할 것. 일반 독자 대상의 도서는 WN* 코드 사용할 것 권장 See also: RGB* 지문학 및 지형학 and its sub-categories, WN* 자연세계: 취미일반 and its sub-categories | 1.3 | |
RBC | 화산학, 지진학 지구과학의 관점에서 지진, 화산 등을 다룬 도서가 여기에 해당 | 1.4 | |
RBG | 지질학, 지형학, 암석권 See also: PHVG 지구물리학, RGB 지문학 및 지형학 | 1.2 | |
RBGB | 퇴적학, 토양학 See also: PNC 환경화학, TNCC 암석, 토질역학, TVBP 토양학 및 관리 | 1.2 | |
RBGD | 지형학 및 표면의 지질학적 과정 침식, 퇴적, 빙하학, 하천과 아이올리언 과정 등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RGB 지문학 및 지형학 | 1.2 | |
RBGF | 지사학 및 고대지질학 판구조론, 대륙이동설, 판게아, 곤드와나, 로라시아 같은 과거 초대륙, 지구의 지질역사 등이 여기에 해당 | 1.4 | |
RBGG | 암석학, 암석기술학, 광물학 | 1.2 | |
RBGH | 층위학 | ||
RBGK | 지구화학 See also: PNC 환경화학, PNV 광물, 결정체, 보석 화학 | ||
RBGL | 경제지질학 석유지질학, 광산지질학 등이 여기에 해당 | ||
RBK | 수문학 및 수권 See also: PSP 수생생물학 | ||
RBKC | 해양학 (바다 및 대양) See also: PSPM 해양생물학 | 1.3 | |
RBKF | 육수학 (내수) 강, 호수 (염호 포함) 등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PSPF 담수생물학 | 1.2 | |
RBP | 기상학, 기후학 대기현상에 관한 일반 도서가 여기에 해당 See also: WNWM 날씨와 기후: 취미일반, RNPG 기후변화 | 1.4 | |
RBPC | 기후학과 기후모델 고기후학, 기후예측, 기후과학이 여기에 해당 | 1.4 | |
RBPM | 기상학 기상현상, 단기 기상시스템, 구름학(구름연구)이 여기에 해당 | 1.4 | |
RBX | 고생물학 | ||
RG | 지리학 모든 RG* 코드에는 적절한 장소 수식자 1*과 함께 사용할 것 | ||
RGB | 지문학 및 지형학 See also: RBG 지질학, 지형학, 암석권 | 1.3 | |
RGBA | 건조대, 사막 | ||
RGBC | 평야, 초원 | ||
RGBC1 | 대초원 | ||
RGBC2 | 사바나 | ||
RGBD | 툰드라 | ||
RGBF | 습지대, 늪 | ||
RGBG | 강 및 호수 | 1.3 | |
RGBL | 숲과 삼림지대 | ||
RGBL1 | 열대우림 | ||
RGBL2 | 혼성림 | ||
RGBL3 | 활엽수림 | ||
RGBL4 | 북방침엽수림 타이가 등이 여기에 해당 | ||
RGBP | 해안지대 삼각주, 하구퇴적지, 피오르드, 해변, 곶, 해안선, 절벽, 해안침식 등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RBK* 수문학 및 수권 and its sub-categories | 1.4 | |
RGBR | 산호초 | ||
RGBS | 산 | ||
RGBU | 빙하 및 만년설 | 1.3 | |
RGC | 인문지리학 | ||
RGCD | 개발과 환경지리학 | 1.2 | |
RGCG | 인구와 이주지리학 인구성장과 이동 등이 여기에 해당 | 1.2 | |
RGCM | 경제지리학 | ||
RGCP | 정치지리학 See also: JPSL 지정학 | ||
RGCS | 사회지리학 문화지리가 여기에 해당 | 1.2 | 1.4 |
RGCT | 관광지리학 | 1.2 | |
RGCU | 취락, 도시, 촌락지리학 | 1.2 | |
RGL | 지역지리학 See also: GTM 지역 및 국제연구 | ||
RGM | 생물지리학 See also: PSAF 생태과학, 생물권, RN* 환경 and its sub-categories | ||
RGR | 지리적 발견 및 탐험 See also: WTLP 탐험: 교양도서 | ||
RGV | 지도제작법, 지도투영법 지도 및 지도 자체가 아닌 지도 제작에 관한 도서에 사용할 것 | 1.4 | |
RGW | 지질정보시스템 및 원격탐사 지리정보학, 정량 및 정성법, 지구통계, 지형공간분석, GPS 등이 여기에 해당 | 1.2 | |
RGX | 지리학 참고자료 | ||
RGXB | 월드아틀라스, 세계지도 지구본 및 소규모 세계지도 혹은 대륙 지도가 여기에 해당 See also: NHTP1 역사지도 및 지도, WTR* 여행지도, 아틀라스 and its sub-categories | 1.4 | |
RGXH | 지세도 (전문가용) 전문가용 지형, 기타 대규모 지도만 이 코드를 사용할 것. 이 밖에 다른 지도는 가급적 해당 주제를 나타내는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See also: WTR* 여행지도, 아틀라스 and its sub-categories | 1.4 | |
RGXM | 해도 해양차트, 해상차트, 항해차트가 여기에 해당. 내륙 수로, 연안 수로, 해상 운송 경로의 상세 차트에 사용할 것 See also: WTR* 여행지도, 아틀라스 and its sub-categories | 1.2 | 1.4 |
RGXP | 지명 및 지명사전 | ||
RN | 환경 환경과학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TQ* 환경과학, 공학, 기술 and its sub-categories | 1.4 | |
RNA | 환경운동가 사상 및 이념 환경중심주의, 기술지상주의, 전면적 생태보호운동, 에코페미니즘 등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JPFA 환경정책/환경 보호주의 | ||
RNB | 환경운동가, 단체 See also: JPFA 환경정책/환경 보호주의 | ||
RNC | 응용생태학 여러 이슈를 광범위하게 다룬 도서에 사용할 것 See also: PSAF 생태과학, 생물권 | ||
RNCB | 생물다양성 | ||
RND | 환경정책 및 협약 필요한 경우 JPQB 코드 혹은 JPRB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See also: KCVG 환경경제학 | 1.4 | |
RNF | 환경관리 특정 환경이나 서식지를 나타내기 위해 RBK* 코드 혹은 RGB*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2 | |
RNFD | 가뭄 및 상수도 See also: TQSW 상수도 및 처리 | ||
RNFF | 식량안전보장 및 공급 | ||
RNFY | 동력자원 | ||
RNH | 오수관리 재생, 생물분해성 등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TQSR 폐기물처리 | ||
RNK | 환경보전 | ||
RNKH | 야생동물 및 서식지보호 야생동물 보존 생물학이 여기에 해당 | 1.4 | |
RNKH1 | 멸종위기종 및 멸종 | ||
RNP | 공해 및 환경위협 플라스틱 폐기물, 대기오염, 수질오염, 소비과잉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TQK 오염방지 | 1.4 | |
RNPD | 삼림파괴 | ||
RNPG | 기후변화 지구온난화, 온실효과, 오존층 감소, 기후 비상 등이 여기에 해당. 기후변화, 그리고 그 영향과 결과를 제한하거나 완화하기 위한 가능한 조치를 다룬 도서에 사용할 것 | 1.4 | |
RNQ | 핵문제 | ||
RNR | 자연재해 지진, 화산폭발, 홍수, 산사태, 허리캐인 및 태풍, 토네이도, 쓰나미, 가뭄, 산불 등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JBFF 재해의 사회적 영향 | 1.4 | |
RNT | 환경문제의 사회적 영향 | ||
RNU | 환경지속 See also: TBR 중간공학, THV 대체, 재생에너지원 및 기술, VSZ 자급자족 및 그린라이프 | ||
RP | 지역계획 계획정책이 여기에 해당. 모든 PR* 코드는 적절한 다른 J*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예를 들어 특별한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을 위한 계획을 다룬 도서일 경우 JKSL 코드 함께 사용할 것 | 1.4 | |
RPC | 도시계획 및 정책 스마트 시티, 도시 및 교외 인프라, 공공 공간의 활용, 구역 설정, 도로 시설물 등이 여기에 해당. 도시, 마을, 교외 계획 및 정책, 유니버설 디자인, 접근성 및 접근 가능한 환경, 지속 가능하거나 환경 친화적 도시, 주택 정책 등에 사용할 것 See also: AMVD 도시 계획: 건축 관련 | 1.4 | |
RPG | 지방, 농촌계획 및 정책 농촌 인프라, 토지 이용, 접근 및 도시 지역과의 형평성, 농촌 관리를 포함한 농촌 지역의 정책 및 계획에 관한 도서에 사용할 것 | 1.4 | |
RPT | 교통계획 및 정책 대중교통, 통합 교통 네트워크, 교통 인프라, 교통 접근성 및 경제성 등을 포함한 교통정책 및 계획에 관한 도서에 사용할 것 | 1.4 | |
S | 스포츠, 아웃도어활동 S* 코드는 학술, 관련 분야 전문가, 일반 독자 대상 도서에 모두 사용할 것. 최상위 대분류 코드인 S 코드 자체를 사용할 수 없음. 하위에 속한 구체적인 주제어 S* 코드 선택할 것. 필요한 경우 다른 주제어 코드 혹은 수식자, 특히 장소 수식자 1*과 함께 사용할 것. 예를 들어 ‘탐험 휴가’일 경우 WT* 코드와 함께 혹은 피트니스 체제의 일부로 스포츠를 다룬 도서인 경우 VFM 코드 함께 사용 | 1.4 | |
SC | 스포츠: 일반 | ||
SCB | 스포츠행사, 관리 모든 SCB*코드에는 특정 스포츠를 지칭하는 적절한 다른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
SCBB | 올림픽 및 패럴림픽 | ||
SCBC | 월드컵 및 월드 챔피언십 이것에 적용되는 스포츠 유형을 가리키는 다른 S*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4 | |
SCBG | 스포츠관리 기구 | ||
SCBM | 스포츠운영관리 및 시설 | ||
SCBT | 스포츠팀 및 클럽 | ||
SCBV | 스포츠장소 | ||
SCG | 훈련 및 코칭 | ||
SCGF | 스포츠과학 및 체육 See also: MFGV 생체역학, 인간운동학 | ||
SCGP | 스포츠심리학 | ||
SCK | 스포츠 내 약물남용 | ||
SCL | 장애인체육 | 1.3 | |
SCX | 스포츠사 | ||
SF | 구기스포츠 펠로타, 하이알라이, 크로케가 여기에 해당. 해당되는 주제어가 없거나 구기종목에 관한 일반적 내용일 경우 사용할 것 | 1.4 | |
SFB | 축구 및 연관게임 | ||
SFBC | 축구협회 | 1.2 | |
SFBD | 미식축구 | ||
SFBF | 호주식축구 | ||
SFBH | 캐나다식축구 | 1.2 | |
SFBK | 게일식축구 | ||
SFBT | 럭비연합 | ||
SFBV | 럭비리그 | ||
SFC | 야구 소프트볼이 여기에 해당 | 1.2 | |
SFD | 크리켓 | ||
SFH | 골프 | ||
SFJ | 필드하키 See also: STK 아이스하키 | 1.2 | |
SFK | 라크로스 | ||
SFL | 헐링 카모지가 여기에 해당 | 1.3 | |
SFM | 농구 | ||
SFN | 네트볼 | ||
SFP | 배구 | ||
SFQ | 핸드볼 | 1.1 | |
SFT | 라켓게임 | ||
SFTA | 테니스 | ||
SFTB | 배드민턴 | ||
SFTC | 스쿼시 | 1.2 | |
SFTD | 탁구 | ||
SFV | 볼링, 페탕크 | ||
SFX | 스누커, 당구, 포켓볼 | ||
SH | 육상경기, 체조 및 기타 | ||
SHB | 트랙 및 필드 스포츠, 육상 | ||
SHBF | 마라톤, 크로스컨트리경주 | ||
SHBM | 혼합스포츠 철인3종경기, 5종경기, 7종경기 등이 여기에 해당 | ||
SHG | 체조 | ||
SHP | 역도 역도가 여기에 해당 See also: VFMG 운동 | 1.3 | |
SK | 승마, 동물스포츠 로데오, 폴로가 여기에 해당 See also: ATXZ1 투우, SVH 사냥 | 1.3 | |
SKG | 경마 | ||
SKL | 승마, 승마술, 장애물뛰어넘기 승마대회, 마장마술대회가 여기에 해당 See also: WNGH 말, 조랑말: 일반 | ||
SKR | 개경주 See also: STLN 개썰매 | ||
SM | 차량스포츠 | ||
SMC | 에어스포츠 및 레크리에이션 기구비행, 패러글라이딩, 스카이다이빙 등이 여기에 해당 | ||
SMF | 모터스포츠 자동차경주, 고카트, 기타 모터스포츠로 아래 목록에 나와 있지 않은 스포츠는 여기에 해당 | 1.3 | |
SMFA | 자동차경주 포뮬러 1, 그랑프리, 인디애나폴리스 500, 르망 24시간레이스가 여기에 해당 | 1.3 | |
SMFC | 모터랠리, 랠리주행 | ||
SMFF | 개조자동차경주 NASCAR, 데이토나500, 드래그 레이싱 등이 여기에 해당 | 1.3 | |
SMFK | 오토바이경주 도로 및 트랙 모토사이클 경주 포함. TT, 스피드웨이 등이 여기에 해당 | ||
SMQ | 경륜 도로 및 트랙 사이클 경주 포함. 투르드프랑스 등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SZD 자전거: 일반 및 여행, WGD 자전거, 비동력교통수단: 취미일반 및 유지 | ||
SMQB | BMX사이클 | ||
SMX | 롤러블레이드, 스케이트보드 등 | ||
SP | 수상스포츠 및 레크리에이션 수상에어로빅, 아쿠아피트니스, 워터폴로가 여기에 해당 | 1.3 | |
SPC | 수영 및 다이빙 | 1.2 | |
SPCA | 잠영 프리다이빙이 여기에 해당 | 1.3 | |
SPCA1 | 스쿠버다이빙 | 1.2 | |
SPCA2 | 스노클링 | 1.2 | |
SPCD | 다이빙 하이다이빙, 스프링보드다이빙 등이 여기에 해당 | 1.2 | |
SPCS | 수영 수영장, 개방수역, 자연 수영이 여기에 해당 | 1.2 | 1.3 |
SPG | 서핑, 윈드서핑, 수상스키 | ||
SPN | 보트: 스포츠 및 레저 | 1.3 | |
SPND | 모터 / 파워보트 및 크루즈 고속모터보트 경주가 여기에 해당 | ||
SPNG | 요트 / 요트경주 항해사를 위한 항해, 노트, 밧줄 작업법, 관련 자격증 등이 여기에 해당 | 1.3 | |
SPNK | 카누, 카약 래프팅이 여기에 해당 | 1.3 | |
SPNL | 노, 컬링 | ||
SR | 전투스포츠 및 자기방어 | ||
SRB | 권투 | ||
SRC | 레슬링 | ||
SRF | 펜싱 | ||
SRM | 무술 크라브마가 등이 여기에 해당. 해당 주제어가 없거나 무술 일반을 다룬 도서에 사용할 것 | 1.3 | |
SRMA | 합기도 | 1.2 | |
SRMC | 카포에이라 | 1.3 | |
SRMJ | 유도 | 1.2 | |
SRMK | 주지츠 | 1.2 | |
SRML | 가라테 | 1.2 | |
SRMM | 검도 | 1.2 | |
SRMN | 중국무술 / 쿵푸 우슈가 여기에 해당 | 1.2 | 1.3 |
SRMN1 | 태극권 신체단련 측면을 다룬 도서는 VFMG 코드를, 건강 측면을 다룬 도서는 VXH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3 | |
SRMN2 | 기공 신체단련 측면을 다룬 도서는 VFMG 코드를, 건강 측면을 다룬 도서는 VXH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3 | |
SRMS | 스모 | 1.2 | |
SRMT | 태권도 | 1.3 | |
SRMV | 혼합 무술 | 1.3 | |
ST | 겨울스포츠 | ||
STA | 스키 | ||
STAA | 알파인스키 활강 등이 여기에 해당 | 1.2 | |
STAB | 바이애슬론 | 1.2 | |
STAN | 노르딕스키 노르딕복합경기 등이 여기에 해당 | 1.2 | |
STAN1 | 크로스컨트리스키 | 1.2 | |
STAN2 | 스키점프 | 1.2 | |
STC | 스노보드 | ||
STG | 아이스스케이팅 | ||
STH | 스피드스케이팅 | 1.2 | |
STJ | 피겨스케이팅 | 1.2 | |
STK | 아이스하키 See also: SFJ 필드하키 | ||
STL | 썰매타기 루지, 스켈레톤, 봅슬레이가 여기에 해당 | 1.3 | |
STLN | 개썰매 See also: SKR 개경주 | 1.3 | |
STP | 컬링 | 1.3 | |
SV | 필드스포츠: 낚시, 사냥, 사격 | ||
SVB | 매길들이기 및 매사냥 훈련된 맹금류가 여기에 해당 | 1.4 | |
SVF | 낚시 민물 잡어 낚시가 여기에 해당 See also: KNA 영농 및 1차산업 | 1.3 | |
SVFF | 제물낚시 | 1.3 | |
SVFS | 바다낚시 대어 낚시 게임이 여기에 해당 | 1.3 | |
SVH | 사냥 | ||
SVHH | 사냥전문가 자격증 사냥과 연관된 면허증, 시험, 자격증, 직업 교육 과정 관련 도서가 여기에 해당 | 1.3 | |
SVR | 양궁 | ||
SVS | 소총, 총기 및 기타장비 | ||
SVT | 사격 | ||
SX | 기타스포츠 및 경쟁활동 | ||
SXB | 보디빌딩 | ||
SXD | 다트 | 1.3 | |
SXE | e스포츠 / 전문비디오게임 비디오 게임을 이용해 전문적으로 열리는 대회에 사용 | 1.3 | |
SXQ | 익스트림스포츠 번지점프 등이 여기에 해당 | ||
SZ | 야외신체활동 협곡, 자유 달리기, 파쿠르, 장애물 코스, 야외 게임 및 활동이 여기에 해당. 야외 활동을 위한 실내 유사활동 혹은 훈련에 SZ* 코드 사용할 것. 모든 SZ* 코드는 가이드북일 경우 WTH* 코드와 함께, 피트니스(신체 단련) 측면을 다룬 도서일 경우 VFM*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4 | |
SZC | 산책, 하이킹, 트레킹 비탈타기, 배낭여행, 노르딕 워킹, 펠프워킹, 걷기, 스크램블링이 여기에 해당. 레크리에이션, 피트니스 혹은 전문 야외 활동을 위한 걷기를 포함하여 걷기에 관한 모든 활동이 여기에 해당. 도보 혹은 도보 경로를 위한 가이드북인 경우 WTH*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4 | |
SZD | 자전거: 일반 및 여행 자전거 혹은 자전거 경로를 위한 가이드북인 경우 WTH*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See also: SMQ 경륜, WGD 자전거, 비동력교통수단: 취미일반 및 유지 | 1.4 | |
SZE | 달리기 및 조깅 트레일, 산악 달리기, 피트니스 달리기가 여기에 해당. 러너를 위한 가이드북일 경우 WTH*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See also: SHBF 마라톤, 크로스컨트리경주 | 1.4 | |
SZG | 등반 & 등산 실내 클라이밍, 비아 페라타, 암벽타기, 프리, 암벽, 로프, 솔로, 아이스 클라이밍, 하강, 빌레이 등이 여기에 해당. 등반가 혹은 등반 경로를 위한 가이드북일 경우 WTH* 코드 함께 사용할 것 | 1.4 | |
SZK | 오리엔티어링 | ||
SZN | 동굴탐험 동굴탐험이 여기에 해당 | 1.4 | |
SZR | 캠핑 & 우드크래프트 모든 형태의 캠핑, 서바이벌 캠핑, 글램핑, 배낭여행이 여기에 해당 | 1.3 | |
SZV | 야외생존술 부시크래프트, 산림야영술 (자연과 가까운 환경에서 살아가는 기술), 항해 기술이 여기에 해당 | 1.3 | |
T | 기술, 공학, 농축산업, 산업공정 T* 코드는 연관된 기술, 업계, 직종에 사용할 것. 학술, 관련 분야 전문가, 일반 성인 독자 대상 도서에 사용할 것. 최상위 대분류 코드인 T 코드 자체는 사용할 수 없음. 하위에 속한 구체적인 주제어 T* 코드 선택하여 사용할 것. 모든 T* 코드는 필요한 경우 다른 주제어 코드나 수식자와 함께 사용하고 특히 직업, 전문가 혹은 훈련생처럼 교육 목적이 있는 도서인 경우 교육관련 수식자 4*와 함께 사용할 것 | 1.4 | |
TB | 기술: 일반 | ||
TBC | 공학: 일반 | ||
TBD | 기술디자인 See also: AKP 상품 디자인, UGC CAD | ||
TBDG | 인체공학 | ||
TBG | 공학그래픽 및 제도 / 기술도안 CAD가 여기에 해당. 건축, 디자인, 공학처럼 적절한 다른 주제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3 | |
TBJ | 공학수학 See also: PBW 응용수학 | ||
TBM | 장비, 계측공학 See also: TGH 정밀기계 및 제조 | 1.4 | |
TBMM | 계측 및 교정 | ||
TBN | 나노기술 See also: PDT 나노과학 | ||
TBR | 중간공학 | ||
TBX | 공학, 기술의 역사 See also: PDX 과학사 | ||
TBY | 발명과 발명가 | ||
TC | 생화학공학 | ||
TCB | 생명공학 생물공학, 바이오엔지니어링, 생물제조가 여기에 해당 | 1.4 | |
TCBG | 유전공학 복제, 줄기세포기술 등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PSAD 생명윤리, PSAK 유전학(비의학분야) | ||
TCBS | 바이오센서 See also: TJS 센서 | ||
TD | 산업화학, 제조기술 | ||
TDC | 산업화학 및 화학공학 세제, 고무, 살생물제 등에 관한 기술이 여기에 해당 | 1.1 | |
TDCA | 농화합물 | 1.1 | |
TDCF | 연료 및 석유화학제품 See also: KNBP 석유, 가스 산업 | 1.1 | |
TDCJ | 염료, 색소, 페인트 기술 화장품 기술, 색채화학 등이 여기에 해당 | 1.1 | 1.4 |
TDCP | 플라스틱 및 고분자 전문적인 플라스틱 제조의 측면을 도룬 도서에 사용할 것 See also: TGMP 응용공학: 고분자복합체 | 1.1 | 1.3 |
TDCQ | 세라믹 및 유리기술 | 1.1 | |
TDCT | 식음료기술 식품과학, 양조 및 증류와 관련된 기술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KNSB 식음료 서비스산업, PND 식품화학, TTVC 호텔, 환대 및 식음료서비스업, WBXD 식음료: 알코올음료, WBXD1 식음료: 와인 | 1.4 | |
TDCT1 | 식음료안전 식품품질, 식품규제 및 정책의 영향 등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RNFF 식량안전보장 및 공급, LNCB7 요식업관련법, LNTV 식품위생관련법 | 1.1 | |
TDCT2 | 식음료가공 및 공학 재료를 사용한 식품가공 등이 여기에 해당 | 1.1 | |
TDCW | 약화학 및 기술 | 1.1 | |
TDCX | 공정공학기술 반응공학 등이 여기에 해당 | 1.1 | |
TDP | 기타제조기술 해당하는 주제 코드가 없는 제조공정 혹은 기술에 사용할 것 | 1.3 | |
TDPF | 직물 및 섬유 섬유가공, 방적 및 직조, 가죽 가공이 여기에 해당. 인공 및 천연 재료를 포함한 섬유제조 및 관련 분야의 전문가 혹은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기술서적 혹은 전문서에 사용할 것 See also: AKT 패션 및 섬유 디자인, KNDD 의류, 섬유산업 | 1.1 | 1.4 |
TDPF1 | 의류 및 패션: 기술 및 기법 패턴 메이킹, 테일러링, 제화, 여성복, 가방 제작이 여기에 해당. 의류, 패션 혹은 액세서리를 포함한 관련 분야 전문가 혹은 학생을 대상으로 한 기술서적 혹은 전문서가 여기에 해당 | 1.4 | |
TDPJ | 목재가공 목재 및 목제품의 전문 공정 등에 관한 책에 사용할 것 See also: KNAL 산림산업, TVR 살림관리: 실습 및 기술 | 1.3 | |
TDPJ1 | 종이, 펄프제조 및 가공 | 1.3 | |
TDPM | 금속기술 / 금속공학 | ||
TDPP | 인쇄 및 복사 기술 See also: TDPT 3D 인쇄 | 1.3 | |
TDPT | 3D 인쇄 See also: TDPP 인쇄 및 복사 기술 | 1.3 | |
TG | 기계공학 및 재료 | ||
TGB | 기계공학 | ||
TGBF | 마찰공학 (마찰 및 윤활) | ||
TGBN | 엔진 및 동력전달 | ||
TGH | 정밀기계 및 제조 과학, 기술, 의료, 화학 및 광학장치, 정밀도구 및 장비의 설계, 엔지니어링 및 제조에 관련한 도서에 사용할 것 See also: TBM 장비, 계측공학 | 1.4 | |
TGM | 재료과학 | ||
TGMB | 화공열역학 | ||
TGMD | 공학: 고체역학 역학, 진동학, 피로골절 등이 여기에 해당 | 1.3 | |
TGMF | 공학: 유체역학 밀물, 난기류, 유동학 등이 여기에 해당. 유체 역학 기술 적용에 사용할 것 See also: PHDF 물리학: 유체역학 | 1.3 | |
TGMF1 | 기체역학 | 1.3 | |
TGMF2 | 수력학 / 기력학 | 1.3 | |
TGML | 응용공학: 바이오소재 | 1.1 | |
TGMM | 응용공학: 전기, 자기장, 광학재료 | 1.1 | |
TGMP | 응용공학: 고분자복합체 See also: TDCP 플라스틱 및 고분자 | 1.1 | |
TGMS | 응용공학: 표면칠과 필름 | 1.1 | |
TGMT | 재료검사 파괴 및 비파괴실험 포함 | ||
TGP | 생산 및 산업공학 | 1.3 | |
TGPC | CAM | ||
TGPQ | 산업품질관리 | ||
TGPR | 신뢰성공학 | ||
TGX | 공학기술 및 관련업 공구제작, 용접, 기계, 금속 세공 기술 및 관련 직종 등이 여기에 해당 | 1.3 | |
TH | 에너지기술 및 공학 | ||
THF | 화석연료기술 | ||
THFG | 가스기술 | ||
THFP | 석유기술 | ||
THFS | 고체연료기술 | ||
THK | 원자력공학 | ||
THN | 열전달과정 냉동, 산업용 에어컨, 히트 펌프가 여기에 해당 See also: TNKH 열, 빛, 통풍 | 1.3 | |
THR | 전기공학 | ||
THRM | 전동기 | ||
THRX | 전기기술 및 관련업 | ||
THV | 대체, 재생에너지원 및 기술 조력, 파력 에너지, 삼투압 전력, 해양 전류 전력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RNU 환경지속 | 1.4 | |
THVB | 바이오연료 생물량, 바이오가스 에너지가 여기에 해당 | 1.1 | 1.4 |
THVG | 지열에너지 및 지열발전 지열원 히트펌프 기술이 여기에 해당 | 1.4 | |
THVH | 수력전기/수력 수력, 댐, 수력제분, 수차 등이 여기에 해당 | 1.4 | |
THVS | 태양광 태양 에너지, 태양 전지판, 태양광 전지판 등이 여기에 해당 | 1.1 | 1.4 |
THVW | 풍력 풍차, 풍력발전단지, 풍력 터빈이 여기에 해당 | 1.1 | 1.4 |
THY | 에너지발전, 분포, 저장 전력네트워크 및 공장, 전력이용 및 응용, 에너지전환 및 저장 (연료전지 및 배터리 기술 포함) 등이 여기에 해당 | 1.2 | |
THYC | 에너지효율 | ||
TJ | 전자, 통신공학 | ||
TJF | 전자공학 | ||
TJFC | 전자: 회로부품 | ||
TJFD | 전자: 장치 및 재료 마이크로프로세서, 칩, 트랜지스터, 반도체, 초전도체 등이 여기에 해당 | ||
TJFM | 자동제어공학 | ||
TJFM1 | 로봇공학 | ||
TJFN | 마이크로파기술 | ||
TJK | 통신공학 / 전기통신 | ||
TJKD | 레이더기술 | ||
TJKH | 신호처리 아날로그, 연속시간, 이산시간, 비선형 및 통계 신호 처리가 여기에 해당 See also: UYS 디지털 신호처리(DSP) | 1.4 | |
TJKR | 라디오기술 | ||
TJKS | 위성통신기술 | ||
TJKT | 전화기술 | ||
TJKT1 | 이동전화기술 | ||
TJKV | 텔레비전기술 | ||
TJKW | WAP기술 | ||
TJS | 센서 See also: TCBS 바이오센서 | 1.1 | |
TN | 토목공학, 측량, 건설 | ||
TNC | 구조공학 | ||
TNCB | 측량, 적산 | ||
TNCC | 암석, 토질역학 See also: RBGB 퇴적학, 토양학 | ||
TNCE | 지진공학 | ||
TNCJ | 교량 | ||
TNF | 수력공학 댐, 저수지, 항만 공학뿐 아니라 간척, 배수도 여기에 해당 | ||
TNFL | 홍수조절 | ||
TNH | 고속도로 및 교통공학 | ||
TNK | 건설과 건설재료 건축 및 건축기준, 건축 규정 및 코드, 건축 전문가를 위한 일반적 도서가 여기에 해당 | 1.3 | |
TNKA | 건물접근성 및 디자인 장애물 없는 건물, 계단 없는 건물 혹은 접근성 있는 설계 및 시공, 건물용 유니버설 디자인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RPC 도시계획 및 정책 | 1.2 | 1.4 |
TNKE | 건축물리학과 에너지효율 | 1.2 | |
TNKF | 방화설비 및 안전 | ||
TNKH | 열, 빛, 통풍 See also: THN 열전달과정 | ||
TNKP | 시설기획 | 1.2 | |
TNKR | 재건축 | 1.2 | |
TNKS | 경비 및 화재경보시스템 | ||
TNKX | 건물보존 및 건축자재 | ||
TNT | 건설기술 및 관련업 벽돌쌓기, 미장공사, 유리끼우기, 소목일, 배관작업, 지붕공사, 건축 및 시공 기술 등이 여기에 해당 | 1.4 | |
TQ | 환경과학, 공학, 기술 환경, 오염, 폐수처리 등의 기술적 & 실용적 측면을 다룬 도서에 TQ* 코드 사용할 것. 연구조사에 관한 도서는 PNC 코드 사용 권장 See also: RN* 환경 and its sub-categories | 1.1 | |
TQD | 환경감시 | ||
TQK | 오염방지 See also: RNP 공해 및 환경위협 | ||
TQS | 위생, 도시공학 | ||
TQSR | 폐기물처리 하수 및 유해폐기물 처리 등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RNH 오수관리 | ||
TQSW | 상수도 및 처리 정수 및 담수화 등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RNFD 가뭄 및 상수도 | ||
TR | 수송기술 및 관련업 See also: KNG 운송산업, RPT 교통계획 및 정책, WG* 차량: 취미일반 and its sub-categories | ||
TRC | 자동차기술 및 관련업 | ||
TRCS | 자동차기술 (운동역학) See also: WGCV 차량유지 및 매뉴얼 | ||
TRCT | 도로수송 및 화물수송 | ||
TRF | 철도기술 및 공학, 관련업 | ||
TRFT | 철도사업 | ||
TRL | 조선기술 및 공학, 관련업 | ||
TRLD | 선박설계 및 조선공학 | ||
TRLN | 항해 및 선반조정술 | ||
TRLT | 항해 및 해상무역 | ||
TRP | 항공우주산업 및 항공기술 무인항공기 및 드론기술, 항공 및 항공우주공학, 항공기 항공 전자 공학이 여기에 해당 | 1.4 | |
TRPS | 비행조정술 및 파일럿 비행 조정술, 실용적인 매뉴얼, 파일럿 면허가 여기에 해당 | 1.3 | |
TRT | 지능형, 자동화된 운송시스템 기술 | ||
TT | 기타 기술 및 응용과학 | ||
TTA | 음향사운드공학 | ||
TTB | 응용광학 | ||
TTBF | 섬유광학 | ||
TTBL | 레이저 및 홀로그래피기술 | ||
TTBM | 이미지시스템기술 See also: MKS* 의료영상 and its sub-categories | ||
TTBS | 스캐닝시스템 및 기술 | ||
TTD | 우주과학 See also: WNX 교양 천문학, 우주 | ||
TTDS | 우주항행학 우주탐사의 기술적인 면을 다룬 도서가 여기에 해당. 예를 들어 우주선 설계 등이 여기에 해당 | 1.2 | |
TTDX | 우주탐험 유인, 무인 우주 미션이나 프로그램이 여기에 해당. 예를 들어 아폴로, 보스토크, 스푸트니크, 보이저호 등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WNX 교양 천문학, 우주 | 1.2 | |
TTM | 군사공학 | ||
TTMW | 군수품, 무기기술 | ||
TTP | 폭발물, 불꽃놀이 기술 | ||
TTS | 선박공학 해양공학, 수중음파탐지기 등이 여기에 해당 | ||
TTU | 광산공학 | ||
TTV | 기타 직업기술 및 관련업 | ||
TTVC | 호텔, 환대 및 식음료서비스업 | 1.3 | |
TTVC2 | 음식공급 및 음식준비 기술 및 관련업 식음료 산업에 종사하는 전문가 대상 도서에 사용할 것 | 1.3 | |
TTVH | 헤어디자인 및 미용요법 기술 | 1.3 | |
TTVR | 전통산업 및 기술 대장장이, 지붕이는 직업, 돌담쌓기, 목공 및 수납장, 악기 제조 등이 여기에 해당. 산업화 이전 낮은 기술과 장인, 종종 시골 공예품을 다루는 기술이나 전문 직업인과 관련한 도서에 사용할 것. 아마추어를 위한 도서일 경우 WF* 코드 사용 권장 See also: WFV 시골전통공예 | 1.4 | |
TTVS | 경비, 보안 및 보호 기술 / 전문직 보안 및 보안 전문가, 개인 보호 및 연관 기술에 관한 전문가 대상 혹은 연관 직업을 다룬 도서가 여기에 해당 | 1.3 | |
TTVT | 경비원, 건물관리인, 하우스키퍼, 청소부 및 관련 기술 건물, 가사 노동자, 돌봄, 관리 기술을 다루는 직업 전문서 등에 사용할 것 | 1.3 | 1.4 |
TTW | 보조공학 보조공학, 장애를 가진 사람이 독립적 삶을 살 수 있도록 보조하는 기술에 관한 도서가 여기에 해당 | 1.2 | 1.4 |
TTX | 박제술 | ||
TV | 농축산업 See also: KCVD 농업경제학, KNA 영농 및 1차산업 | ||
TVB | 농업과학 | ||
TVBP | 토양학 및 관리 | 1.2 | |
TVD | 농업공학 및 농기계 See also: WGCT 트랙터, 농장용차량: 취미일반 | ||
TVDR | 관개 | ||
TVF | 지속농업 | ||
TVG | 유기농업 | ||
TVH | 축산업 동물 관리, 가축사육 및 관리가 여기에 해당 See also: WNF 농장 및 작업 동물: 일반 | 1.4 | |
TVHB | 동물육종 | ||
TVHE | 말 관리 말 사육, 말 과학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SK* 승마, 동물스포츠 and its sub-categories | 1.4 | |
TVHF | 낙농업 | ||
TVHH | 양봉 | ||
TVHP | 가금업 | ||
TVK | 농업경제학, 농작물생산 | ||
TVM | 소규모경작 | ||
TVP | 병충해방지 살충제 및 제초제 사용 등이 여기에 해당 | ||
TVQ | 열대농업: 실습 및 기술 | ||
TVR | 살림관리: 실습 및 기술 수목재배, 식목, 수목 외과술이 여기에 해당. 산림 및 관련 자원을 생성, 관리, 사용, 보존, 수리하는 실용적 혹은 관련 직업 도서에 사용할 것 See also: KNAL 산림산업, TDPJ 목재가공 | 1.4 | |
TVS | 상업원예 판매용 채소 가꾸기, 꽃 재배 등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WM* 원예 and its sub-categories | ||
TVSH | 수경재배 / 하이드로컬쳐 | 1.3 | |
TVSW | 포도재배 | ||
TVT | 수경재배, 양식: 실습 및 기술 | ||
TVU | 도시농장 / 도시농업 TVH 코드 (축산업)과 함께 사용하거나 필요한 경우 다른 TV* 코드와 함께 사용 | 1.3 | |
U | 컴퓨터, 정보기술 U* 코드는 학술, 관련분야 전문가, 부분적으로 일반 성인 독자 대상 독서에 사용할 것. 최상위 대분류 코드인 U 코드 자체는 사용할 수 없음. 하위에 속한 구체적인 주제어 찾아 해당되는 U* 코드 사용할 것. 필요한 경우 다른 주제어 코드 혹은 수식자와 함께 사용할 것. 특히 특정 직업 교육 관련 도서일 경우 교육관련 수식자 4*와 함께 사용할 것 | 1.4 | |
UB | 정보기술: 일반 주제 | 1.3 | |
UBB | 컴퓨터 조작, 디지털 및 정보기술 역사 | 1.4 | |
UBH | 디지털 및 정보기술: 건강 및 안전측면 | 1.4 | |
UBJ | 디지털 및 정보기술: 윤리, 사회적 측면 디지털 격차, 인더스트리 4.0, 사물인터넷, 스마트시티, 사회기술, 스마트홈, 지능형 환경 등이 여기에 해당. 컴퓨터, 디지털, 정보기술, 인터넷과 관련되어 사회를 변화시키거나 사용자와 연계되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나 이슈를 다룬 도서에 사용할 것 See also: JBFV5 윤리적 이슈: 과학, 기술, 의료산업 발전, PDR 과학 및 기술의 사회영향 | 1.4 | |
UBL | 디지털 및 정보기술: 법률적 측면 오픈소스, 카피레프트 라이선스, 스팸, 인터넷 중립성, 인터넷 검열, 정보 및 소프트웨어의 디지털 보급에 대한 모든 법적 측면을 다룬 도서가 여기에 해당. IT의 다양한 법률적 측면을 논하는 도서에 사용할 것 See also: LNQ IT 및 통신관련법: 우편법 | 1.4 | |
UBM | 메이커 및 해커운동 기술 주도 하위문화에 관한 일반 도서가 여기에 해당 | 1.3 | |
UBW | 인터넷: 일반 | ||
UD | 디지털 생활방식 및 온라인 세상: 소비자 및 사용자 가이드 일반적으로 기본, 입문, 비전문가 수준으로 디지털 기술에 관해 정보에 입각해 선택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가이드북에 사용할 것 See also: ATN 인터넷 및 디지털 미디어: 예술 및 공연 | 1.4 | |
UDA | 개인, 조직 소프트웨어 및 앱 | ||
UDB | 인터넷가이드 및 온라인서비스 See also: ATN 인터넷 및 디지털 미디어: 예술 및 공연 | 1.2 | |
UDBA | 온라인쇼핑 및 옥션 | ||
UDBD | 인터넷검색 | ||
UDBG | 인터넷도박 | ||
UDBM | 온라인금융 및 투자 | ||
UDBR | 인터넷브라우저 | ||
UDBS | 소셜미디어 / 소셜네트워크 | 1.3 | |
UDBV | 가상세계 | ||
UDD | 온라인 안전 및 행동 | 1.3 | |
UDF | 이메일: 소비자 / 사용자가이드 | ||
UDH | 전자책리더, 태블릿, 기타 휴대용단말기: 소비자 / 사용자가이드 | ||
UDM | 디지털음악 및 오디오: 소비자 / 사용자가이드 See also: ATN 인터넷 및 디지털 미디어: 예술 및 공연 | 1.2 | |
UDP | 디지털사진: 소비자/사용자가이드 디지털 사진에 관련한 모든 소비자/이용자 가이드북에 사용할 것. 일반적이고 예술적인 측면을 다룬 도서일 경우 AJT 코드와 함께, 포토샵 같은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편집 등 기술적인 측면을 다룬 도서일 경우 UGP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See also: AJT 사진장비 및 기술: 일반, UGP 사진 및 이미지편집 | 1.4 | |
UDQ | 디지털비디오: 소비자 / 사용자가이드 | ||
UDT | 모바일폰 및 스마트폰: 소비자 / 사용자가이드 | ||
UDV | 디지털TV 및 멀티미디어센터: 소비자 / 사용자가이드 | ||
UDX | 컴퓨터게임, 온라인게임: 전략가이드 | ||
UDY | 스마트 홈기술 및 가상비서: 소비자 / 가이드 사용자가 스마트 기술 혹은 사물인터넷에 대해 정보에 입각한 선택을 하는 데 도움이 되는 기본, 비전문가 수준의 가이드북 도서에 사용할 것 | 1.3 | 1.4 |
UF | 비즈니스 응용프로그램 | ||
UFB | 통합소프트웨어패키지 MS Office, MS Works, Lotus 스마트수트, 오픈오피스 등이 여기에 해당 | ||
UFC | 스프레드시트 엑셀, Lotus 1-2-3 등이 여기에 해당 | ||
UFD | 워드프로세싱 | ||
UFG | 프레젠테이션그래픽 | ||
UFK | 회계소프트웨어 | ||
UFL | 기업소프트웨어 CMS, CRM, ERP가 여기에 해당 | 1.3 | |
UFLS | SAP | ||
UFM | 수학, 통계소프트웨어 | ||
UFP | 프로젝트관리 소프트웨어 | ||
UFS | 협업 및 그룹소프트웨어 | ||
UG | 그래픽 및 디지털미디어 응용프로그램 | ||
UGA | 웹 접근성 및 디지털 디자인 디지털 제품의 접근성, 접근성이 적용된 디지털출판, 전자적인 접근성이 여기에 해당 | 1.4 | |
UGB | 웹그래픽과 디자인 | ||
UGC | CAD | ||
UGD | 데스크탑출판 | ||
UGG | 컴퓨터게임디자인 로직과 나레이티브 측면의 게임디자인에 관한 도서에 사용할 것 See also: AKLF 컴퓨터 게임 아트 | 1.3 | |
UGK | 3D그래픽과 모델링 | ||
UGL | 일러스트 및 드로잉소프트웨어 | ||
UGM | 디지털뮤직: 전문가용 | ||
UGN | 디지털애니메이션 | ||
UGP | 사진 및 이미지편집 | ||
UGV | 디지털비디오: 전문가용 | ||
UK | 하드웨어 | ||
UKC | 슈퍼컴퓨터 | ||
UKD | 중앙컴퓨터, 미니컴퓨터 | ||
UKF | 서버 | ||
UKG | 그리드 및 병렬컴퓨팅 | ||
UKL | 상호연관 스마트 기술 스마트홈 기술, 상호 연결된 스마트 장치, 사물 인터넷, 상호 연결된 컴퓨팅 장치 시스템, 기계 및 디지털 기계 혹은 사물에 대한 기술서 혹은 전문서에 사용할 것 | 1.4 | |
UKM | 내장시스템 | ||
UKN | 네트워크하드웨어 | ||
UKP | PC | ||
UKPC | PCs (IBM호환 PC) | ||
UKPM | 매킨토시 | ||
UKR | 유지 및 수리 | ||
UKS | 기억매체 및 주변장치 | ||
UKX | 지원프로그램 및 툴 | ||
UL | 운영시스템 OS | ||
ULD | 윈도우운영체계 | ||
ULH | 맥운영체계 맥 OS가 여기에 해당. iOS를 가리키는 ULP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See also: ULP 모바일 및 기타 핸드헬드 운영체계 | 1.3 | |
ULJ | 오픈소스 및 기타운영체계 | ||
ULJL | 리눅스 | 1.2 | |
ULP | 모바일 및 기타 핸드헬드 운영체계 안드로이드, iOS, 블랙베리, Tizen이 여기에 해당. 스마트폰, 태블릿, 스마트와치의 모바일 OS에 사용할 것 See also: ULD 윈도우운영체계, ULH 맥운영체계 | 1.3 | |
ULQ | IBM메인프레임운영체계 | ||
ULR | 실시간운영체계 | ||
UM | 컴퓨터프로그래밍 / 소프트웨어공학 | ||
UMA | 프로그래밍기법 | ||
UMB | 알고리즘과 데이터구조 | ||
UMC | 컴파일러 및 인터프리터 | ||
UMF | 애자일프로그래밍 | ||
UMG | 관점지향프로그래밍 (AOP) | ||
UMH | 익스트림프로그래밍 | ||
UMJ | 함수형프로그래밍 | ||
UMK | 게임개발 및 프로그래밍 | ||
UMKB | 2D그래픽 / 게임프로그래밍 | ||
UMKC | 3D그래픽 / 게임프로그래밍 | ||
UMKL | 레벨디자인 / 게임프로그래밍 | ||
UML | 그래픽프로그래밍 | ||
UMN | 객체지향프로그램 (OOP) | ||
UMP | 마이크로소프트프로그래밍 | ||
UMPN | 닷넷프로그래밍 | ||
UMPW | 윈도우프로그래밍 | ||
UMQ | 매킨토시프로그래밍 | ||
UMR | 네트워크프로그래밍 | ||
UMS | 모바일, 휴대용단말기 프로그래밍 / 앱프로그래밍 | ||
UMT | 데이터베이스프로그래밍 | ||
UMW | 웹프로그래밍 | ||
UMWS | 웹서비스 | ||
UMX | 프로그래밍 및 스크립트언어 / 일반 | ||
UMZ | 소프트웨어엔지니어링 | ||
UMZL | 통합모델링언어(UML) | ||
UMZT | 소프트웨어테스트 및 검증 | ||
UMZW | 객체지향소프트웨어엔지니어링 | ||
UN | 데이터베이스 | ||
UNA | 데이터베이스디자인 및 이론 | ||
UNAN | NoSQL 데이터베이스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가 여기에 해당 | 1.3 | |
UNAR | 관계형데이터베이스 | ||
UNC | 데이터수집 및 분석 인포그래픽, 데이터 시각화, 빅데이터, 데이터세트, 데이터 분석, 데이터 과학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GPH 데이터 사이언스 및 분석: 일반 | 1.4 | |
UND | 데이터웨어하우징 | ||
UNF | 데이터마이닝 | ||
UNH | 정보검색 (IR) | ||
UNJ | 객체지향데이터베이스 | ||
UNK | 배포데이터베이스 | ||
UNKD | 분산원장 블록체인, 암호화 화폐가 여기에 해당 | 1.3 | |
UNKP | 피어투피어 네트워크 비트토렌트, 프리넷이 여기에 해당 | 1.3 | |
UNN | 데이터베이스 및 웹 | ||
UNS | 데이터베이스소프트웨어 오라클, 엑세스, SQL 등이 여기에 해당 | ||
UP | 응용 정보기술 메이커 가이드, 가정 자동화 등이 여기에 해당 | 1.3 | |
UQ | 컴퓨터자격증 | ||
UQF | 컴퓨터자격증: 마이크로소프트 | ||
UQJ | 컴퓨터자격증: 시스코 | ||
UQL | 컴퓨터자격증: ECDL | ||
UQR | 컴퓨터자격증: ComTIA | ||
UQT | 컴퓨터자격증: CLAiT | ||
UR | 컴퓨터보안 | ||
URD | 개인정보 및 데이터보호 | ||
URH | 컴퓨터범죄 및 해킹 | ||
URJ | 컴퓨터바이러스, 트로이목마, 웜 | ||
URQ | 방화벽 | ||
URS | 스팸 | ||
URW | 스파이웨어 | ||
URY | 데이터암호화 See also: GPJ 코딩 이론과 암호학 | ||
UT | 컴퓨터네트워킹 및 커뮤니케이션 | ||
UTC | 클라우드컴퓨팅 | ||
UTD | 클라이언트서버네트워킹 | ||
UTE | 시스템관리 | ||
UTF | 네트워크관리 | ||
UTFB | 컴퓨터시스템백업 및 데이터복구 | ||
UTG | 그리드컴퓨팅 | ||
UTM | 전자메일(email): 전문가용 | ||
UTN | 네트워크보안 | ||
UTP | 네트워크 표준 및 프로토콜 | ||
UTR | 분산시스템 | ||
UTS | 네트워킹패키지 | ||
UTV | 가상화 | ||
UTW | WAP네트워킹 및 컴퓨터응용프로그램 | ||
UTX | EDI (전자자료교환) | ||
UX | 응용컴퓨팅 디지털 연구 및 기술, 인공 지능의 적용, 빅데이터 분석 또는 컴퓨터를 이용한 툴 및 방법을 기존 분야 및 사회 전반에 적용한 도서가 여기에 해당 See also: PSAX 컴퓨터생명공학 / 생물정보학, MBF 의료 및 의료정보학 | 1.4 | |
UXA | 예술 및 인문학의 컴퓨터응용프로그램 | ||
UXJ | 사회, 행동과학의 컴퓨터응용프로그램 See also: GTK 인지연구 | ||
UXT | 산업 및 기술의 컴퓨터응용프로그램 | 1.1 | |
UY | 컴퓨터공학 | ||
UYA | 컴퓨터관련 수학이론 | ||
UYAM | 컴퓨터과학자를 위한 수학 | ||
UYD | 시스템분석 및 디자인 | ||
UYF | 컴퓨터구조 및 로직디자인 | ||
UYFL | 어셈블리언어 | ||
UYFP | 병렬처리 | ||
UYM | 컴퓨터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 ||
UYQ | 인공지능 See also: GTK 인지연구 | ||
UYQE | 전문가시스템 / 지식기반시스템 | ||
UYQL | 자연언어 및 기계언어 | ||
UYQM | 기계학습 딥러닝이 여기에 해당 | 1.3 | |
UYQN | 신경망 및 퍼지시스템 | ||
UYQP | 패턴인식 | ||
UYQS | 음성인식 | ||
UYQV | 컴퓨터비전 | ||
UYS | 디지털 신호처리(DSP) | 1.4 | |
UYT | 영상처리 | ||
UYU | 오디오처리 | ||
UYV | 가상현실 | ||
UYW | 증강현실(AR) | 1.3 | |
UYX | 양자컴퓨팅 및 정보 양자 정보 과학이 여기에 해당 | 1.4 | |
UYZ | 인간-컴퓨터상호작용 | ||
UYZF | 정보시각화 | ||
UYZG | 사용자인터페이스디자인 | ||
UYZM | 정보구조 | ||
V | 건강, 인간관계, 개인발전 V* 코드는 일반 성인 독자 대상 도서에 사용할 것. 최상위 대분류 코드인 V 코드 자체는 사용할 수 없음. 하위 주제어 중 적절한 주제어 코드 V* 찾아 선택할 것. 모든 V* 코드는 다른 주제어 코드 혹은 수식자와 함께 사용하고 특히 흥미 수식자 5*와 함께 사용할 것. V* 코드에 속한 주제가 전문가 대상 도서일 경우 C*, J*, K*, L*, M*, Q*, R* 코드 선택할 것 권장 | 1.4 | |
VF | 가족과 건강 일반 독자대상 도서에 VF* 코드 사용할 것. 학술용, 전문가 대상 도서일 경우 J* 및 M* 코드에서 적당한 코드 사용할 것 | ||
VFB | 개인의 안전 | ||
VFD | 건강일반 인체 혹은 신체의 특정 부분에 대해 일반 대중서로 건강을 접근한 도서에 사용할 것 | 1.4 | |
VFDF | 가정응급처치 | ||
VFDJ | 어린이건강 | ||
VFDM | 남성건강 남성 갱년기, 전립선 문제 등이 여기에 해당 | 1.3 | |
VFDW | 여성건강 | ||
VFDW2 | 갱년기 | 1.3 | |
VFG | 가정간호 집에서 사람을 돌보고 간호하는 것에 대해 실용적인 조언을 제공하는 일반 대중서에 사용할 것 See also: MQC* 간호 and its sub-categories | 1.4 | |
VFJ | 개인, 사회 및 건강문제의 대처 비전문가인 대중을 위한 일반적인 도서로 관련 주제를 다루거나 대처하는 방법을 설명하거나 실용적인 조언을 제공하는 도서에 사용할 것. 필요한 경우 다른 주제어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예를 들어 소설에서 이러한 테마를 다루고 있을 경우 해당 소설 장르를 표현하는 F* 코드와 함께 사용하고 특정 연령대를 표현하는 경우 흥미 수식자 5L*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4 | |
VFJB | 질병 및 특정 건강 위기상황에 대처 필요한 경우 질병/위기상태를 특정하는 다른 M*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3 | |
VFJB1 | 알레르기 대처 (음식알레르기포함) | ||
VFJB2 | 허리통증 대처 | 1.2 | |
VFJB3 | 암 대처 | 1.3 | |
VFJB4 | 심장질환 대처 | 1.3 | |
VFJB5 | 당뇨병 대처 | 1.3 | |
VFJB6 | 알츠하이머 및 치매 대처 | 1.3 | |
VFJB7 | 두통 및 편두통 대처 | 1.4 | |
VFJB9 | 만성질환 대처 만성 혹은 장기질환을 가진 사람들과 함께 살거나 이런 상황의 대처 혹은 돌봄에 대한 조언을 제공하는 도서에 사용할 것 | 1.4 | |
VFJD | 신체적 장애대처 장애인, 특정 신체적 혹은 감각적 장애가 있는 사람을 위한 실용적인 조언을 제공하는 도서에 사용할 것. 필요한 경우 적절한 흥미 수식자 5PM*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4 | |
VFJG | 노화대처 노화 관련 주제 혹은 문제를 다루고 에이징에 대한 실용적인 도서에 사용할 것. 필요한 경우 적절한 흥미 수식자 5LK*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4 | |
VFJH | 신체상 이슈 대처 자기 몸 긍정주의, 자기 몸 부정주의, 신체 수치, 근육 이형 등이 여기에 해당 | 1.4 | |
VFJJ | 섭식장애대처 식욕 부진, 과식증이 여기에 해당 | 1.3 | |
VFJK | 약물 및 알코올 문제 약물 남용이 여기에 해당 | 1.3 | |
VFJL | 중독대처 다른 주제 코드에 포함되지 않는 중독에 사용할 것 | 1.3 | |
VFJM | 남용문제 | ||
VFJN | 왕따, 괴롭힘, 강요 대처 소셜미디어 트롤링, 사이버 괴롭힘, 협박, 집단괴롭힘, 직장 내 괴롭힘, 강압, 스토킹 및 위협 혹은 통제 행동에 대한 조언을 제공하는 도서에 사용할 것 | 1.4 | |
VFJP | 불안, 공포증 대처 공황 발작, 강박장애가 여기에 해당 | 1.3 | |
VFJQ | 정신건강 이슈 대처 일반 정신 건강 혹은 관련 이슈에 관한 해당 주제어가 없는 경우 사용할 것 | 1.3 | |
VFJQ1 | 우울증, 기타 기분장애 대처 | 1.3 | |
VFJQ2 | 자해 대처 | 1.4 | |
VFJR | 신경 발달 이슈 대처 | 1.3 | |
VFJR1 | 자폐증 / 아스퍼거 증후군 대처 자폐 범주성 장애가 여기에 해당 | 1.3 | |
VFJR2 | ADHD 대처 주의력 결핍 과잉 활동 장애 (ADHD)가 여기에 해당 | 1.3 | |
VFJR3 | 난독증 및 학습장애 대처 계산불능증, 난필증이 여기에 해당 | 1.3 | |
VFJR4 | 소통장애 대처 말더듬, 언어장애가 여기에 해당 | 1.3 | |
VFJS | 스트레스 대처 위기 대처가 여기에 해당 | 1.4 | |
VFJT | 외로움/고독 대처 | 1.3 | |
VFJV | 불면증 대처 숙면법이 여기에 해당 | 1.3 | |
VFJX | 죽음과 사별 대처 장례식, 기념비, 슬픔과 상실에 관한 도서가 여기에 해당 See also: JHBZ 사회학: 죽음, 임종 | 1.3 | |
VFJX1 | 자살대처 | 1.2 | |
VFL | 금연 | ||
VFM | 신체단련과 다이어트 | ||
VFMD | 식습관과 다이어트, 영양 건강 혹은 체중 감량을 위한 특정 식단에 관한 도서뿐만 아니라 충분한 영양 섭취, 음식, 건강 가이드에 관한 일반적인 도서가 여기에 해당. 특정 음식과 연관된 다이어트인 경우 WB*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예: 채식에 기반(비건)한 다이어트인 경우 WBJK 코드와 함께 사용) See also: WBH 건강요리 | 1.4 | |
VFMG | 운동 필라테스, 에어로빅, 스트레칭, 줌바, 스피닝, 서킷 트레이닝, 크로스 트레이닝, 건강 유지 운동, 크로스핏, 유산소 운동 등이 여기에 해당. 건강 수칙 혹은 특정 스포츠와 관련된 운동인 경우 S*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4 | |
VFMG1 | 요가 (운동) See also: QDHC2 요가(철학) | 1.3 | |
VFMG2 | 웨이트 트레이닝 체력 단련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SHP 역도 | 1.3 | |
VFMS | 마사지 See also: VXHJ 반사요법 | ||
VFV | 가족과 인간관계: 이슈 및 조언 해당하는 구체적인 주제어가 없는 가족, 사회적 그룹 내 다양한 관계 유형에 관한 주제와 이슈에 대해 조언을 제공하는 도서에 사용할 것 See also: JBFW 성과 성생활, 사회적 측면, JHBK 사회학: 가족, 인간관계, WQY 가족사, 선조추적 | 1.4 | |
VFVC | 성과 성관계: 이슈 및 조언 섹스메뉴얼 등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JBFW 성과 성생활, 사회적 측면, JMU 심리학: 성적 행동 | ||
VFVG | 데이트, 남녀관계, 동거 및 결혼: 이슈 및 조언 사랑, 로맨스, 배우자 신의, 일부일처제 관계, LAT(living apart together), 간통, 배우자 불신, 동거, 질투, 다자간 연애, 데이트에 관련한 도서에 사용할 것 See also: WJW 웨딩, 웨딩플래너 | 1.4 | |
VFVJ | 불임: 이슈 및 조언 불임이 여기에 해당 | 1.3 | |
VFVK | 입양 및 위탁: 이슈 및 조언 | ||
VFVM | 솔로생활: 이슈 및 조언 파트너 없는 생활, 독신자 삶 등 싱글 생활에 관한 조언이 여기에 해당 | 1.2 | 1.4 |
VFVN | 인간관계: 친구/또래 집단 친구 사귀기, 우정, 또래 집단, 소셜 네트워크, 소셜 그룹 내 관계 등에 관한 도서가 여기에 해당 | 1.4 | |
VFVS | 별거 및 이혼: 이슈 및 조언 | ||
VFVX | 세대간 관계: 이슈 및 조언 부모-자식간, 조부모-손자 관계, 세대차이, 세대간 우정, 세대간 오해 혹은 충돌 등에 관한 도서가 여기에 해당 | 1.4 | |
VFX | 육아: 이슈 및 조언 어머니 혹은 아버지를 위한 조언, 조부모 조언, 훈육에 대한 조언 등이 여기에 해당 | 1.4 | |
VFXB | 임신, 출산, 베이비케어 | ||
VFXB1 | 작명: 부모용가이드 | ||
VFXC | 육아 및 훈육: 부모용가이드 적절한 흥미 수식자 5L*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3 | |
VFXC1 | 십대: 부모용가이드 | ||
VS | 자기계발, 개인발전 및 현실적 조언 일반 독자 대상의 도서는 VS* 코드 사용할 것. 학술용 혹은 전문가용 도서일 경우 각 해당 주제인 C*, J*, K*, L*, Q*, R* 코드 등 사용 권장 | 1.3 | |
VSA | 실생활에 도움되는 유용한 조언/팁 생활을 좀 더 쉽게 만들기 위해 다양한 주제로 유용하고 실용적인 팁들을 제공하는 도서가 여기에 해당. 필요한 경우 다른 주제어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4 | |
VSB | 개인재무관리 돈, 소득, 가계 예산 관리가 여기에 해당 | 1.3 | |
VSC | 경력, 성공 조언 프레젠테이션 기술이 여기에 해당. 업무 관련 기술 및 역량 향상, 직업적으로 성공하거나 경력을 향상시키나 구직이나 이직을 위한 실용적인 조언을 제공하는 도서에 사용할 것. 만일 해당 도서가 자격증이나 수험서인 경우 교육관련 수식자 4CP* 코드 및 해당 분야를 특정하는 다른 주제어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4 | |
VSCB | 구직 / 이직 이력서, 자기소개서, 커버레터, 면접 기술, 근로자 권리, 실직 대처, 구직, 채용 시험이 여기에 해당. 구직 혹은 이직에 대한 일반적인 도서에 사용할 것 | 1.3 | 1.4 |
VSD | 비전문가용 법률, 시민의식, 권리 | ||
VSF | 운전기술 및 운전 운전면허시험준비 도서가 여기에 해당. 차량 종류를 특정하려면 적절한 WGC* 코드 함께 사용할 것 | 1.3 | |
VSG | 소비자 조언 See also: WJS 쇼핑가이드 | ||
VSH | 주택 및 부동산: 매매 및 법률이슈 See also: WK* 홈과 주택관리 and its sub-categories | ||
VSK | 교육 조언 See also: JN* 교육 and its sub-categories | ||
VSKB | 학생생활 유학생활, 캠퍼스 생활 실용 가이드, 학생으로 살아남는 법이 여기에 해당 | 1.3 | |
VSL | 성인용 쓰기/읽기 가이드 See also: CFC 문해 | ||
VSN | 성인용 산술공부 가이드 | ||
VSP | 교양심리학 See also: QDX 교양철학 | ||
VSPD | 마음챙김 명상이나 연관된 접근법에 기반한 치료가 여기에 해당 | 1.2 | |
VSPM | 적극성, 동기, 자부심 및 긍정적 마음자세 | 1.3 | |
VSPP | 성격 특성 성격 테스트, 외향성, 내성적, 공감력, 고도 민감, 고도 재능 있는 사람 등이 여기에 해당. 다양한 성격과 유형을 탐구하는 일반 독자 대상으로 한 도서에 사용할 것 See also: JMS 심리학: 자아, 에고, 정체성, 인격 | 1.4 | |
VSPT | 기억력향상 및 사고기법 IQ 자가 테스트, 마인드 매핑, 추론 기술을 위한 IQ 테스트 등이 여기에 해당 | 1.4 | |
VSPX | 신경언어학프로그래밍 (NLP) | ||
VSR | 퇴직 See also: KFFP 연금 | ||
VSS | 소프트스킬 및 처세술 사회적 상황, 생활 기술, 정리 기술에 관한 조언 제공이 여기에 해당 | 1.2 | 1.4 |
VSW | 이민 및 해외취업: 실용가이드 | ||
VSY | 생존주의/비상상황 준비 재난 매뉴얼, 프레퍼(preppers) 가이드가 여기에 해당. 발생 가능한 혼란, 재난(인재 및 천재), 비상 혹은 위기에 대비하기 위한 실용적인 가이드에 사용할 것 | 1.4 | |
VSZ | 자급자족 및 그린라이프 윤리적이며 저탄소, 플라스틱을 사용하지 않고 환경에 영향을 덜 끼치는 삶, 간소한 삶에 관한 도서가 여기에 해당. 지속 가능한 삶을 살기 위한 실용적인 조언, 팁, 제안에 관한 도서에 사용할 것 See also: RNU 환경지속 | 1.4 | |
VX | 마음, 신체, 영혼 일반독자 대상의 마음/신체/영혼의 치료에만 VX* 코드 사용할 것. 학술적 혹은 전문가 대상 도서는 각 도서에 맞는 영역인 J*, M*, Q* 코드 등 사용할 것 | ||
VXA | 마음, 신체, 영혼: 사상과 실습 | ||
VXF | 역학, 사주 | ||
VXFA | 점성술 | ||
VXFA1 | 별자리 | ||
VXFC | 카드점 | ||
VXFC1 | 타로카드 | ||
VXFD | 역학 | ||
VXFG | 필적학 | ||
VXFJ | 관상 | 1.2 | |
VXFJ1 | 손금 수상술, 손금 등이 여기에 해당 | 1.2 | |
VXFJ2 | 골상학 | 1.2 | |
VXFN | 숫자점 | ||
VXFT | 예언 | ||
VXH | 보완대체치료법 자연요법, 자연의학이 여기에 해당. 치료사, 자연요법을 포함한 치료 및 관련업 종사자에 관한 도서에 사용할 것. 만일 해당 도서가 관련 의료 분야 전문 자격증을 가진 독자를 대상으로 한다면 MX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See also: MX* 대체의학 and its sub-categories | 1.4 | |
VXHA | 침술 | 1.1 | |
VXHC | 아로마세라피, 방향유 | ||
VXHF | 자연요법 생태 치료, 원예 치료가 여기에 해당. 일반 독자를 대상으로 하는 교양서에 이 코드 사용하고 학술적 접근일 경우 심리학 코드인 JM* 사용할 것 See also: MQT 작업요법 | 1.3 | |
VXHH | 동종요법 | ||
VXHJ | 반사요법 See also: VFMS 마사지 | ||
VXHK | 기치료 | ||
VXHT | 전통의학, 한방치료 중국한약, 아유르베다 치료법, 캄포(일본 전통의학), 민간요법, 식물의학, 식물요법, 유사 약초요법 등에 관한 도서가 여기에 해당. 요법 및 관련직 종사자를 위한 도서에 사용할 것. 필요한 경우 적절한 장소 수식자 1*과 함께 사용할 것 | 1.4 | |
VXK | 지구에너지 다우싱, 레이라인이 여기에 해당 | 1.1 | 1.4 |
VXM | 마음, 신체, 영혼: 명상 및 심상 | ||
VXN | 꿈, 꿈풀이 See also: JMT 심리학: 의식상태 | ||
VXP | 초능력 및 심령현상 ESP, 텔레파시, 텔레키네시스 등에 관한 교양서가 여기에 해당 See also: JMX 초심리학 연구 | ||
VXPC | 수정요법 및 색채치료 | ||
VXPH | 차크라, 아우라, 영적에너지 | ||
VXPJ | 영적투시 및 유체이탈 | ||
VXPR | 사후세계, 환생, 전생 | ||
VXPS | 영혼가이드, 천사, 채널링현상 | ||
VXQ | 불가사의현상/파라노말 | ||
VXQB | UFO, 외계인 | ||
VXQG | 유령 | ||
VXQM | 괴물, 신화 및 전설속존재 거인, 도깨비, 골렘, 그리핀, 인어, 오우거, 트롤, 엘프, 요정, 유니콘, 설인, 빅풋 등과 같은 것이 여기에 해당. 전설이나 우화 속 생명체에 관한 대중서에 사용할 것. 이러한 생명체 중 하나를 소설로 출간한 도서는 F*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학술적 성격이 강한 도서일 경우 JBGB 코드 혹은 QR* 코드 함께 사용할 것 See also: JBGB 민속, 신화, 전설 | 1.4 | |
VXQM1 | 신화적 존재: 용 필요한 경우 F*, JBGB, QR*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3 | |
VXQM2 | 신화적 존재: 뱀파이어, 늑대인간 및 기타 변신하는 존재 필요한 경우 F*, JBGB, QR*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3 | |
VXQM3 | 신화적 존재: 좀비 및 기타 언데드 필요한 경우 F*, JBGB, QR*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3 | |
VXQM4 | 신화적 존재: 요정 및 유사 존재 필요한 경우 F*, JBGB, QR*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4 | |
VXV | 풍수지리 및 생활공간 디자인 및 스타일에 관한 도서 바스투 샤스트라 등이 여기에 해당 | 1.2 | |
VXW | 신비주의, 마법, 주술 주술 등에 관한 대중서는 VXW* 코드 사용할 것. 학술적, 전문적 도서는 QRY* 코드를 사용하는 것이 좋음 See also: QRYX* 초자연, 불가사의연구 and its sub-categories | ||
VXWK | 신비주의: 교양서 See also: QRVK2 신비주의 | ||
VXWM | 마법, 주문, 연금술 | ||
VXWS | 샤머니즘, 이교도, 토속신앙 See also: QRS 고대종교 및 신화 | ||
VXWT | 사악한마법, 위카 위카(주술), 현대 혹은 이교도의 주술 등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QRYX5 마법 | 1.4 | |
W | 생활, 취미, 레저 W* 코드는 일반 독자를 대상으로 한 대중/교양 도서에 사용할 것. 관련 분야의 전문가/학술 도서는 A*, K*, P*, R*, T* 코드 등 사용할 것. 최상위 대분류 코드인 W 코드 자체는 사용할 수 없음. 하위에 속한 적절한 주제어 W* 코드 찾아 사용할 것 | 1.4 | |
WB | 요리 / 식음료 등 요리법, 음식, 요리 또는 음료에 대한 일반적인 도서가 여기에 해당. 만일 도서가 식음료, 요리의 역사적 측면을 다룬 경우 NHTB 코드와 함께 사용하고 특정 문화 혹은 사회의 식품에 대한 고찰일 경우 JBCC4 코드 함께 사용할 것 See also: JBCC4 문화연구: 음식과 사회 | 1.4 | |
WBA | 요리법 일반 | ||
WBAC | 편안한 음식 및 향수 음식 | 1.3 | |
WBB | TV / 유명셰프 TV 요리프로그램 관련 요리책, 특정 레스토랑 레시피 등이 여기에 해당 | ||
WBC | 싱글요리 | ||
WBD | 예산별 요리 | ||
WBF | 간편요리 | 1.3 | |
WBH | 건강요리 | ||
WBHS | 식이요법요리 필요한 경우 VF* 혹은 M*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3 | |
WBJ | 채식주의요리 및 채식주의 관련 레시피, 육류 없는 식단의 영양, 건강 정보, 윤리적 측면을 다룬 도서에 사용할 것 | 1.4 | |
WBJK | 비건요리 및 완전 채식주의 관련 레시피, 채식 기반의 식단의 영양과 건강 정보, 윤리적 측면을 다룬 도서에 사용할 것 | 1.4 | |
WBK | 유기농 식품 / 유기농 요리 | 1.3 | |
WBN | 국가, 지역, 민족요리 적절한 장소 수식자 1*과 함께 사용할 것. 동시에 적절한 흥미 수식자 5PB* 코드도 함께 사용할 것 | 1.4 | |
WBNB | 거리음식 | 1.3 | |
WBQ | 어린이를 위한/어린이와 함께하는 요리 | 1.3 | |
WBR | 파티 및 특별한 경우 요리 적절한 흥미 수식자 5H*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3 | |
WBS | 도구활용 요리 전자레인지요리, 바비큐요리, 슬로우요리 등이 여기에 해당 | 1.3 | |
WBT | 재료별 요리/음식 | 1.3 | |
WBTB | 육류 및 사냥감 요리/음식 | 1.3 | |
WBTC | 닭고기, 가금류 요리/음식 | 1.3 | |
WBTF | 생선, 해산물 요리/음식 | 1.3 | |
WBTH | 허브, 향신료, 오일, 식초 요리/음식 | 1.3 | |
WBTJ | 곡물, 콩, 견과 및 씨앗 요리/음식 콩, 땅콩, 대두, 귀리, 렌틸이 여기에 해당 | 1.3 | |
WBTM | 과일, 채소 요리/음식 | 1.3 | |
WBTP | 파스타 및 면 요리/음식 | 1.3 | |
WBTR | 계란, 치즈 및 유제품 요리/음식 | 1.3 | |
WBTX | 초콜릿 요리/음식 | 1.3 | |
WBV | 일품, 코스요리 | ||
WBVD | 일품, 코스요리: 수프 및 스타터 딥, 전채요리, 핑거푸드가 여기에 해당 | 1.3 | |
WBVG | 일품, 코스요리: 샐러드 및 야채요리 | ||
WBVH | 일품, 코스요리: 소스 살사, 마리네이트, 양념, 드레싱이 여기에 해당 | 1.3 | |
WBVM | 일품, 코스요리: 메인코스 | ||
WBVQ | 일품, 코스요리: 디저트 | ||
WBVS | 베이킹, 빵, 케이크 및 페이스트리 파이, 타르트, 페이스트리가 여기에 해당. 베이킹에 대한 일반 도서 혹은 다양한 종류의 베이킹 제품을 다룬 도서에 사용할 것 | 1.4 | |
WBVS1 | 케이크, 케이크장식, 아이싱, 슈가크래프트 모든 종류의 케이크 만들기, 베이킹 및 장식에 관한 도서에 사용할 것 | 1.1 | 1.4 |
WBVS2 | 빵과 빵 만들기 | 1.4 | |
WBW | 요리: 보존 및 냉동 처트니, 잼, 피클이 여기에 해당 | 1.3 | |
WBX | 식음료: 음료 | ||
WBXD | 식음료: 알코올음료 | ||
WBXD1 | 식음료: 와인 가정에서 포도주 양조하는 방법, 와인 시음이 여기에 해당 | 1.4 | |
WBXD2 | 식음료: 맥주 및 사과주 가정에서 맥주 양조하기가 여기에 해당 | 1.4 | |
WBXD3 | 식음료: 혼합주, 리큐어 및 칵테일 | 1.4 | |
WBXN | 식음료: 무알코올음료 | ||
WBXN1 | 차 및 커피 다도, 커피 문화가 여기에 해당. 차, 커피 등 음료의 유형과 준비, 그와 관련된 의식, 혹은 의식, 의식절차 등에 관한 도서가 여기에 해당. 유통, 무역, 관련 역사, 관련 전통, 건강 등을 다룬 도서의 경우 해당 주제어와 함께 사용할 것 | 1.3 | 1.4 |
WBXN12 | 다도 차도 혹은 사도(일본 다도)가 여기에 해당 | 1.4 | |
WBXN3 | 주스 및 스무디 | 1.3 | |
WBZ | 시가, 흡연 See also: VFL 금연 | ||
WC | 골동품, 빈티지 및 수집품 수집 자체뿐 아니라 수집하는 대상을 다루는 도서에 WC* 코드 사용할 것 | 1.4 | |
WCB | 골동품, 빈티지 및 수집품: 구매가이드 가격 가이드, 옥션가이드, 가치평가 등이 여기에 해당. 필요한 경우 아이템 유형을 나타내는 WC*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See also: UDBA 온라인쇼핑 및 옥션 | 1.4 | |
WCC | 골동품관리, 복원 | ||
WCF | 주화, 지폐, 메달수집 기타 연관 아이템 실(seals) 수집, 화폐/메달 연구가 여기에 해당 | 1.3 | |
WCG | 우표수집 | ||
WCJ | 골동품시계, 뮤직박스, 오토마타 | 1.4 | |
WCJB | 시계 손목시계가 여기에 해당. 시계 수집, 패션 오브제, 럭셔리 오브제, 시계 연감 등에 사용할 것 | 1.4 | |
WCK | 군수품, 무기, 병기수집 | ||
WCL | 골동품 혹은 빈티지 가구, 가구수집 골동품 가구 복원에는 WCC 사용할 것 | 1.4 | |
WCN | 골동품, 빈티지, 수집품: 도자기, 유리 및 기타 연관 아이템 | 1.4 | |
WCNC | 골동품, 빈티지, 수집품: 도자기, 자기 도자기 수집이 여기에 해당 | 1.3 | 1.4 |
WCNG | 골동품, 빈티지, 수집품: 유리 병 수집이 여기에 해당 | 1.3 | 1.4 |
WCP | 골동품, 빈티지, 수집품: 장신구 | 1.4 | |
WCR | 골동품, 빈티지, 수집품: 금, 은, 기타 금속(비장신구) | 1.4 | |
WCRB | 골동품, 빈티지, 수집품: 버튼, 배지, 핀 및 연관 소품 | 1.3 | 1.4 |
WCS | 골동품, 빈티지, 수집품: 책, 필사본, 엽서, 기타 인쇄물 담뱃갑 속 그림카드, 프로그램, 우편엽서, 코믹북, 사인, 전화, 사진, 공중전화카드 등이 여기에 해당 | 1.4 | |
WCT | 골동품, 빈티지, 수집품: 스포츠기념품 | 1.4 | |
WCU | 골동품, 빈티지, 수집품: 그림, 지도 | 1.4 | |
WCV | 골동품, 빈티지, 수집품: 카펫, 깔개, 기타 섬유류 | 1.4 | |
WCVB | 골동품, 빈티지, 수집품: 의류 | 1.4 | |
WCW | 골동품, 빈티지, 수집품: 장난감, 게임, 인형, 피겨 테디베어가 여기에 해당 | 1.4 | |
WCX | 골동품, 빈티지, 수집품: 악기, 기구 및 도구 | 1.4 | |
WCXM | 골동품, 빈티지, 수집품: 악기 | 1.2 | 1.4 |
WCXS | 골동품, 빈티지, 수집품: 과학기기 | 1.2 | 1.4 |
WD | 취미, 퀴즈, 게임 | ||
WDH | 취미 See also: WF* 수공예, 장식예술, 공예 and its sub-categories | ||
WDHB | 조립식모형 미니어처 인형, 밀리터리 모델, 장난감 병사, 게임 피겨, 모형이 여기에 해당 | 1.2 | 1.4 |
WDHM | 철도조립모형 | ||
WDHR | 무선모형 모형 항공기, 모형 자동차, 모형 보트, 드론 등이 여기에 해당 | 1.4 | |
WDHW | 롤플레잉, 전쟁게임, 판타지스포츠 전쟁게임, 미니어처 게임, 던전앤드래곤 스타일 롤플레잉 게임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FYW 소설 특징: 게임 연관 | 1.4 | |
WDJ | 3D이미지, 착시현상 | ||
WDK | 퍼즐, 퀴즈 수수께끼, 측면사고 퍼즐, 논리 테스트, 기억력 게임, 추측 게임, 직소 퍼즐이 여기에 해당. 어떤 형태의 수수께기나 풀어야할 퍼즐이 있거나 답할 질문이 있는 도서에 사용할 것 | 1.4 | |
WDKC | 크로스워드 및 워드게임 스크래블 사전, 단어목록, 문자배열 게임, 시멘틱 게임, 언어게임이 여기에 해당 | 1.4 | |
WDKN | 스도쿠, 숫자퍼즐 숫자 게임이 여기에 해당 | 1.4 | |
WDKX | 일반상식, 퀴즈북 일반상식 퀴즈, 펍퀴즈가 여기에 해당. 퀴즈의 분야를 특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 다른 주제어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See also: GBD 잡제 및 개요서 | 1.4 | |
WDM | 실내게임 파티게임, 교육용 게임, 전통게임, 우연게임, 스킬게임, 주사위 게임을 포함하여 일반적으로 실내에서 플레이하는 모든 종류의 게임에 관한 도서에 사용할 것 See also: UDX 컴퓨터게임, 온라인게임: 전략가이드 | 1.4 | |
WDMC | 카드게임 솔리테어, 트레이드 카드게임이 여기에 해당. 카드를 사용하는 모든 유형의 카드게임을 위한 도서에 사용할 것 | 1.4 | |
WDMC1 | 카드게임: 브리지 | ||
WDMC2 | 카드게임: 포커 | ||
WDMG | 보드게임, 전략게임 마작이 여기에 해당. 모든 유형의 보드게임, 추상 혹은 테마가 있든, 전통게임이나 독일식, 미국식 등 각종 유형의 보드게임에 사용할 것 | 1.4 | |
WDMG1 | 보드게임: 체스 체스 및 체스의 모든 변형 게임에 사용할 것 | 1.4 | |
WDMG2 | 보드게임: 쇼기 | 1.4 | |
WDMG3 | 보드게임: 바둑 | 1.4 | |
WDP | 도박: 이론 및 방법 See also: UDBG 인터넷도박 | ||
WF | 수공예, 장식예술, 공예 해당 분야에 관심을 가진 아마추어 일반 독자를 위한 취미, 실용서일 경우만 WF* 코드 사용할 것. 예술사나 비평 관련 내용은 코드 A* 사용하는 것을 권장하며 좀 더 해당 분야 직업과 관련한 전문서 성격이 강한 도서는 T* 코드 사용을 권장함 See also: AFT 장식예술 | 1.4 | |
WFA | 회화, 드로잉, 예술매뉴얼 See also: AGZ 예술 기법 및 원리 | 1.4 | |
WFB | 바느질, 직물공예 패턴 및 디자인 관련 도서가 여기에 해당 See also: AFW 섬유예술작품, AKT 패션 및 섬유 디자인 | 1.4 | |
WFBC | 자수 십자수, 니들포인트, 패피스트리 등이 여기에 해당 | ||
WFBL | 레이스공예 | ||
WFBQ | 퀼트, 패치워크, 아플리케 | ||
WFBS | 손뜨개 | ||
WFBS1 | 뜨개질 | 1.2 | |
WFBS2 | 코바늘뜨개질 | 1.2 | |
WFBV | 직물염색 밀랍염색, 홀치기염색 등이 여기에 해당 | ||
WFBW | 바느질 | 1.2 | |
WFC | 로프, 매듭, 매듭공예 | ||
WFD | 가죽공예 및 가죽세공 | 1.4 | |
WFF | 러그, 카펫제작 See also: AFW 섬유예술작품, AKT 패션 및 섬유 디자인 | ||
WFG | 방적, 제직 See also: AFW 섬유예술작품, AKT 패션 및 섬유 디자인 | ||
WFH | 인형, 완구제작 봉제완구, 인형, 인형의집 등이 여기에 해당 | ||
WFJ | 장신구, 비드공예 See also: AFKG 귀금속, 보석류의 공예품 및 디자인 | ||
WFK | 표면장식공예 데쿠파주가 여기에 해당 | ||
WFN | 도자기, 자기, 유리공예 See also: AFP 도자기, 모자이크 및 유리공예 작품 | ||
WFP | 금속공예 | ||
WFQ | 목공예 장식용박스 제작, 액자제작 등이 여기에 해당 | ||
WFS | 조각, 소조, 주조 목조, 석고뜨기, 레진, 반죽공예, 양초제작 등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AFKC 조각, 마스크, 부조 | ||
WFT | 책, 종이공예 종이제작, 북바인딩(제본), 연하장, 스트랩북, 종이비행기, 종이접기, 종이모형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AKH 북 디자인 및 제본 | 1.3 | |
WFTM | 종이접기, 종이공학 | ||
WFU | 서예, 손글씨 See also: AKD 타이포그래피, 레터링 | ||
WFV | 시골전통공예 See also: AFT 장식예술 | ||
WFW | 꽃꽂이, 꽃공예 꽃장식, 꽃말 등이 여기에 해당 | 1.4 | |
WFX | 성인용컬러링, 활동북 | ||
WG | 차량: 취미일반 See also: KNG 운송산업, TR* 수송기술 및 관련업 and its sub-categories | ||
WGC | 자동차, 모터비클: 취미일반 See also: TRCT 도로수송 및 화물수송 | ||
WGCB | 자동차: 취미일반 | ||
WGCF | 버스, 트램, 상업용차량: 취미일반 | ||
WGCK | 오토바이: 취미일반 | ||
WGCQ | 도로 및 모터비클: 캠프용 밴, 레저 차량 | 1.3 | |
WGCT | 트랙터, 농장용차량: 취미일반 See also: TVD 농업공학 및 농기계 | ||
WGCV | 차량유지 및 매뉴얼 See also: TRCS 자동차기술 (운동역학) | ||
WGD | 자전거, 비동력교통수단: 취미일반 및 유지 See also: SMQ 경륜, SZD 자전거: 일반 및 여행 | ||
WGF | 기차 및 철도: 취미일반 철도 관련 기업의 역사, 지도, 아틀라스, 일반적인 내용을 다룬 도서가 여기에 해당 See also: TRF* 철도기술 및 공학, 관련업 and its sub-categories | 1.3 | |
WGFD | 기관차 및 철도차량 스팀, 디젤, 전기 기관차, 화물기차, 객차 등이 여기에 해당 | 1.3 | |
WGFL | 도시철도시스템 지하철, 경철도시스템 (메트로, 지하철, 모노레일 등), 기타 철도수송시스템 등이 여기에 해당 | 1.2 | |
WGG | 배, 보트: 취미일반 내륙수로, 해양운항 배 등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NHTM 해양사, SPN* 보트: 스포츠 및 레저 and its sub-categories | 1.3 | |
WGGB | 보트 노 젓는 배, 거룻배, 바지선, 호화 요트, 하우스보트 등이 여기에 해당. 주로 내륙수료 혹은 연안수로용으로 설계된 보트에 사용할 것 | 1.3 | |
WGGD | 배: 여색선 및 기타 원양선 유람선, 범선, 대형 범선이 여기에 해당. 대형 규모의 선박, 선박회사, 해양 선박 역사에 사용할 것 | 1.3 | |
WGGP | 배, 보트: 자격증 및 면허증 소형 보트, 아마추어 항해사 자격증 등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TRLN 항해 및 선반조정술, TRLT 항해 및 해상무역 | 1.3 | |
WGGV | 보트건조 및 유지 See also: TRL* 조선기술 및 공학, 관련업 and its sub-categories | ||
WGM | 항공기 및 항공술 상업용 항공기, 항공사, 공항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TRP* 항공우주산업 및 항공기술 and its sub-categories | 1.3 | |
WH | 유머 See also: XY 연재만화 | ||
WHG | TV 유머 | ||
WHJ | 개그, 수수께끼 | ||
WHL | 속어, 사투리유머 | ||
WHP | 패러디(비소설) See also: FUP 풍자소설, 패러디 | ||
WHX | 유머컬렉션 | ||
WJ | 라이프스타일과 스타일가이드 | ||
WJF | 패션과 스타일가이드 | ||
WJH | 화장, 헤어, 뷰티 스파 트리트먼트, 메이크업, 스킨케어, 헤어스타일링, 뷰티테라피, 살롱기술, 개인미용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TTVH 헤어디자인 및 미용요법 기술, VFM 신체단련과 다이어트, YPWC5 학습서: 미용, 미용 요법 | 1.4 | |
WJJ | 향수 및 향 향수가 여기에 해당 | 1.4 | |
WJK | 인테리어디자인, 데코, 스타일가이드 See also: AMR 건축: 인테리어 디자인 | ||
WJS | 쇼핑가이드 See also: UDBA 온라인쇼핑 및 옥션, VSG 소비자 조언 | ||
WJW | 웨딩, 웨딩플래너 | ||
WJX | 파티, 에티켓, 엔터테이닝 | ||
WJXC | 매너: 가이드 및 조언 예의 바른 행동 규범, 에티켓 및 타인과의 상호작용, 타인을 대하는 형식 및 방법, 무례함을 피하거나 범죄를 일으키지 않도록 하는 조언, 이문화 조언이 여기에 해당 | 1.4 | |
WJXF | 테이블 세팅 및 테이블 아트 | 1.3 | |
WJY | 전통적인 의식절차 일본의 차도, 다도, 코도 등 전통의식 혹은 행사와 관련된 도서에 사용할 것 See also: JBCC6 문화연구: 관습과 전통 | 1.4 | |
WK | 홈과 주택관리 See also: TTVT 경비원, 건물관리인, 하우스키퍼, 청소부 및 관련 기술, VSH 주택 및 부동산: 매매 및 법률이슈 | ||
WKD | DIY: 일반 | ||
WKDM | DIY: 주택유지 매뉴얼 | ||
WKDW | DIY: 목공, 목공예 | ||
WKH | 살림팁 가정경제학, 가정 청소요령, 집정리, 살림법이 여기에 해당 | 1.4 | |
WKR | 집수리, 확장 See also: WJK 인테리어디자인, 데코, 스타일가이드 | ||
WKU | 실외구역: 디자인 및 유지 | ||
WM | 원예 See also: TVS 상업원예 | ||
WMB | 정원 (역사, 일반) | ||
WMD | 정원디자인 | ||
WMF | 온실, 텃밭 | ||
WMP | 원예: 재배 허브, 선인장 등이 여기에 해당. 실내외 정원 식물 재배 혹은 종류 가이드에 관한 도서에 사용할 것. 실내용 화초일 경우 WMQR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3 | |
WMPC | 원예: 화초 | 1.3 | |
WMPF | 원예: 과일 및 야채 | 1.3 | |
WMPS | 원예: 나무 및 관목 | 1.3 | |
WMPY | 원예: 해충 및 질병 | 1.3 | |
WMQ | 특수원예법 | ||
WMQB | 분재 | 1.3 | |
WMQF | 친환경원예 | ||
WMQL | 조경 | ||
WMQN | 자연정원 | ||
WMQP | 야생식물가꾸기 | ||
WMQR | 용기가드닝 실내외에서 화분, 통, 바구니 등에 식물 재배하기가 여기에 해당 | 1.3 | |
WMQR1 | 실내정원 | 1.3 | |
WMQW | 수생식물원 | ||
WMT | 주말농장 / 커뮤니티 가든 See also: TVM 소규모경작, TVU 도시농장 / 도시농업 | 1.3 | |
WN | 자연세계: 취미일반 일반 독자 대상의 대중적인 도서에만 WN* 코드 사용할 것. 학술적, 전문서는 해당분야 적절한 P*, R*, T* 코드 등 사용할 것 | ||
WNA | 공룡, 선사시대: 취미일반 See also: RBX 고생물학 | ||
WNC | 야생동물: 취미일반 See also: PSV* 동물학 및 동물과학 and its sub-categories | ||
WNCB | 야생동물: 새, 들새관찰: 일반 See also: PSVJ 동물학: 조류(조류학) | ||
WNCF | 야생동물: 포유류: 일반 See also: PSVM 동물학: 포유류(포유동물학) | ||
WNCK | 야생동물: 파충류, 양서류: 일반 See also: PSVF 동물학: 양서류 및 파충류(파충류학) | ||
WNCN | 야생동물: 나비, 기타 곤충, 거미: 일반 See also: PSVA 동물학: 무척추동물 | ||
WNCS | 야생동물: 수중생물: 일반 See also: PSP 수생생물학, PSVC 동물학: 어류(어류학), PSVM2 동물학: 바다 및 담수서식포유류 | ||
WNCS1 | 해양생물, 해마류: 일반 See also: PSPM 해양생물학 | ||
WNCS2 | 담수생물: 일반 See also: PSPF 담수생물학 | ||
WND | 전원생활: 일반 | ||
WNF | 농장 및 작업 동물: 일반 작업 혹은 서비스견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TVH 축산업 | 1.3 | |
WNG | 애완동물 | ||
WNGC | 애완동물: 고양이 | ||
WNGD | 애완동물: 개 | ||
WNGD1 | 애견 훈련, 교정지도 | ||
WNGF | 애완동물: 물고기, 수족관 | ||
WNGH | 말, 조랑말: 일반 | ||
WNGK | 애완동물: 새 | ||
WNGR | 애완동물: 토끼, 설치류 애완용 쥐, 햄스터, 기니어피그, 게르빌루스쥐 등이 여기에 해당 | 1.3 | |
WNGS | 애완동물: 파충류, 양서류 애완용 뱀, 도마뱀, 도룡뇽, 테라핀, 바다거북, 거북 등이 여기에 해당 | 1.3 | |
WNGX | 애완동물: 곤충, 거미 | ||
WNH | 동물원과 야생동물공원: 취미일반 | ||
WNJ | 국립공원, 자연보호구역: 취미일반 장소 수식자 1*과 함께 사용할 것. 여기에 국립(주립, 도립 등) 공원 가이드 도서인 경우 여행 주제어 중 적절한 WT* 함께 사용할 것 | 1.3 | |
WNP | 나무, 야생화, 식물: 취미일반 See also: PST* 식물학 및 식물과학 and its sub-categories, WMP 원예: 재배 | ||
WNR | 암석, 광물, 화석: 취미일반 원석 가이드 등 지질학 관련 일반교양 도서일 경우 사용할 것. 관련주제 지식분야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See also: PNV 광물, 결정체, 보석 화학, RBX 고생물학, RBG* 지질학, 지형학, 암석권 and its sub-categories | 1.2 | |
WNW | 지구 자연사: 취미일반 지구의 자연사를 다룬 일반 교양서일 경우 사용. 화산, 지진 등의 일반교양서가 여기에 해당 See also: RB* 지구과학 and its sub-categories, PSAF 생태과학, 생물권 | ||
WNWM | 날씨와 기후: 취미일반 태풍, 기타 기상이변 등의 날씨, 기후를 다룬 일반교양서가 여기에 해당 See also: RBP 기상학, 기후학 | 1.2 | |
WNX | 교양 천문학, 우주 천체 및 별 가이드, 비전문가 대상 천문학 및 우주 가이드 등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PG* 천문학, 시공간 and its sub-categories, TTD 우주과학 | ||
WQ | 지역, 가족사, 향수 | ||
WQH | 지역사 특정 지역의 역사를 다룬 교양서가 여기에 해당. 가능하면 장소 1* 및 시기 3* 수식자 함께 사용할 것 | ||
WQN | 향수 일반 과거에 대한 호감, 무비판적 관점의 교양서가 여기에 해당. 필요한 경우 관련 주제를 나타내는 다른 코드 함께 사용할 것. 예를 들어 기차와 철도 일반 교양서일 경우 WQN 코드와 함께 WGF 코드 사용 | ||
WQP | 오래된 사진 속 장소 특정 장소와 관련된 예전 혹은 빛바랜 사진 모음집 등이 여기에 해당. 적절한 장소 1* 및 시기 3* 수식자 함께 사용할 것 See also: AJC 사진: 컬렉션 | ||
WQY | 가족사, 선조추적 See also: NHTG 계보, 문장, 이름 및 명예 | ||
WT | 여행, 휴가 WT* 코드와 함께 필요한 경우 구체적인 장소 수식자 1*과 함께 사용할 것 | ||
WTD | 여행팁 일반 | ||
WTH | 여행, 휴가 가이드 일반적인 여행 가이드, 방문해 보면 좋은 곳, 베스트 여행지에 관한 도서로 카테고리가 특정되지 않고 여행 가이드만 충실한 도서에 사용할 것. 적절한 장소 수식자 1*과 함께 사용하고 필요한 경우 흥미 수식자 5* 혹은 다른 연관 주제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예를 들어 특정 그룹(게이, 레즈비언)을 겨냥한 여행가이드일 경우 5PS 코드 함께 사용 See also: WJS 쇼핑가이드, WTM 장소와 사람: 일반 및 그림집 | 1.3 | |
WTHA | 여행가이드: 탐험여행 | ||
WTHB | 여행가이드: 출장 | ||
WTHC | 여행가이드: 에코여행 | ||
WTHD | 여행가이드: 맛집, 지역추천 와인생산지 등 지역 맛집 추천을 위한 여행가이드일 경우 여기에 해당. 장소 수식자 1*과 함께 사용할 것. 필요한 경우 음식 관련 지역에 대한 상세 정보를 나타내기 위해 다른 WB* 코드 함께 사용할 것 See also: WTHR 여행가이드: 식당, 카페, 퍼브, 바 | 1.2 | |
WTHE | 여행가이드: 야외활동여행 야회활동을 위한 여행 가이드가 여기에 해당되며, 구체적인 활동을 나타내는 SZ*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2 | |
WTHF | 여행가이드: 어린이동반, 가족휴가 | ||
WTHG | 여행가이드: 예산별 여행 | 1.3 | |
WTHH | 여행가이드: 호텔, 숙소가이드 여행 숙소 가이드, 특정 시설 추천에 사용할 것 | 1.3 | |
WTHH1 | 여행가이드: 이동주택캠핑장 가이드 | ||
WTHK | 여행가이드: 해변 및 해안가 지역 적절한 장소 수식자 1*과 함께 사용할 것 | 1.3 | |
WTHL | 여행가이드: 도시 특정 도시를 안내하는 도서에 사용할 것. 필요한 경우 적절한 장소수식자 1*과 함께 사용할 것 | 1.4 | |
WTHM | 여행가이드: 박물관, 역사적장소, 갤러리 등 유적지, 건물, 기념물, 문화적으로 중요한 장소, 역사적, 고고학적 장소 등에 대한 가이드가 여기에 해당 | 1.4 | |
WTHR | 여행가이드: 식당, 카페, 퍼브, 바 여관, 바, 퍼브, 음식 혹은 음료 위한 비스트로가 여기에 해당. 맛집 가이드, 특정 시설의 추천에 사용할 것 See also: WTHD 여행가이드: 맛집, 지역추천 | 1.3 | |
WTHT | 여행가이드: 테마파크, 유원지 | ||
WTHV | 여행가이드: 철도여행 여행자를 위한 철도 시간표, 철도지도, 기차여행, 철도여행 등이 여기에 해당 | 1.4 | |
WTHW | 여행가이드: 경로 및 방법 도보, 산책로, 사이클도로, 수로, 고속도로 등과 같은 장거리 경로 안내가 여기에 해당 | 1.3 | |
WTHX | 여행가이드: 크루즈 강/바다 크루즈가 여기에 해당. 적절한 장소 수식자 1*과 함께 사용할 것 | 1.3 | |
WTK | 여행용 회화 적절한 언어 수식자 2*와 함께 사용할 것 See also: CJBT 어학: 독학교재 | ||
WTL | 기행문 | ||
WTLC | 고전기행문 일반적으로 고전, 클래식으로 널리 인식되는 여행에세이(기행문)로 반드시 수십 년 동안 출간이 이어져 왔을 필요는 없음 | 1.4 | |
WTLP | 탐험: 교양도서 탐험 관련 교양도서가 여기에 해당 See also: RGR 지리적 발견 및 탐험 | ||
WTM | 장소와 사람: 일반 및 그림집 삽화가 삽입되거나 영감을 주는 여행서, 여행가이드라기 보다는 방문할 장소에 관한 도서 등이 여기에 해당. 가장 관련이 높은 장소를 지정하여 장소 수식자 1*과 함께 사용하고 혹은 해당 도서가 특정 주제와 관련이 있다면 관련 흥미 수식자 5* 혹은 적절한 다른 주제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See also: AJC 사진: 컬렉션 | 1.3 | |
WTR | 여행지도, 아틀라스 See also: RGX* 지리학 참고자료 and its sub-categories | ||
WTRD | 도로지도 | ||
WTRM | 여행지도 도로지도가 아닌 일반 여행용 접이식 지도 등이 여기에 해당 | ||
WTRS | 도로지도 및 도시계획 도시 등의 도로안내 지도 등이 여기에 해당 | ||
WZ | 문구 및 기타 아이템 메인주제어로 다른 주제어를 선택할 수 없는 성인용 문구류 및 비도서 아이템 등의 상품에는 WZ* 코드 사용할 것. 필요한 경우 다른 주제어 코드 함께 사용할 수 있으나 문구 및 비도서 아이템은 메인주제어가 반드시 WZ* 코드를 선택해야 함. 상품 유형은 메타데이터의 상품 유형 항목에서 선택하여 유통사에 전달되어야 함 | 1.4 | |
WZG | 선물용 책자 일반적으로 판형이 작고 장식적이고 유머스럽거나 영감을 주는 성격의 책으로 구매자가 선물 아이템으로 인식하는 상품에 사용할 것 See also: YZG 어린이용선물책자 | 1.4 | |
WZS | 문구 인쇄형태의 문구용품으로 일기장, 달력, 포스터, 키트, 엽서, 북마크 등이 여기에 해당. 가능하면 연관 주제를 나타내는 다른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
WZSJ | 주제가 있는 다이어리 및 노트북 작성하거나 메모할 내용에 영감을 주기 위해 미리 인쇄된 텍스트 또는 이미지가 있는 저널에 사용할 것. 적절한 주제를 나타내는 다른 주제어 코드를 부가적 주제어로 함께 사용할 것 | 1.4 | |
WZSN | 노트/메모 노트, 사인북, 기타 내용이 비어있는 문구용품이 여기에 해당 | 1.1 | |
X | 그래픽노블, 만화 X* 코드는 일반 성인, 청소년, 어린이 대상 도서에 사용. 최상위 대분류 코드인 X 코드 자체는 사용할 수 없으며, 하위에 속한 구체적 주제어 X* 코드 찾아 선택할 것. 어린이 및 청소년 대상 도서인 경우 흥미 수식자 5A* (대상연령)를 반드시 함께 사용할 것. 모든 X* 코드는 적절한 다른 주제어 혹은 수식자와 함께 사용할 것. 특히 장소 수식자 1*, 시기 수식자 3*, 흥미 수식자 5*와 함께 사용할 것 | 1.4 | |
XA | 그래픽노블, 만화: 유형 | ||
XAB | 유럽전통 그래픽노블 유럽전통 그래픽 소설은 보통 시리즈물이 아닌 일반 독자 대상의 단행본 형태로, 독특한 그래픽과 문학적인 문장이 사용되며 심각한 내용보다는 유머스러운 작품이 많음. 원작이 그랙픽소설인 경우가 여기에 해당되며 텍스트 위주 작품을 그래픽노블로 개작한 작품은 여기에 해당되지 않음 | ||
XAD | 유럽전통만화, 방드데시네 유럽전통적인 만화 혹은 방드데시네는 보통 주인공 중심의 연속 시리즈로 1권만 출간하는 일반 단행본 그래픽노블과 구분됨 | ||
XADC | 유럽만화: 일반, 고전, 모든연령 일반적으로 어린이나 성인이 읽고 즐길 수 있는 고전 만화책으로 클래식(고전)으로 널리 인식되며 반드시 수십 년 동안 지속적으로 출간이 이어져 올 필요는 없음 | 1.4 | |
XAK | 미국, 영국식 만화, 그래픽노블 미국, 영국 전통의 만화, 그래픽노블이 여기에 해당 | ||
XAKC | 미국만화: 고전, 황금시대 초기, 고전 캐릭터 황금시대 만화로 전 연령 대상 도서가 여기에 해당. 일반적으로 클래식(고전)으로 널리 인식되고 있으며 반드시 수십 년 동안 지속적으로 출간이 이어져 올 필요는 없음 | 1.4 | |
XAM | 일본만화, 아시아만화 XAM 코드는 일본망가, 한국만화, 중국만화를 비롯하여 다른 아시아 국가와 비아시아 국가의 만화가 포함되지만 국가별 구분이 아닌 만화 스타일에 따라 구분됨 | 1.4 | |
XAMC | 만화: 어린이 6-10세 대상의 어린이, 소년, 소녀 대상의 만화가 여기에 해당 | ||
XAMF | 만화: 소녀 10-15세 소녀 대상의 만화가 여기에 해당 | ||
XAMG | 만화: 소년 10-15세 소년 대상의 만화가 여기에 해당 | ||
XAML | 만화: 청년 보통 15세-30세 남성 대상의 만화에 사용할 것. 필요한 경우 수식자 5X와 함께 사용할 것 | 1.3 | |
XAMR | 만화: 여성 젊은 여성 대상의 만화가 여기에 해당 | ||
XAMT | 만화: BL 소년 간의 사랑(BL)을 다룬 만화가 여기에 해당. 보통 여성독자를 대상으로 하지만 반드시 대상 독자가 한정되지는 않으며 젊은 남성 동성애를 다루는 만화가 여기에 해당 See also: FYQ 소설 특징: 야오이/BL소설 | 1.4 | |
XAMV | 만화: ML 성인 남성 간 사랑(ML)을 다룬 만화가 여기에 해당. 남성의 동성애에 중점을 두는 만화로 보통 게이 남성 독자를 대상으로 게이에 의해 창작된 경우가 많음. 필요한 경우 흥미 수식자 5PSG 코드 및 5X 코드 함께 사용할 것 | 1.3 | 1.4 |
XAMX | 만화: 성인 (에로틱, 극단적폭력) 성인, 변태 만화가 여기에 해당. 과도한 성행위 장면이나 폭력이 묘사된 성인 대상의 만화로 필요한 경우 5X 수식자 함께 사용할 것 See also: XAMX2 만화: 변태 | 1.3 | |
XAMX2 | 만화: 변태 18세 이상 성인을 대상 극단적 에로틱 혹은 포르노 성격의 만화가 여기에 해당. 필요한 경우 5X 수식자 함께 사용할 것 See also: XAML 만화: 청년 | 1.3 | |
XAMY | 만화: 소녀간 사랑 소녀 간 사랑이 여기에 해당. 주로 젊음 여성독자를 대상으로 그러나 반드시 독자를 한정하지는 않으며, 여성간 동성애를 다룬 작품이 여기에 해당. 필요한 경우 흥미수식자 5PSL 코드 함께 사용할 것 | 1.2 | 1.4 |
XQ | 그래픽노블, 만화: 장르 | 1.4 | |
XQA | 그래픽노블, 만화: 회고록, 실화, 비소설 삶의 한 부분, 전기, 정치 여행 등이 여기에 해당, 필요한 경우 주제를 특정하기 위해 논픽션 주제 분야의 다른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4 | |
XQAY | 그래픽노블/코믹/만화: 교육용 콘텐츠가 주로 논픽션 주제로 대상 독자를 교육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화 혹은 그래픽 노블 형태로 출간된 도서에 사용할 것. 어린이/청소년용인 경우 YN* 코드와 함께 사용하고, 성인 대상 도서인 경우 관련 주제어를 찾아 함께 사용할 것. 장르를 표현하는 연관 XA*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4 | |
XQB | 그래픽노블, 만화: 번안 문학작품을 그래픽노블이나 만화 형태로 개작한 작품이 여기에 해당 | ||
XQC | 그래픽노블, 만화: 영화, TV 번안 기존의 비도서 미디어, 상품 (예: 인기 있는 영화 프랜차이즈, 온라인 게임 혹은 TV 시리즈를 기반으로 한 스토리북)에 대한 속편, 혹은 자매편으로 출간된 스토리가 여기에 해당. 나중에 영화로 제작된 경우는 여기에 사용하지 말 것 | 1.3 | |
XQD | 그래픽노블, 만화: 범죄, 미스터리, 스릴러 | ||
XQG | 그래픽노블, 만화: 액션, 모험 | ||
XQGW | 그래픽노블, 만화: 서부 | ||
XQH | 그래픽노블, 만화: 공포 | ||
XQK | 그래픽노블, 만화: 슈퍼히어로, 악당 | ||
XQL | 그래픽노블, 만화: SF | ||
XQM | 그래픽노블: 판타지, 비밀지식 미스터리, 비밀, 난해한 지식을 다룬 만화가 여기에 해당 | ||
XQN | 그래픽노블: 의인화 / 동물 이야기 | 1.3 | |
XQR | 그래픽노블, 만화: 로맨스 | ||
XQS | 그래픽노블, 만화: 학교 / 대학 생활 적절한 흥미 수식자 5L*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3 | |
XQT | 그래픽노블, 만화: 유머 | ||
XQV | 그래픽노블, 만화: 역사 | ||
XQX | 그래픽노블, 만화: 성인 과도하게 성인 대상의 장면을 묘사하는 코믹이나 성숙한 잠재 고객에게만 적절한 그래픽 주제를 다루는 도서가 여기에 해당. 필요한 경우 5X 수식자 함께 사용할 것 | 1.3 | |
XQXE | 그래픽노블, 만화: 성인 - 에로틱 과도하게 에로틱한 성격의 장면이 묘사되었거나 성숙한 잠재 고객에게만 적합한 성과 관련한 주제의 코믹이나 그래픽 노블에 사용할 것. 5X 수식자와 함께 적절한 다른 X* 수식자와 함께 사용할 것 | 1.3 | |
XQXV | 그래픽노블, 만화: 성인 - 극단적 폭력/선혈 과도하게 폭력적 혹은 유혈 장면을 묘사하거나 성숙한 잠재 독자에게만 적합한 충격적인 폭력 주제를 다룬 성인 대상의 코믹이나 그래픽 노블이 여기에 해당. 수식자 5X와 함께 사용할 것 | 1.3 | |
XR | 그래픽노블, 만화: 가이드 See also: DSR 문학 참고도서, FZ 소설 자매편 | ||
XRM | 만화 가이드 See also: DSR 문학 참고도서, FZ 소설 자매편 | ||
XY | 연재만화 보통 신문이나 잡지에 연재됐던 작품으로 패널 3-5명 정도의 작품을 컬렉션으로 모아 출간한 도서가 여기에 해당 | ||
Y | 어린이, 청소년, 학습 어린이 및 청소년 대상 모든 도서 (단, 그래픽 소설, 만화 제외)는 Y* 코드 사용할 것. 최상위 대분류 코드인 Y 코드 자체는 사용할 수 없으며, 하위에 속한 구체적인 주제어 찾아 Y* 코드 선택할 것. Y* 코드에는 적절한 연령 및 레벨을 표시하는 흥미 수식자 5A* 코드와 함께 사용하여 대상 연령에 대한 기본 가이드를 제공하고 구체적인 연령 표시는 메타데이터의 대상 연령 항목을 통해 표시할 것. YP* 코드는 반드시 교육관련 수식자 4*와 함께 사용해야 함. 기타 모든 다른 수식자는 필요한 경우 Y* 코드와 함께 사용할 수 없음. 주의할 사항은 주요 대상 독자가 성인이면서 청소년에게도 어필할 목적의 도서인 경우 Y* 코드 사용하지 말 것. 참고로, 이러한 대상 독자는 수식자 5LKE (20대 청년 독자) 활용할 것 | 1.4 | |
YB | 어린이: 그림책, 활동북, 영유아 학습 도서 형태(예를 들어 종이책 혹은 전자책)의 구분은 메타데이터의 도서 유형 구분 항목에서 표현하고 주제분류에서는 순수하게 콘텐츠와 관련된 사항만 주제어로 선택할 것. 모든 YB* 코드에는 적절한 연령을 수식자 5A* 코드를 사용하여 나타내되 해당 연령의 시작을 가이드로 제공할 것 | 1.4 | |
YBC | 유아, 어린이그림책 YBC* 코드는 그림만으로 혹은 그림과 단어를 결합하여 픽션이나 논픽션 주제를 전달하는 그림 위주의 도서에 사용할 것. 그림책은 단순히 ‘삽화’가 포함된 책이라는 의미가 아니며 텍스트도 있지만 ‘삽화’가 도서의 주요 구성요소인 도서를 의미함. 필요한 경우 YBC* 코드는 적절한 다른 Y*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예를 들어 그림책 형태의 위인전(다만 ‘삽화’가 이 책의 중요 요소여야 함)일 경우 YPCA21 코드와 함께 사용 할 것 | 1.4 | |
YBCB | 베이비도서 판형이 작고, 보드북, 헝겊책 등으로 텍스트가 거의 없는 도서. 스토리보다는 단어 위주의 텍스트가 삽입된 도서로 학습보다는 놀이에 가까운 도서가 여기에 해당. 인터렉티브(interactive) 요소가 포함된 베이비용 도서일 경우 YBG* 코드 함께 사용할 것 | 1.4 | |
YBCH | 그림책: 캐릭터북 TV나 영화 캐릭터 기반의 책으로 그림 위주의 캐릭터가 여러 권으로 출간되거나 다른 상품에 등장하는 캐릭터가 주를 이루는 책이 모두 여기에 해당 | ||
YBCS | 그림책: 스토리북 이야기 대부분 혹은 전체가 ‘삽화’를 통해 전달되고 텍스트가 ‘삽화’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어린이를 위한 그림책에 사용할 것. 스토리의 장르를 표현하기 위해 YF* 코드와 함께 사용할 수 있으며 YN* 혹은 YX* 코드를 함께 사용하여 스토리 주제를 보조적으로 표현할 수 있음. 일반적으로 YBCS 코드가 YF*, YN*, 혹은 YX* 코드와 함께 사용될 경우 반드시 기본 주제어 코드로 YBCS 코드를 선택하고 다른 코드는 부가적으로 추가해야 함. 만화나 코믹북 형태일 경우 이 코드보다는 X* 코드 사용을 권장함 | 1.4 | |
YBCS1 | 그림책: 잠자리그림책, 꿈 | 1.1 | |
YBCS2 | 그림책: 상상력과 놀이 상상력을 자극하는 그림책으로 예를 들어 상상의 세계를 만들거나 장난감과 함께 노는 책 등이 여기에 해당 | 1.1 | |
YBD | 어린이/청소년: 챕터북 주로 텍스트로 이루어져 있지만 여전히 ‘삽화’가 많이 포함된 어린이 동화책에 사용할 것. 일반적으로 비교적 짧은 길이와 플롯 구성이 복잡하지 않고 챕터가 짧은 것이 특징으로 그림책에서 일단 텍스트 위주 도서로 옮겨가는 독자를 대상으로 함. 관련된 YF* 코드를 선택하여 소설 장르를 나타내거나 YN*, YX* 코드를 보조적으로 사용하여 주제를 특정할 수 있음. 만일 형식이 만화 혹은 그래픽 노블 형태일 경우 이 코드보다는 X* 코드 사용 권장함 See also: YBCS 그림책: 스토리북 | 1.4 | |
YBG | 유아, 어린이 활동 놀이북, 패키지 모든 연령대 어린이/청소년 활동 및 인터렉티브형 도서에 사용 가능하며, 도서의 기본 목적이 독자의 참여나 쌍방항 반응에 있음. 예를 들어 스티커북, 터치앤필북 등이 여기에 해당. 필요한 경우 YBG* 코드는 다른 Y*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도서의 핵심이 쌍방향 활동보다는 메인 콘텐츠(스토리나 주제)에 있을 경우 이 코드는 메인 주제어로 사용하지 않을 것을 권장함. 즉 주제 등을 나타내는 다른 Y* 코드를 메인주제어로 선택하고 이 주제어 코드는 부수적(추가적)으로 사용할 것. 어린이책의 도서 유형(특히 노벨티북일 경우)은 주제분류가 아닌 다른 메타데이터 항목에서 상세하게 유통사에 전달할 수 있음 | 1.4 | |
YBGC | 어린이 활동북: 그리기, 컬러링, 색칠하기 컬러링북, 마술 그림책, 책과 그림그리기 세트, 손도장, 고무도장, 점 연결, 숫자로 색칠하기, 스텐실책, 핑거페인팅, 그림그리기 학습책 등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YNA 어린이, 청소년 교양: 예술, 예술가 | 1.2 | 1.4 |
YBGH | 어린이 활동북: 숨은물체찾기 매직아이, 3D북, 착시책, 빔멜북(Wimmelbooks)이 여기에 해당. 그림에서 아이템이나 캐릭터를 찾는 것이 목적이거나 찾을 수 있는 세부사항이 포함된 삽화가 있지만 반드시 이야기를 전달할 필요는 없음 See also: YNVP 어린이, 청소년 교양: 퍼즐 | 1.1 | 1.4 |
YBGS | 어린이 활동북: 종이접기 종이접기, 종이인형책(종이인형과 옷이 있어 함께 조합하여 놀이 가능), 잘라내거나 구멍을 뚫을 것이 있는 책, 디오라마, 종이를 접거나 종이 혹은 카드를 사용한 어린이용 놀이가 여기에 해당 | 1.4 | |
YBL | 유아: 학습 미취학 어린이 대상 도서만 YBL* 코드 사용할 것 | 1.1 | |
YBLA | 유아: 글자, 단어 ABC북, 알파벳북, 단어북 등이 여기에 해당 | 1.4 | |
YBLB | 유아: 단어놀이, 동시 어린이용 단어놀이, 동시 등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YDP 어린이, 청소년: 시 | 1.1 | |
YBLC | 유아: 숫자, 수세기 | 1.1 | |
YBLD | 유아: 색깔 | 1.1 | |
YBLF | 유아: 반대말 | 1.1 | |
YBLH | 유아: 크기, 모양, 패턴 | 1.1 | |
YBLJ | 유아: 시간, 계절 시간, 낮, 밤, 주, 계절 등에 대한 유아학습서가 여기에 해당 | 1.1 | |
YBLL | 유아: 자연, 동물 아기 동물이 여기에 해당 | 1.1 | 1.4 |
YBLM | 유아: 일상생활 영유아 대상으로 일상생활 습관 즉, 목욕과 세수, 식사, 식습관, 잠자기 및 일어나기, 옷입기, 배변훈련 등을 알려주는 책이 여기에 해당 | 1.1 | 1.4 |
YBLN | 유아: 첫경험 | 1.1 | |
YBLN1 | 유아: 신체 및 감각 소리와 소음, 촉감, 맛과 냄새, 손가락과 발가락, 미소와 웃음, 얼굴, 까꿍, 숨바꼭질 등이 여기에 해당 | 1.4 | |
YBLP | 유아: 고마운 사람들 | 1.1 | |
YBLQ | 유아: 가족 적절한 YXF*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3 | |
YBLT | 유아: 움직이는 것들 배, 비행기, 기차, 트럭, 자동차, 자전거, 버스, 기타 영유아 대상 움직이는 것이 여기에 해당 | 1.3 | |
YD | 어린이, 청소년: 시, 문집, 연감 모든 YD* 코드는 적절한 연령과 레벨 수식자 5A* 코드 함께 사용할 것 | 1.4 | |
YDA | 어린이, 청소년: 연감 어린이, 청소년 대상 연감이 여기에 해당. 매년 발행되는 자료로 보통은 날짜와 주제가 있는 도서에 사용할 것. 가능하면 메인 주제어로 YDA 코드 선택하고 보조적으로 주제를 상세하기 나타내는 다른 주제어 코드 추가적으로 사용할 것 | 1.4 | |
YDC | 어린이, 청소년: 문집 YDC 코드는 필요한 경우 문학형식을 나타내는 다른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예를 들어 소설문집은 YF* 코드를 함께 사용하고, 시선집은 YDP 코드를 함께 사용. 다만 여러 문학형식이 혼합된 문집일 경우는 YDC 코드만 사용할 것 | ||
YDP | 어린이, 청소년: 시 See also: YBLB 유아: 단어놀이, 동시, YFV 어린이, 청소년 소설: 시 형식의 이야기 | ||
YF | 어린이, 청소년: 소설, 실화 YF* 코드와 함께 반드시 연령을 나타내는 흥미 수식자 5A* 코드와 함께 사용하고 필요한 경우(다음의 수식자가 콘텐츠에서 중요하고 적절한 측면을 나타낼 경우) 장소 수식자 1*, 시기 수식자 3*, 기타 다른 흥미수식자 5*와 함께 사용할 것. 적절한 논픽션 주제어인 YN* 코드, 혹은 YX* 코드를 추가적으로 사용하여 서사테마를 표현할 수 있으며 주의할 점은 어린이/청소년 소설의 메인주제어는 반드시 YF* 코드여야 함. 만일 YF* 코드와 함께 흥미 수식자 5H*, 5J*, 5L*, 5P* 코드를 사용할 경우 해당 수식자는 콘텐츠의 핵심 주제이거나 서사 전달의 일부로 사용될 수 있음. 청소년 대상일 경우 해당 사항이 있으면 수식자 5X 코드(폭력적, 성적인 내용 포함) 함께 사용할 것. 어린이/청소년 소설이 그림책 혹은 챕터북인 경우 YB* 코드와 함께 사용할 수 있으며, 문집인 경우 YDC 코드와 함께, 소설의 특별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YFZ* 코드와 함께 사용할 수 있음. 만화인 경우는 X* 코드 사용 권장 See also: XADC 유럽만화: 일반, 고전, 모든연령, XAKC 미국만화: 고전, 황금시대, XAMC 만화: 어린이, XAMF 만화: 소녀, XAMG 만화: 소년 | 1.4 | |
YFA | 어린이, 청소년 소설: 고전소설 일반적으로 고전, 클래식으로 널리 인식되는 어린이, 청소년 소설 작품으로 반드시 수십 년 동안 출간이 이어져 왔을 필요는 없음 | 1.4 | |
YFB | 어린이, 청소년 소설: 일반 모든 어린이, 청소년 대상 현대소설 (비장르)이 여기에 해당 | ||
YFC | 어린이, 청소년 소설: 액션, 모험 | 1.1 | |
YFCA | 어린이, 청소년 소설: 쌍방향 모험 이야기 종이책, 전자책 모두 해당되며 독자가 스토리 과정을 선택하여 결말을 바꿀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가능하면 장르를 특정하는 다른 YF* 코드 다음에 사용할 것 | ||
YFCB | 어린이, 청소년 소설: 스릴러 | ||
YFCF | 어린이, 청소년 소설: 범죄, 미스터리 | ||
YFCW | 어린이, 청소년 소설: 군대, 전쟁 | 1.1 | |
YFD | 어린이, 청소년 소설: 공포, 유령 See also: YNXW 어린이, 청소년 교양: 마녀, 마법사, 마술사 | ||
YFE | 어린이, 청소년 소설: 사변소설, 디스토피아, 유토피아 디스토피아, 유토피아 배경의 소설, 대체역사소설 등이 여기에 해당. 가능하면 YFG 코드와 함께 사용하거나 가능하면 다른 YF* 코드 함께 사용할 것 | 1.1 | |
YFG | 어린이, 청소년 소설: SF | ||
YFGS | 어린이, 청소년 소설: 스팀펑크 | 1.2 | |
YFH | 어린이, 청소년 소설: 판타지 | 1.3 | |
YFHD | 어린이, 청소년 소설: 마법왕국 | 1.3 | |
YFHR | 어린이, 청소년 소설: 판타지로맨스 뱀파이어로맨스, 파라노말로맨스 등이 여기에 해당. 전형적인 로맨스 혹은 다양한 로맨스 요소를 사용한 판타지 스토리로 핵심이 판타지일 경우 여기에 해당. 필요한 경우 5X 코드 함께 사용할 것. 혹은 적절한 흥미 수식자 5A* 코드 사용할 것 | 1.4 | |
YFJ | 어린이, 청소년 소설: 클래식, 신화, 전설 이야기 형식으로 된 신화, 전설, 민속, 동화, 우화가 여기에 해당. 어린이/청소년 대상으로 전통적인 이야기를 현대에 재해석한 이야기 형태 혹은 컬렉션이 여기에 해당 | 1.3 | |
YFK | 어린이, 청소년 소설: 종교 | ||
YFM | 어린이, 청소년 소설: 로맨스, 사랑, 우정 등 인간관계 이야기 타인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든 종류의 소설에 사용할 것. 필요한 경우 관계의 종류를 특정하는 YX* 코드 함께 사용할 것. 예를 들어 우정에 관한 이야기일 경우 YZHB 코드를, 로맨스나 사랑에 관한 이야기인 경우 YXHL 코드를, 또래 집단의 관계를 다루는 소설인 경우 YXH 코드를 함께 사용할 것 See also: YXHB 어린이, 청소년 개인, 사회문제: 친구, 우정 | 1.4 | |
YFN | 어린이, 청소년 소설: 가족, 집이야기 가족문제를 다룬 소설에는 YXF*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1 | |
YFP | 어린이, 청소년 소설: 자연, 동물이야기 동물 혹은 자연에 관한 이야기는 YNN*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예를 들어 말 이야기는 YNNJ24 코드를, 개에 관한 이야기일 경우 YNN21 코드 함께 사용 | 1.4 | |
YFQ | 어린이, 청소년 소설: 유머 필요한 경우 장르를 가리키는 다른 YF*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
YFR | 어린이, 청소년 소설: 스포츠이야기 | ||
YFS | 어린이, 청소년 소설: 학교이야기 학교로 돌아가기, 새로운 학교 등교, 학교생활, 주로 학교 안팎에서 일어나는 이야기 등이 여기에 해당. 필요한 경우 학년을 가리키는 적절한 흥미 수식자 5L*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4 | |
YFT | 어린이, 청소년 소설: 역사소설 소설 속 배경이 보통 작가 생존 이전 시기로 시대적 배경이 이야기의 중요한 혹은 필수적인 부분이며 그 시대에 대한 사실적 묘사와 함께 시대 정신, 태도, 사회적 상황을 다룬 작품이 여기에 해당. 적절한 다른 YF*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적절한 작품 속 배경 장소 1* 및 시기 3* 수식자 함께 사용할 것 | 1.3 | |
YFU | 어린이, 청소년 소설: 단편 필요한 경우 장르를 가리키는 다른 YF* 코드 다음에 사용할 것 | ||
YFV | 어린이, 청소년 소설: 시 형식의 이야기 필요한 경우 장르를 가리키는 다른 YF* 코드 다음에 사용할 것 See also: YDP 어린이, 청소년: 시 | 1.1 | |
YFX | 어린이, 청소년 소설: 인물 실존 인물의 전기 혹은 자서전에 허구적인 이야기가 많이 반영된 소설이 여기에 해당 | 1.1 | |
YFY | 어린이, 청소년: 실화 생존, 발견, 투쟁 등의 실화를 소설처럼 서사 형식으로 쓴 모든 종류의 이야기가 여기에 해당 | ||
YFZ | 어린이, 청소년 소설: 특별판 및 연관 아이템 | 1.3 | |
YFZR | 어린이, 청소년 카테고리 소설 보통 매월 발행되고 회차 번호가 있으며 짧고 명확하게 묘사된 카테고리 라인이 있음. 장르 혹은 유형을 가리키는 다른 YF*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YFZR 코드는 메인주제어로 사용할 수 없음 | 1.3 | 1.4 |
YFZS | 어린이/청소년 소설: 라이트 노벨 어린이 단편 소설로 보통 대화나 캐릭터가 스토리를 이끌어가며 만화나 애니메이션 혹은 이와 유사한 스타일의 삽화가 수반됨. 장르를 가리키는 다른 YF*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4 | |
YFZT | 어린이/청소년 소설: 번역서 다른 언어로 번역된 소설에 사용할 것. YF* 코드를 사용한 주제어 코드 사용에 추가하여 작품 자체가 번역되었다는 의미를 주기 위해 사용. 주의할 것은 원서의 언어를 표현할 목적으로 장소 수식자 1*과 언어 수식자 2* 코드를 사용하지 말 것. 이 책의 최초 출간국 혹은 원서의 언어는 메타데이터의 본문언어 중 원서의 본문언어를 통해 유통사에 전달되어야 함. 소설에서 장소 수식자 1*은 소설에 등장하는 주요 배경을 표현할 때 사용함. 주의할 점은 YFZT 코드는 메인 주제어로 사용할 수 없음 | 1.4 | |
YFZV | 어린이, 청소년 소설: 영감 혹은 각색 소설 인기 영화, 장난감, 온라인 게임, TV 시리즈에 기반한 기존 비도서 미디어 혹은 머천다이즈의 파생작(스핀오프) 혹은 자매작으로 출간된 이야기가 여기에 해당. 이야기의 장르 혹은 유형을 가리키는 다른 YF*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영화로 만들어진 소설(소설이 먼저 출간)에는 사용하지 말 것. YFZV 코드는 메인 주제어로 사용하지 말 것 | 1.3 | |
YFZZ | 어린이, 청소년 소설: 자매편 인기 있는 어린이 혹은 청소년 소설 작품 혹은 시리즈의 자매품이 여기에 해당. 전형적으로 작품에 등장하는 신화적 세계를 나타낸 지도, 주요 등장인물 해설서, 시리즈 가이드 등 무비판적인 작품이 여기에 해당. 적절한 다른 Y* 코드나 다른 연관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3 | |
YN | 어린이, 청소년: 교양일반 다른 주제영역에 속하지 않고 학교 교육용이 아닌 모든 어린이, 청소년 논픽션에 YN* 코드 사용할 것. 모든 YN* 코드는 흥미수식자 5A* 코드와 함께 사용하고 필요한 경우 특정 주제를 나타내기 위해 YF* 코드 함께 사용할 수 있음 | 1.4 | |
YNA | 어린이, 청소년 교양: 예술, 예술가 적절한 스타일 수식자 6*과 함께 사용할 것 | 1.1 | |
YNB | 어린이, 청소년 교양: 전기, 자서전 영웅이나 영감을 주는 사람에 관한 개별 위인전 혹은 여러 사람의 위인전이 수록된 도서에 사용할 것 | 1.1 | 1.4 |
YNC | 어린이, 청소년 교양: 음악, 어린이동요집 적절한 스타일 수식자 6*과 함께 사용할 것 | 1.1 | |
YNCS | 어린이 동요집 | 1.2 | |
YND | 어린이, 청소년 교양: 드라마, 공연 | 1.1 | |
YNDB | 어린이, 청소년 교양: 무용, 발레 | 1.1 | |
YNDS | 어린이, 청소년 교양: 연극대본 | 1.1 | |
YNF | 어린이, 청소년 교양: TV, 비디오 및 영화 영화, TV, 시리즈 등 제작과 관련한 도서가 여기에 해당 | 1.3 | |
YNG | 어린이, 청소년 교양: 일반지식, 상식 | 1.3 | |
YNGL | 어린이, 청소년 교양: 정보 자원 도서관, 박물관, 학교 등이 여기에 해당. 박물관, 갤러리, 도서관, 기타 문화센터에 관한 정보성 도서 및 관련 콘텐츠에 사용할 것 | 1.3 | |
YNH | 어린이, 청소년 교양: 역사, 과거 적절한 장소 1* 및 시기 3* 수식자와 함께 사용할 것. 과거의 특정 인물에 대한 전기는 YNB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See also: YNB 어린이, 청소년 교양: 전기, 자서전 | 1.3 | |
YNHA | 어린이, 청소년 교양: 모험, 악당 보물찾기가 여기에 해당 See also: YNB 어린이, 청소년 교양: 전기, 자서전 | 1.1 | 1.3 |
YNHA1 | 어린이, 청소년 교양: 해적 | 1.3 | |
YNHD | 어린이, 청소년 교양: 발견, 탐험 탐험가, 여행가, 원정대, 다른 대륙 및 최초 다른 대륙 사람과의 접촉, 내륙 및 해양 탐험 등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YNB 어린이, 청소년 교양: 전기, 자서전 | 1.1 | 1.3 |
YNHP | 어린이, 청소년 교양: 과거의 어린이생활 적절한 기간 1* 및 시기 3* 수식자와 함께 사용할 것 | 1.1 | 1.3 |
YNJ | 어린이, 청소년 교양: 전투, 군대 적절한 기간 1* 및 시기 3* 수식자와 함께 사용할 것 See also: YXZW 어린이, 청소년 사회문제: 전쟁, 물리적충돌 | 1.3 | |
YNJC | 어린이, 청소년 교양: 성 및 기사 중세전쟁이 여기에 해당 | 1.3 | |
YNK | 어린이, 청소년 교양: 일과 사회 비즈니스, 직업의 세계, 특정 직업, 일상, 매일 일어나는 일들이 여기에 해당 | 1.4 | |
YNKA | 어린이, 청소년 교양: 정치 정치, 정치활동, 정치기관, 정부, 인권 등과 관련한 도서에 사용할 것. 정치인에 관한 책일 경우 적절한 YNB 및 YNH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1 | 1.4 |
YNKC | 어린이, 청소년 교양: 법, 경찰, 범죄 | 1.1 | |
YNL | 어린이, 청소년 교양: 문학, 작가 | 1.1 | |
YNM | 어린이, 청소년 교양: 장소와 사람 적절한 장소 수식자 1*과 함께 사용할 것 | 1.3 | |
YNMC | 어린이, 청소년 교양: 국가, 문화, 민족성 국가상징, 기념비, 전통의상, 깃발 등이 여기에 해당. 적절한 장소 수식자 1*과 함께 사용할 것 | 1.1 | 1.3 |
YNMD | 어린이, 청소년 교양: 기념일, 공휴일, 축제 및 특별한 행사 적절한 흥미 수식자 5H* 코드와 함께 사용하고 필요할 경우 YNR* 코드도 함께 사용할 것 See also: YNR* 어린이, 청소년 교양: 철학, 종교와 믿음 and its sub-categories, 5H* 공휴일, 행사 및 시즌 관심사 and its sub-categories | 1.3 | |
YNMF | 어린이, 청소년 교양: 소녀, 여성 소녀 혹은 여성이 도서의 핵심주제일 경우 여기에 해당 | 1.1 | |
YNMH | 어린이, 청소년 교양: 소년, 남성 소년 혹은 남성이 도서의 핵심주제일 경우 여기에 해당 | 1.1 | |
YNMK | 어린이, 청소년 교양: 도시생활 교외, 도심, 스몰타운, 도시 및 교외생활 등이 여기에 해당. 도시 환경에서의 생활에 관한 도서 혹은 특정 도시나 마을에 관한 도서에 사용할 것. 필요한 경우 특정 도시(특히 관련 도시 이름이 장소 수식자 1*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를 가리키는 장소 수식자 1*과 함께 사용할 것 | 1.1 | 1.4 |
YNML | 어린이, 청소년 교양: 시골, 농장생활 | 1.1 | |
YNMW | 어린이, 청소년 교양: 여왕, 왕, 왕자, 공주 등 왕족 혹은 왕족 인물에 관한 도서가 여기에 해당 | 1.1 | 1.3 |
YNN | 어린이, 청소년 교양: 자연, 동물, 자연계 | 1.1 | |
YNNA | 어린이, 청소년 교양: 공룡, 선사시대 | 1.1 | |
YNNB | 어린이, 청소년 교양: 야생동물과 서식지 See also: YXZG 어린이, 청소년 사회문제: 환경문제 | 1.1 | |
YNNB1 | 어린이, 청소년 교양: 야생동물과 서식지: 바다 해변, 해안 등이 여기에 해당 | 1.1 | 1.4 |
YNNB2 | 어린이, 청소년 교양: 야생동물과 서식지: 밀림, 열대우림 우림지역이 여기에 해당 | 1.1 | |
YNNB3 | 어린이, 청소년 교양: 야생동물과 서식지: 사막 | 1.1 | |
YNNB9 | 어린이, 청소년 교양: 야생동물과 서식지: 얼음, 눈, 툰드라 북극지역, 고산지대 서식지 등이 여기에 해당 | 1.1 | |
YNNC | 어린이, 청소년 교양: 생태계 전체 생태계에 관한 도서가 여기에 해당 See also: YXZG 어린이, 청소년 사회문제: 환경문제 | 1.1 | |
YNNF | 어린이, 청소년 교양: 농장동물 여러 종류의 농장 동물을 다루는 일반 도서이거나 해당 농장 동물에 관한 주제어가 없는 경우 여기에 해당 | 1.3 | |
YNNH | 어린이, 청소년 교양: 애완동물, 돌보기 | 1.1 | |
YNNH1 | 어린이, 청소년 교양: 애완동물, 돌보기/ 개 See also: YNNJ21 어린이, 청소년 교양: 개, 늑대 | 1.1 | |
YNNH2 | 어린이, 청소년 교양: 애완동물, 돌보기: 고양이 See also: YNNJ22 어린이, 청소년 교양: 고양이 (대형 고양이과 동물 포함) | 1.1 | |
YNNH3 | 어린이, 청소년 교양: 애완동물, 돌보기: 토끼, 설치류 애완용 쥐, 햄스터, 기니피그, 게르빌루스쥐 등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YNNJ31 어린이, 청소년 교양: 설치류, 토끼 | 1.3 | |
YNNH4 | 어린이, 청소년 교양: 애완동물, 돌보기: 말, 조랑말 | 1.1 | |
YNNH5 | 어린이, 청소년 교양: 애완동물, 돌보기: 새 애완용 앵무새, 카나리아, 작은 앵무새 등이 여기에 해당 | 1.3 | |
YNNJ | 어린이, 청소년 교양: 포유류 | 1.1 | |
YNNJ1 | 어린이, 청소년 교양: 담수 및 해양수생동물 주로 물 속에서 생활하는 포유류가 여기에 해당 See also: YNNS 어린이, 청소년 교양: 물고기와 해양생활 | 1.1 | 1.3 |
YNNJ14 | 어린이, 청소년 교양: 고래, 돌고래 물 속에서만 생활하는 포유류가 여기에 해당 | 1.3 | |
YNNJ2 | 어린이, 청소년 교양: 육지포유류 낙타, 코끼리, 기린, 코뿔소, 사슴 등이 여기에 해당. 해당하는 주제어가 없는 대형 포유류가 여기에 해당 | 1.1 | 1.3 |
YNNJ21 | 어린이, 청소년 교양: 개, 늑대 하이에나, 여우 등이 여기에 해당. 애완용이 아닌 모든 종류의 개, 늑대과 동물에 관한 도서에 사용할 것 See also: YNNH1 어린이, 청소년 교양: 애완동물, 돌보기/ 개 | 1.1 | 1.3 |
YNNJ22 | 어린이, 청소년 교양: 고양이 (대형 고양이과 동물 포함) 사자, 호랑이 등이 여기에 해당. 애완용이 아닌 모든 종류의 고양잇과 동물에 관한 도서에 사용할 것 See also: YNNH2 어린이, 청소년 교양: 애완동물, 돌보기: 고양이 | 1.1 | 1.3 |
YNNJ23 | 어린이, 청소년 교양: 곰 자이언트판다가 여기에 해당 | 1.1 | 1.3 |
YNNJ24 | 어린이, 청소년 교양: 말, 조랑말 당나귀, 나귀, 얼룩말이 여기에 해당. 말에 관한 소설이나 동화인 경우 YF*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1 | 1.4 |
YNNJ25 | 어린이, 청소년 교양: 소 물소, 들소, 야크가 여기에 해당 | 1.1 | 1.3 |
YNNJ26 | 어린이, 청소년 교양: 돼지, 수퇘지 | 1.3 | |
YNNJ27 | 어린이, 청소년 교양: 양, 염소 | 1.3 | |
YNNJ29 | 어린이, 청소년 교양: 유인원, 원숭이, 여우원숭이 고릴라, 침팬지, 오랑우탄, 긴팔원숭이 등이 여기에 해당 | 1.1 | 1.3 |
YNNJ3 | 어린이, 청소년 교양: 육지작은포유류 박쥐, 고슴도치, 너구리 등이 여기에 해당. 해당 주제어가 없는 작은 포유동물 혹은 일반적인 내용을 다룬 도서에 사용할 것 | 1.1 | 1.3 |
YNNJ31 | 어린이, 청소년 교양: 설치류, 토끼 애용용이 아닌 쥐, 다람쥐, 토끼, 고슴도치, 카피바라 등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YNNH3 어린이, 청소년 교양: 애완동물, 돌보기: 토끼, 설치류 | 1.1 | 1.3 |
YNNJ9 | 어린이, 청소년 교양: 유대목동물, 오리너구리, 바늘두더지 캥거루, 코알라, 주머니쥐, 웜뱃, 왈라비 등이 여기에 해당 | 1.1 | 1.3 |
YNNK | 어린이, 청소년 교양: 새 | 1.1 | |
YNNL | 어린이, 청소년 교양: 곤충, 거미, 벌레 | 1.1 | |
YNNM | 어린이, 청소년 교양: 파충류, 양서류 애완용이 아닌 뱀, 도마뱀, 영원, 테라핀, 거북이, 개구리, 두꺼비 등이 여기에 해당 | 1.1 | 1.3 |
YNNS | 어린이, 청소년 교양: 물고기와 해양생활 See also: YNNJ1 어린이, 청소년 교양: 담수 및 해양수생동물 | 1.1 | 1.3 |
YNNT | 어린이, 청소년 교양: 식물과 나무 | 1.1 | |
YNNV | 어린이, 청소년 교양: 암석, 날씨, 물리적세계 암석, 화석, 광물, 화산, 지진, 지질학, 대기, 날씨체계, 폭풍, 토네이도 등이 여기에 해당 | 1.1 | |
YNNZ | 어린이, 청소년 교양: 우주, 별, 태양계 별자리가이드, 우주탐험, 행성 등이 여기에 해당 | 1.1 | |
YNP | 어린이, 청소년 교양: 실용서 만들거나 실행하는 것들에 대한 실용적인 일반 도서에 사용할 것 See also: YNT 어린이, 청소년 교양: 과학과 기술, YPAK 학습서: 수공예 | 1.4 | |
YNPC | 어린이, 청소년 교양: 요리와 식품 영양섭취, 균형식사, 과일과 채소, 요리 및 레시피 등이 여기에 해당 | 1.4 | |
YNPG | 어린이, 청소년 교양: 원예 식물, 꽃, 허브, 채소 재배가 여기에 해당 | 1.2 | 1.4 |
YNPH | 어린이, 청소년 교양: 수공예 | 1.1 | |
YNPH1 | 어린이, 청소년 교양: 목공예, 모형제작 | 1.1 | |
YNPH2 | 어린이, 청소년 교양: 바느질, 직물공예 | 1.1 | |
YNPJ | 어린이, 청소년 교양: 의상과 패션 | 1.1 | |
YNPK | 어린이, 청소년 교양: 돈 | 1.1 | |
YNQ | 어린이, 청소년: 청년 클럽, 사회, 단체 및 조직 스카우트, 가이드 기타 이와 유사한 청소년 단체가 여기에 해당 | 1.3 | |
YNR | 어린이, 청소년 교양: 철학, 종교와 믿음 사상 학파, 신념 체계, 영적 전통, 종교적 전통과 관련한 이야기에 관한 도서에 YNR* 코드 사용할 것. 필요한 경우 다른 Y* 코드 및 흥미수식자 5PG* 코드 함께 사용할 것 See also: YPJN* 학습서: 종교 and its sub-categories, YXZR 어린이, 청소년 사회문제: 종교 | 1.4 | |
YNRA | 어린이, 청소년 교양: 철학 철학 전통과 사상 학파가 여기에 해당 | 1.4 | |
YNRD | 어린이, 청소년 교양: 힌두교 See also: YPJN1 학습서: 종교: 힌두교 | 1.1 | |
YNRF | 어린이, 청소년 교양: 불교 See also: YPJN2 학습서: 종교: 불교 | 1.1 | |
YNRJ | 어린이, 청소년 교양: 유대교 See also: YPJN3 학습서: 종교: 유대교 | 1.1 | |
YNRM | 어린이, 청소년 교양: 기독교 어린이를 위한 성경과 성경 이야기가 여기에 해당 See also: YPJN4 학습서: 종교: 기독교 | 1.4 | |
YNRP | 어린이, 청소년 교양: 이슬람 See also: YPJN5 학습서: 종교: 이슬람교 | 1.1 | |
YNRR | 어린이, 청소년 교양: 기타종교 및 영적 전통 해당하는 주제어 코드가 없는 생활 종교와 관습, 이야기, 의식 및 신념 체계에 관한 도서에 사용할 것. QR* 코드를 사용하여 상세 주제를 표현하고 필요한 경우 적절한 장소 수식자 1*과 함께 사용할 것 See also: YPJN9 학습서: 종교: 기타종교 | 1.4 | |
YNRU | 어린이, 청소년 교양: 고대종교, 신화 및 전설 그리스, 북유럽, 로마, 이집트, 켈트족, 아즈텍, 아프리카, 아시아, 미국, 중동 등 모든 종류의 전통 신화나 전설에 관한 도서에 사용할 것. 만일 해당 도서가 원문이나 전통의 재해석, 신화에 기반한 소설인 경우 YFJ 코드와 함께 사용하고 특정 전통을 가리키기 위해 장소 수식자 1*, 언어 수식자 2*, 흥미 수식자 5*와 함께 사용할 것 See also: YFJ 어린이, 청소년 소설: 클래식, 신화, 전설, YNXB 어린이, 청소년 교양: 초자연적, 신화적존재 | 1.2 | 1.4 |
YNRX | 어린이, 청소년 교양: 종교경전, 기도문, 예배자료 어린이 버전으로 만든 경전, 어린이를 위한 모든 종교예배자료 등이 여기에 해당. 연관 종료를 나타내는 다른 YNR* 코드와 함께 사용하고 필요한 경우 5PG*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4 | |
YNT | 어린이, 청소년 교양: 과학과 기술 프로젝트 아이디어, 실험 등 과학에 관한 일반 도서에 사용할 것 | 1.3 | |
YNTA | 어린이, 청소년 교양: 과학과 인체 일반 과학교양서 수준의 어린이/청소년 도서가 여기에 해당 See also: YXA* 어린이, 청소년 개인, 사회문제: 신체, 건강 and its sub-categories | 1.1 | |
YNTC | 어린이, 청소년 교양: 컴퓨터와 IT 인공지능, 가상, 증강현실, 로봇 공학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YNVU 어린이, 청소년 교양: 컴퓨터 및 비디오게임 가이드 | 1.2 | 1.4 |
YNTC1 | 어린이, 청소년 교양: 프로그래밍 및 스크립트 언어 어린이를 위한 코딩이 여기에 해당 | 1.3 | |
YNTC2 | 어린이, 청소년 교양: 소셜미디어 인플루엔서, 블로거, 동영상 블로거(vloggers)가 여기에 해당 | 1.3 | 1.4 |
YNTD | 어린이, 청소년 교양: 발명가, 발명, 실험 | 1.1 | |
YNTG | 어린이, 청소년 교양: 기계와 작동원리 | 1.1 | |
YNTM | 어린이, 청소년 교양: 수학과 숫자 수학 및 숫자에 관한 비교육용 도서가 여기에 해당 | 1.3 | |
YNTP | 어린이, 청소년 교양: 건물과 건축 | 1.1 | |
YNTR | 어린이, 청소년 교양: 수송수단 | 1.1 | |
YNTT | 어린이, 청소년 교양: 시간여행 적절한 YF*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3 | |
YNU | 어린이, 청소년 교양: 유머 | 1.1 | |
YNUC | 어린이, 청소년 교양: 만화 어린이 혹은 청소년 대상의 유머스러운 연재만화. 어린이/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모든 그래픽 소설, 유럽 또는 미국 스타일 코믹북, 만화 등은 이 코드보다는 X* 사용을 권장하며, 필요한 경우 적절한 흥미 수식자 5A* 코드를 함께 사용할 것 See also: X* 그래픽노블, 만화 and its sub-categories | 1.4 | |
YNV | 어린이, 청소년 교양: 취미, 퀴즈, 장난감, 게임 | 1.1 | |
YNVD | 어린이, 청소년 교양: 장난감 YNVD* 코드는 장난감 혹은 장난감의 특성을 다루는 책이 여기에 해당. 필요한 경우 YB*, YF*, YNP* 코드 함께 사용할 것 | 1.1 | 1.4 |
YNVD1 | 어린이, 청소년 교양: 인형, 모형장난감 및 유사한 장난감 꼭두각시 인형, 액션 피규어, 장난감 군인 등이 여기에 해당. 필요한 경우 YB*, YF*, YNP* 코드 사용할 것 | 1.3 | |
YNVD2 | 어린이, 청소년 교양: 봉제완구 테디베어가 여기에 해당. 필요한 경우 YB*, YF*, YNP*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3 | |
YNVD3 | 어린이, 청소년 교양: 집짓기 블록 및 건축 장난감 필요한 경우 YB*, YF*, YNP*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3 | |
YNVM | 어린이, 청소년 교양: 게임 실내게임, 파티게임, 보드게임, 카드게임, 교육게임, 전통게임, 기회게임, 스킬게임, 액션 및 반사게임, 전략게임, 롤플레잉 게임, 주사위 게임, 체스 등이 여기에 해당 | 1.4 | |
YNVP | 어린이, 청소년 교양: 퍼즐 숫자 및 단어게임, 스도쿠, 십자말 풀이, 단어찾기, 메이즈, 수수께끼, 여행퍼즐, 기억 및 논리 퍼즐, 빠진 조각 찾기, 직소 퍼즐이 여기에 해당. 무엇인가를 해결하거나 답변해야 할 질문이 있는 도서에 사용할 것 See also: YBGH 어린이 활동북: 숨은물체찾기 | 1.4 | |
YNVU | 어린이, 청소년 교양: 컴퓨터 및 비디오게임 가이드 게임플레이 가이드가 여기에 해당 | 1.3 | |
YNW | 어린이, 청소년 교양: 스포츠, 야외오락활동 스포츠 이벤트, 야외 게임 및 활동이 여기에 해당. 적절한 YNW*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4 | |
YNWD | 어린이, 청소년 교양: 구기종목 하위 주제어에 열거되지 않은 모든 구기종목이 여기에 해당. 구기종목을 특정하고자 하나 YNWD* 코드에는 해당 주제어가 없는 경우에 한해 SF*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4 | |
YNWD1 | 어린이, 청소년 교양: 구기종목: 축구 | 1.1 | 1.2 |
YNWD2 | 어린이, 청소년 교양: 구기종목: 미식축구 | 1.1 | 1.2 |
YNWD3 | 어린이, 청소년 교양: 구기종목: 야구 | 1.1 | |
YNWD4 | 어린이, 청소년 교양: 구기종목: 농구 | 1.1 | |
YNWD5 | 어린이, 청소년 교양: 구기종목: 크리켓 | 1.4 | |
YNWD6 | 어린이, 청소년 교양: 구기종목: 배구 | 1.2 | |
YNWD7 | 어린이, 청소년 교양: 구기종목: 럭비 | 1.4 | |
YNWD8 | 어린이, 청소년 교양: 구기종목: 핸드볼 | 1.1 | |
YNWG | 어린이, 청소년 교양: 육상, 체조 | 1.1 | |
YNWM | 어린이, 청소년 교양: 겨울스포츠 | 1.3 | |
YNWM1 | 어린이, 청소년 교양: 겨울스포츠: 스키 스노우보드가 여기에 해당 | 1.2 | 1.4 |
YNWM2 | 어린이, 청소년 교양: 겨울스포츠: 아이스하키 | 1.2 | |
YNWW | 어린이, 청소년 교양: 수영, 수상스포츠 | 1.1 | |
YNWY | 어린이, 청소년 교양: 사이클링, 롤러스케이트 및 스케이트보드 타기 | 1.3 | |
YNWZ | 어린이, 청소년 교양: 스포츠팀, 클럽 연관 스포츠 나타내는 다른 YNW*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1 | |
YNX | 어린이, 청소년 교양: 미스터리, 불가사의 | 1.1 | |
YNXB | 어린이, 청소년 교양: 초자연적, 신화적존재 괴물, 전설 속 존재가 여기에 해당. 만일 이러한 생명체에 대한 스토리(픽션)인 경우 모든 YNXB* 코드는 소설 주제어인 YF* 코드와 함께 사용해야 함 | 1.4 | |
YNXB1 | 어린이, 청소년 교양: 용 | 1.3 | |
YNXB2 | 어린이, 청소년 교양: 뱀파이어, 늑대인간 및 변신하는 존재 | 1.3 | |
YNXB3 | 어린이, 청소년 교양: 좀비, 유령 및 언데드 미라, 해골, 악귀, 폴터가이스트 등이 여기에 해당 | 1.3 | |
YNXB4 | 어린이, 청소년 교양: 요정 등 | 1.3 | |
YNXB5 | 어린이, 청소년 교양: 유니콘 | 1.4 | |
YNXB6 | 어린이, 청소년 교양: 인어 및 유사 존재 | 1.4 | |
YNXF | 어린이, 청소년 교양: UFO, 외계인 외계인이 여기에 해당 | 1.3 | |
YNXW | 어린이, 청소년 교양: 마녀, 마법사, 마술사 See also: YFD 어린이, 청소년 소설: 공포, 유령 | 1.3 | |
YP | 학습서 유치, 초등, 중고등 대상 교과서, 참고서, 문제집, 시험대비 수험서, 개정 안내 등에 관한 도서에 YP* 코드 사용할 것. 만일 대학 이상의 전문 교육 도서, 직업 교육이나 인턴십 등에 관한 도서일 경우 Y* 코드 대신 다른 성인 일반 해당 주제어 선택이 바람직함. 모든 YP* 코드는 최소한 1개 이상의 교육관련 수식자 4*와 함께 사용해야 함 See also: JNU 과목 교수법, JNUM 수업자료 | 1.4 | |
YPA | 학습서: 예술 일반 필요한 경우 적절한 스타일 수식자 6*과 함께 사용할 것 | ||
YPAB | 학습서: 예술, 디자인 필요한 경우 적절한 스타일 수식자 6*과 함께 사용할 것 | ||
YPAD | 학습서: 음악 필요한 경우 적절한 스타일 수식자 6*과 함께 사용할 것 | ||
YPAF | 학습서: 드라마, 행위예술 학습용 연극대본, 무용 등이 여기에 해당 | ||
YPAG | 학습서: 패션, 섬유 | 1.3 | |
YPAK | 학습서: 수공예 메이커스페이스, 해커스페이스, 공작(목공) 교육, 전통 예술 및 공예 수업이 여기에 해당. 교차 커리큘럼 과목에서 실용적인 접근을 결합한 교육자료에 사용할 것 | 1.3 | 1.4 |
YPC | 학습서: 언어, 문학, 국어 모든 YPC* 코드는 적절한 언어 수식자 2*와 함께 사용할 것 | 1.2 | |
YPCA | 학습서: 국어 | ||
YPCA1 | 학습서: 국어: 기본학습 글자, 단어 학습처럼 언어 기초 기술 학습을 목적으로 하는 도서가 여기에 해당 | 1.3 | |
YPCA2 | 학습서: 국어: 읽기, 쓰기 스스로 읽고 쓸 수 있도록 학습시키는 도서가 여기에 해당 | 1.3 | |
YPCA21 | 학습서: 국어: 문장이해, 리더스 학습용으로 리딩 능력 개발을 위해 만들어진 도서로 보통 레벨과 단어 수 등의 등급이 매겨져 있는 도서가 여기에 해당. 교육관련 수식자 4*와 함께 사용하고 만일 리딩 콘텐츠가 스토리(YF* 코드) 혹은 다른 이슈를 다루고 있을 경우 관련 주제어 코드(어린이 분야) 함께 사용할 것 | 1.3 | |
YPCA22 | 학습서: 국어: 글씨쓰기책 | ||
YPCA23 | 학습서: 국어: 글자공부, 단어 | 1.3 | |
YPCA4 | 학습서: 국어: 문법 | ||
YPCA5 | 학습서: 국어: 말하기 | ||
YPCA9 | 학습서: 국어: 문학 | ||
YPCA91 | 학습서: 국어: 독해집 언어수식자 2*, 교육관련 수식자 4*, 그리고 본문의 문학 장르를 특정하기 위해 YF* 코드 함께 사용할 것 | 1.4 | |
YPCK | 학습서: 외국어 모든 YPCK* 코드는 적절한 언어 수식자 2*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4 | |
YPCK2 | 학습서: 외국어 학습 교수 및 학습 자료, 코스북이 여기에 해당 | 1.4 | |
YPCK21 | 학습서: 외국어: 언어학습: 문법, 단어, 발음 | 1.3 | 1.4 |
YPCK22 | 학습서: 외국어: 언어학습: 리더스 어학용으로 독해를 위해 본문 내용을 단순화시켜 개발된 도서로 보통 언어 레벨과 어휘 수준이 표시되어 있음. 언어 수식자 2* 코드와 교육관련 수식자 4* 코드 함께 사용하고 본문 내용이 스토리(YF* 코드) 혹은 기타 이슈를 다루고 있는 경우 해당 주제어 함께 사용할 것 | 1.3 | 1.4 |
YPCK9 | 학습서: 외국어: 문학 | 1.4 | |
YPCK91 | 학습서: 외국어독해집 언어수식자 2*, 교육관련 수식자 4*, 그리고 본문의 문학 장르를 특정하기 위해 YF* 코드 함께 사용할 것 | 1.4 | |
YPCS | 학습서: 고전, 고문 모든 YPCS* 코드는 적절한 언어 수식자 2*와 함께 사용할 것 | 1.3 | |
YPCS4 | 학습서: 고전, 고문 학습 | ||
YPCS9 | 학습서: 고전, 고문 문학 | ||
YPCS91 | 학습서: 고전, 고문 독해집 본문의 종류를 특정하기 위해 장소수식자 1*, 언어수식자 2*, 교육관련 수식자 4* 코드 함께 사용할 것 | 1.4 | |
YPJ | 학습서: 인문, 사회과학 일반 | ||
YPJH | 학습서: 역사 적절한 장소 수식자 1*, 시기 수식자 3* 및 교육관련 수식자 4*와 함께 사용할 것 | 1.3 | |
YPJJ | 학습서: 사회과학, 사회 | ||
YPJJ1 | 학습서: 정치, 헌법 | ||
YPJJ3 | 학습서: 시민의식, 사회교육 공민학이 여기에 해당 | 1.3 | |
YPJJ4 | 학습서: 지역/통합 학습 여러 주제를 혼합하여 학생에게 가르칠 목적으로 개발된 학습서가 여기에 해당. 이러한 도서는 보통 생활 터전과 관련이 있으며 이것의 역사, 지리, 자연, 관습 등이 포함되어 있음 | 1.3 | |
YPJJ5 | 학습서: 심리학 | ||
YPJJ6 | 학습서: 개인 및 보건교육 사회 생활, 개인 건강, 복지, 인간관계, 개인 안전이 여기에 해당. 적절한 YX*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안전 이슈는 YXR 코드를, 성교육은 YXAX 코드 함께 사용할 것 | 1.3 | |
YPJK | 학습서: 미디어 학습 영화, 뉴미디어, 텔레비전, 전자통신에 관한 학습서가 여기에 해당 | 1.3 | |
YPJL | 학습서: 철학 및 윤리학 | 1.3 | |
YPJM | 학습서: 법/법률 학습 법률 과학, 법, 고등 레벨 이상에서 학습하는 특정 유형의 법률에 관한 학습서가 여기에 해당 | 1.3 | |
YPJN | 학습서: 종교 See also: YNR 어린이, 청소년 교양: 철학, 종교와 믿음 | ||
YPJN1 | 학습서: 종교: 힌두교 See also: YNRD 어린이, 청소년 교양: 힌두교 | ||
YPJN2 | 학습서: 종교: 불교 See also: YNRF 어린이, 청소년 교양: 불교 | ||
YPJN3 | 학습서: 종교: 유대교 See also: YNRJ 어린이, 청소년 교양: 유대교 | ||
YPJN4 | 학습서: 종교: 기독교 See also: YNRM 어린이, 청소년 교양: 기독교 | ||
YPJN5 | 학습서: 종교: 이슬람교 See also: YNRP 어린이, 청소년 교양: 이슬람 | ||
YPJN9 | 학습서: 종교: 기타종교 See also: YNRR 어린이, 청소년 교양: 기타종교 및 영적 전통 | ||
YPJT | 학습서: 지리 | ||
YPJV | 학습서: 비즈니스, 경제 | ||
YPJV1 | 학습서: 경제 | 1.3 | |
YPJV2 | 학습서: 경영학 및 사무 직업 실습 교육이 여기에 해당. 경영학적 측면을 포함한 학습서가 여기에 해당 | 1.3 | |
YPJV3 | 학습서: 회계 | 1.3 | |
YPM | 학습서: 수학, 과학, 기술 일반 STEM 학습, STEAM 교육이 여기에 해당 | 1.4 | |
YPMF | 학습서: 수학, 산수 | ||
YPMF1 | 학습서: 수학, 산수: 연산, 구구단 | 1.3 | |
YPMP | 학습서: 과학, 일반과학 | ||
YPMP1 | 학습서: 생물 | ||
YPMP3 | 학습서: 화학 | ||
YPMP5 | 학습서: 물리 | ||
YPMP51 | 학습서: 천문학 | 1.3 | |
YPMP6 | 학습서: 환경과학 | 1.3 | |
YPMT | 학습서: 기술 | ||
YPMT2 | 학습서: 디자인과 기술 제품 디자인 학습서가 여기에 해당 | 1.3 | |
YPMT3 | 학습서: 공학 자동차 공학(VE) 및 기술에 관한 학습서가 여기에 해당. 고등학교 수준의 공학 교육 과정에 사용할 것. 공학을 특정하기 위해 T* 주제어 코드 함께 사용할 것 | 1.3 | 1.4 |
YPMT4 | 학습서: 식품기술, 요리기술 영양, 음식준비 학습서가 여기에 해당 See also: YPWC4 학습서: 환대, 식음료, 레저 및 관광 | 1.4 | |
YPMT5 | 학습서: 전자공학 전자 제품, 시스템, 기술, 전기 학습서가 여기에 해당 | 1.3 | |
YPMT6 | 학습서: IT, 컴퓨터, ICT 디지털 역량 및 기술, 코딩, 프로그래밍 학습서가 여기에 해당 | 1.4 | |
YPMT7 | 학습서: 기술도안 | 1.3 | |
YPMT8 | 학습서: 목공, 금속가공 | 1.3 | |
YPW | 학습서: 직업, 기타주제 초등 혹은 중고등 교육용 학습서에 사용할 것. 학생들에게 관련 주제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주기 위해 다른 주제어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특히 기술, 공학 분야인 경우 T*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적절한 교육관련 수식자 4*와 함께 사용할 것 | 1.4 | |
YPWB | 학습서: 가족 및 소비자학: 가정관리 가정, 가족, 지역 사회와의 관계 경제학, 관리를 다루는 학생용 학습서가 여기에 해당 | 1.3 | |
YPWC | 학습서: 직업교육 및 훈련 별도 목록에 없으나 학교에서 가르치는 모든 종류의 직업 주제에 관한 도서가 여기에 해당. 적절한 다른 주제 코드, 특히 기술이나 공학인 경우 T* 코드와 함께 사용하여 해당 직업 분야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할 것. 적절한 교육관련 수식자 4*와 함께 사용할 것 | 1.4 | |
YPWC1 | 학습서: 보건 및 사회복지 건강 및 사회 복지와 연관된 직업에 관한 학생용 학습서가 여기에 해당 | 1.3 | |
YPWC2 | 학습서: 보육 및 아동발달 육아와 연관된 직업에 관한 학생용 학습서가 여기에 해당 | 1.3 | |
YPWC3 | 학습서: 판매 및 소매기법 판매, 소매 분야에 관한 학생용 학습서가 여기에 해당 | 1.3 | |
YPWC4 | 학습서: 환대, 식음료, 레저 및 관광 여가산업, 여행, 관광, 호텔, 식음료 서비스 산업 관련한 학생용 학습서가 여기에 해당 See also: YPMT4 학습서: 식품기술, 요리기술 | 1.3 | 1.4 |
YPWC5 | 학습서: 미용, 미용 요법 | 1.3 | |
YPWC9 | 학습서: 경력, 직장생활 직업 세계, 필요한 기술, 현장 실습에 관한 학생용 학습서가 여기에 해당 | 1.3 | |
YPWD | 학습서: 건축, 건물 및 관련 기술 건축환경, 건축공학이 여기에 해당. 건축 및 관련 분야에 대한 정보를 학생들에게 제공하기 위한 도서에 사용할 것. 해당 분야에 대한 보다 상세하고 전문적인 정보를 나타내기 위해 TN* 코드 함께 사용할 것 See also: TNT 건설기술 및 관련업 | 1.4 | |
YPWE | 학습서: 농업, 원예 및 관련 주제 어업, 임업, 동물관리, 수목재배, 농촌 관리, 대장장이업이 여기에 해당. 농촌 및 육상 분야 주제에 대해 학생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도서에 사용할 것. 보다 상세하고 전문적인 주제를 표현하기 위해 TV*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4 | |
YPWF | 학습서: 체육 스포츠 연구, 체육 수업, PT(체력 훈련)가 여기에 해당. 운동이나 스포츠를 통해 인간의 몸을 유지하는 것과 연관된 학생용 학습서가 여기에 해당 | 1.3 | |
YPWG | 학습서: 수송, 물류 및 관련 기술 유통, 운전기술이 여기에 해당. 이 분야의 주제에 대해 학생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도서에 사용할 것. 다루는 주제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보를 나타내기 위해 T* 코드 혹은 K* 코드 함께 사용할 것 See also: TR* 수송기술 및 관련업 and its sub-categories | 1.4 | |
YPWL | 학습서: 학습일반: 교육역량 및 능력평가 학생이 속한 세계에 대한 다분야 접근 방식을 취하거나 학생들에게 일반적인 기술 혹은 역량을 가르치는 교육서에 사용할 것 | 1.4 | |
YPWL1 | 학습서: 일반 상식 일반적인 지식 혹은 문화를 광범위하게 제공하거나 문화 인식 및 표현을 가르치는 교육서에 사용할 것 | 1.4 | |
YPWL2 | 학습서: 공부법 기능적 기술, 학습기술, 조직화 기술, 쓰기(논술 등), 메모 작성 등과 같이 효율적으로 공부하거나 학습하는데 필요한 기술을 가르치는 학습서에 사용할 것 | 1.4 | |
YPWL3 | 학습서: 기억력 향상 및 창의력 사고 주도적 학습을 포함하여 학생들에게 사고 능력을 가르치는 일반적인 교육서에 사용할 것 | 1.4 | |
YPWL4 | 힉습서: 사회 및 생활 기술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 혹은 일상생활에서 유용한 다양한 기술을 가르치는 학습서에 사용할 것 | 1.4 | |
YPWN | 학습서: 소방, 경찰 공무원 등 소방대, 구급대원, 경찰 혹은 경비 서비스와 같이 제복을 입은 공공 혹은 보호 서비스 중 하나를 준비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학습서에 사용할 것. 해당 분야를 좀 더 상세하게 표현하기 위해 JKSW* 코드 혹은 JWC* 코드 함께 사용할 것 | 1.4 | |
YPZ | 학습서: 개정가이드 초, 중, 고등 교육을 위한 모든 교육연구, 개정 가이드, 학습 보조물, 워크북, 특정 과목이나 주제의 측면에서 학생들의 학습을 돕기 위한 요약이나 메모 등이 여기에 해당. 가능하면 해당되는 주제 YP*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4 | |
YPZN | 학습서: 비언어적 추론 그림, 도표, 시각적 추론을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자료에 사용할 것 | 1.3 | 1.4 |
YPZP | 학습서: 언어적 추론 단어를 글자를 사용해서 문제를 해결하는 자료에 사용할 것 | 1.3 | 1.4 |
YR | 어린이, 청소년 참고서적 | ||
YRD | 어린이, 청소년 참고서적: 사전 및 어학 참고서적 학교 및 가정에서 사용하는 단일 언어 사전, 기타 언어 참고자료, 어학 관련 도서가 여기에 해당. 필요한 경우 YRD* 코드는 적절한 언어 수식자 2*와 함께 사용할 것. 공식적인 교육 구조에 사용하기 위한 도서에는 YPC* 코드 사용할 것 | 1.4 | |
YRDC | 어린이, 청소년 참고서적: 그림사전 | 1.3 | |
YRDL | 어린이, 청소년 참고서적: 2개국어/다국어 사전 | 1.3 | |
YRDM | 어린이, 청소년 참고서적: 비모국어 연구 및 참고서적 독학 어학서, 가정 학습용 외국어 학습서, 단어장 등이 여기에 해당. 형식과 관계 없이 어린이, 청소년이 외국어를 배우거나 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서에 사용할 것 | 1.3 | 1.4 |
YRE | 어린이, 청소년 참고서적: 백과사전, 일반참고서 주제가 특정되지 않은 백과사전, 참고서에 사용할 것. 특정 주제일 경우 YRG 코드 사용할 것 | ||
YRG | 어린이, 청소년 참고서적: 특정주제백과사전, 참고서 주제별 사전, 용어집이 여기에 해당. 참고서적의 해당 주제를 나타내는 다른 Y* 코드와 함께, 교육용으로 설계된 자료일 경우 YP*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4 | |
YRW | 어린이, 청소년 참고서적: 아틀라스, 지도 어린이를 위한 지도, 어린이를 위한 다양한 주제를 제시하는 아틀라스에 사용할 것. 필요한 경우 적절한 다른 주제어 코드 Y* 코드를 함께 사용하고 장소 수식자 1*도 함께 사용할 것 | 1.4 | |
YX | 어린이, 청소년 개인, 사회문제 도서 유형을 나타내는 다른 Y* 코드와 함께 사용하거나 YX* 코드만 사용할 수 있음. 특정 주제 혹은 이슈를 다루는 소설일 경우 적절한 YF*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3 | |
YXA | 어린이, 청소년 개인, 사회문제: 신체, 건강 인체 혹은 신체의 특정 부분에 대해 일반 대중서로 건강을 접근한 도서에 사용할 것. 신체 이미지처럼 신체와 연결된 정신건강 도서인 경우 YXL* 코드 함께 사용할 것 | 1.4 | |
YXAB | 어린이, 청소년 개인, 사회문제: 신체단련, 운동 및 건강한 식사 개인 건강, 치아건강, 몸관리, 음식과 건강, 영양섭취, 채식주의, 완전 채식주의가 여기에 해당 | 1.3 | 1.4 |
YXAX | 어린이, 청소년 개인, 사회문제: 성교육, 현실적인문제 사춘기 및 신체변화, 성관계, 신체적 친밀감, 건강한 성을 포함하며 이에 국한되지 않고 성과 관련한 조언을 제공하거나 논의하는 도서에 사용할 것 | 1.4 | |
YXB | 어린이, 청소년 개인, 사회문제: LGBTQ+ 적절한 흥미 수식자 5PSG, 5PSL, 5PT 코드와 함께 사용하고 이러한 주제를 이야기 형식으로 다룬 경우 YF* 코드 함께 사용할 것 | 1.3 | 1.4 |
YXC | 어린이, 청소년 개인, 사회문제: 성 정체성 어린이, 청소년을 대상으로 성 정체성 교육 등을 다루는 도서가 여기에 해당. 예를 들어 소녀 혹은 소년의 정체성이 무엇인가를 다루는 도서가 여기에 해당. 해당 도서에 대한 상세 정보를 주기 위해 적절한 다른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See also: YNMF 어린이, 청소년 교양: 소녀, 여성, YNMH 어린이, 청소년 교양: 소년, 남성 | 1.3 | |
YXD | 어린이, 청소년 개인, 사회문제: 자의식, 자부심 자아 발견, 지식, 자신에 대한 가치, 자기 이미지, 자기 정체성이 여기에 해당 | 1.4 | |
YXE | 어린이, 청소년 개인, 사회문제: 감정, 기분, 느낌 두려움, 행복, 공동체의식, 슬픔, 공감, 소외, 좌절, 분노, 불안, 친절, 사랑 등에 대한 이해가 여기에 해당 | 1.4 | |
YXF | 어린이, 청소년 개인, 사회문제: 가족, 가족문제 부모, 의붓부모, 형제자매, 조부모, 친척, 혼합 가족, 대가족 등이 여기에 해당. 가족에 관한 도서, 가족 내 이슈 특히 가족 구성원 간 문제 등에 사용할 것 | 1.4 | |
YXFD | 어린이, 청소년 개인, 사회문제: 이혼, 별거, 가족해체 | 1.3 | |
YXFF | 어린이, 청소년 개인, 사회문제: 입양, 위탁양육 고아에 관한 도서가 여기에 해당 | 1.3 | |
YXFR | 어린이, 청소년 개인, 사회문제: 형제자매 형제, 자매, 의붓형제 및 의붓자매가 여기에 해당 | 1.4 | |
YXFS | 어린이, 청소년 개인, 사회문제: 아기 탄생 아기 탄생 (여동생, 남동생)이 여기에 해당 | 1.3 | 1.4 |
YXG | 어린이, 청소년 개인, 사회문제: 죽음, 가족의사망 상실과 슬픔이 여기에 해당 | 1.4 | |
YXGS | 어린이, 청소년 개인, 사회문제: 자살 | 1.2 | 1.3 |
YXH | 어린이, 청소년 개인, 사회문제: 인간관계 (가족제외) 또래 혹은 사회적 집단 내의 관계가 여기에 해당 | 1.3 | |
YXHB | 어린이, 청소년 개인, 사회문제: 친구, 우정 친구와의 관계를 둘러싼 주제, 새로 친구 사귀기, 친구 그룹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YFM 어린이, 청소년 소설: 로맨스, 사랑, 우정 등 인간관계 이야기 | 1.4 | |
YXHL | 어린이, 청소년 개인, 사회문제: 데이트, 관계 및 사랑 | 1.4 | |
YXHP | 어린이, 청소년 개인, 사회문제: 생활기술 및 선택 매너, 태도, 딜레마, 결과, 책임, 현대 생활, 다른 사람과의 상호 작용하는 기술, 규칙을 따르거나 따르지 않음 등이 여기에 해당 | 1.4 | |
YXHY | 어린이, 청소년 개인, 사회문제: 청소년 임신 | 1.3 | |
YXJ | 어린이, 청소년 개인, 사회문제: 약물, 중독 | 1.3 | |
YXK | 어린이, 청소년 개인, 사회문제: 장애, 특수요구 신체 장애, 보이거나 보이지 않는 장애 혹은 상태, 휠체어 사용자 등이 여기에 해당. 필요한 경우 적절한 흥미 수식자 5PM* 코드 함께 사용할 것 | 1.4 | |
YXL | 어린이, 청소년 개인, 사회문제: 신체 및 정신건강 상태 특정 질환이 있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거나 특정 질환이 있는 다른 사람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도서는 YXL* 코드 사용할 것. 필요한 경우 모든 YXL* 코드에는 적절한 5PM* 코드 함께 사용할 것 | 1.2 | 1.4 |
YXLB | 어린이, 청소년 개인, 사회문제: 질환과 특수 건강 상태 질병, 장기간 질병 상태가 지속되거나, 부상을 입고 살아가는 삶에 관한 도서가 여기에 해당 | 1.3 | |
YXLB1 | 어린이, 청소년 개인, 사회문제: 암 | 1.3 | |
YXLD | 어린이, 청소년 개인, 사회문제: 정신건강 정신질환이 여기에 해당 | 1.3 | |
YXLD1 | 어린이, 청소년 개인, 사회문제: 식이장애 | 1.3 | |
YXLD2 | 어린이, 청소년 개인, 사회문제: 불안, 우울증 및 자해 공황 발작이 여기에 해당 | 1.3 | |
YXLD6 | 어린이, 청소년 개인, 사회문제: 긍정적/훌륭한 정신건강 마음 챙김이 여기에 해당 | 1.3 | |
YXM | 어린이, 청소년 개인, 사회문제: 다문화 다문화주의 다문화 사회와 관련된 사회 및 문화를 다루는 도서에 사용할 것 | 1.4 | |
YXN | 어린이, 청소년 개인, 사회문제: 인종차별, 다문화 외국인 혐오증이 여기에 해당 See also: JBFA1 인종주의 및 인종차별 | 1.4 | |
YXP | 어린이, 청소년 개인, 사회문제: 다양성/포함 다양성, 포용성을 다루는 주제 혹은 특별히 다양한 성격의 인물들을 다루는 이야기가 여기에 해당. 혹은 반드시 이야기의 주제일 필요는 없으나 문맥상 포용성을 그리는 도서가 여기에 해당 | 1.3 | 1.4 |
YXPB | 어린이, 청소년 개인, 사회문제: 편견, 편협 차별이 여기에 해당 | 1.3 | |
YXQ | 어린이, 청소년 개인, 사회문제: 괴롭힘, 폭력, 학대, 따돌림 | 1.3 | |
YXQD | 어린이, 청소년 개인, 사회문제: 학대 신체적, 정신적, 정서적, 성적 학대, 강압적 통제, 가정폭력이 여기에 해당 | 1.3 | 1.4 |
YXQF | 어린이, 청소년 개인, 사회문제: 따돌림, 괴롭힘 사이버폭력, 사이버트롤링, 온라인 강압이 여기에 해당 | 1.3 | 1.4 |
YXR | 어린이, 청소년 개인, 사회문제: 개인안전 낯선 사람과의 대처, 도로 안전, 가정에서 안전 등이 여기에 해당 | 1.1 | 1.3 |
YXS | 어린이, 청소년 개인, 사회문제: 가출 노숙자가 여기에 해당 | 1.1 | 1.3 |
YXT | 어린이, 청소년 개인, 사회문제: 무단결석, 학교문제 | 1.3 | |
YXV | 청소년 개인, 사회문제: 직업, 대학교육, 졸업조언 교육목적이 아닌 어린이/청소년 대상으로 일, 직업, 경력, 전문직종에 관해 다루는 도서가 여기에 해당 See also: YPJV2 학습서: 경영학 및 사무, YPWC9 학습서: 경력, 직장생활 | 1.3 | |
YXW | 어린이, 청소년 개인, 사회문제: 처음 경험, 성장 성인이 되는 것 등이 여기에 해당 | 1.3 | 1.4 |
YXZ | 어린이, 청소년: 사회문제 사회 활동주의가 여기에 해당. 사회문제를 직접적으로 다루는 도서에 사용할 것. 해당 주제를 이야기 형식으로 다룬 도서는 YF* 코드와 함께 사용할 것 | 1.4 | |
YXZG | 어린이, 청소년 사회문제: 환경문제 지구 돌보기, 기후변화, 오염, 쓰레기, 플라스틱, 재활용, 지속 가능성, 기후비상, 기후파업, 환경챔피언, 미래돌보기, 자연보호 및 보존이 여기에 해당 | 1.4 | |
YXZM | 어린이, 청소년 사회문제: 이민, 난민 망명신청자, 이민자가 여기에 해당 | 1.2 | 1.4 |
YXZR | 어린이, 청소년 사회문제: 종교 | ||
YXZW | 어린이, 청소년 사회문제: 전쟁, 물리적충돌 | ||
YZ | 어린이, 청소년 문구 및 기타 다른 Y* 주제에 속하지 않는 어린이, 청소년용 문구 및 비도서에 사용할 것. 필요한 경우 다른 주제어 코드와 함께 사용할 수 있지만 메인주제어 코드는 반드시 YZ* 코드여야 함. 상품의 상세 유형은 메타데이터의 상품유형을 통해 유통사에 전달됨 | 1.4 | |
YZG | 어린이용선물책자 일반적으로 판형이 작고 장식적이고 유머스럽거나 영감을 주는 성격의 책으로 어린이에게 선물로 제공하기 위한 상품임 | 1.4 | |
YZS | 어린이용 문구 일기, 달력, 포스터, 키트, 엽서, 패키지, 북마크 등 인쇄된 문구용품이 어린이 대상일 경우 여기에 해당. 가능하면 연관 주제 코드를 함께 사용할 것 See also: WZS 문구 | 1.1 | |
YZSG | 어린이, 청소년 문구: 주제가 있는 다이어리 및 노트북 작성하거나 메모할 내용에 영감을 주기 위해 미리 인쇄된 텍스트 또는 이미지가 있는 저널에 사용할 것. 적절한 주제를 나타내는 다른 주제어 코드를 부가적 주제어로 함께 사용할 것. 흥미 수식자 5A*나 다른 적절한 주제어 코드가 있는 경우 부가적으로 함께 사용할 것 | 1.4 | |
YZSN | 어린이용 노트/메모 연습장, 사인북, 기타 내용이 비어있는 어린이대상 문구류가 여기에 해당 See also: WZSN 노트/메모 | 1.1 | |
1 | 장소 수식자 장소 수식자 1*은 메인 주제어로 사용할 수 없으며 반드시 다른 주제어 코드에 부수적으로 함께 사용되어야 함. 여행서의 경우 해당 위치, 소설일 경우 소설에 등장하는 배경 장소, 법률 관련 도서일 경우 사법 재판적이 적용되는 장소, 역사서일 경우 특정 장소와 관련된 역사일 경우 해당 장소처럼 콘텐츠의 지리적 범위를 표시하는 등 주제어를 고를 때 선택적으로 실제, 역사, 문화, 행정, 지구상의 물리적 실체를 나타내고자 할 때 적절한 표현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음. 특정 위치에 대한 코드가 없을 경우 해당 위치를 포함하는 가장 가까운 범위의 장소 수식자를 선택할 것. 주의할 사항은 책의 출간 국가(장소), 저자의 국적 등 책의 주제와 관련 없는 장소에는 사용할 수 없음(번역서의 최초 출간 국가는 메타데이터의 본문 언어 중 번역서의 원문 언어에서 표시할 것, 프랑스 원작이지만 소설의 배경이 미국인 경우 프랑스는 장소 수식자에서 사용할 수 없으며 메타데이터의 원문의 본문 언어에서 프랑스를 선택할 것). 장소 수식자에서 코드 중간에 위치한 국가 코드(예: 1*-xx- 형식에서 xx는 US, KR처럼 2자리 국가 코드임)는 반드시 해당 국가만 해당 코드를 할당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누구나 사용 가능함. 장소 수식자의 장소는 포괄적인 지명이 아니라 글로벌 도서 유통망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위치 목록임. 최상위 대분류인 코드 1 자체는 사용할 없으며 하위에 속한 적절한 수식자 찾아서 1*로 사용할 것 | 1.4 | |
1A | 세계전역 특별히 글로벌을 지칭하는 경우가 여기에 해당 | 1.2 | |
1D | 유럽 | ||
1DD | 서부유럽 | ||
1DDB | 벨기에 | ||
1DDB‑BE‑B | 브뤼셀 | 1.2.2 | |
1DDB‑BE‑F | 플랑드르 | 1.2.6 | |
1DDB‑BE‑FA | 안트베르펜주 | 1.2.6 | |
1DDB‑BE‑FAA | 안트베르펜 | 1.2.6 | |
1DDB‑BE‑FB | 플람스브라반트 | 1.2.6 | |
1DDB‑BE‑FBA | 뢰번 | ||
1DDB‑BE‑FC | 림뷔르흐 (벨기에) | 1.2.8 | |
1DDB‑BE‑FCA | 하셀트 | ||
1DDB‑BE‑FD | 오스트플란데런 | 1.2.6 | |
1DDB‑BE‑FDA | 헨트 | 1.2.6 | |
1DDB‑BE‑FE | 베스트플란데런 | 1.2.6 | |
1DDB‑BE‑FEA | 브뤼허 | 1.2.6 | |
1DDB‑BE‑W | 왈롱 | 1.2.6 | |
1DDB‑BE‑WA | 브라방왈롱 | 1.2.6 | |
1DDB‑BE‑WAA | 우아브르 | ||
1DDB‑BE‑WB | 에노 | 1.2.6 | |
1DDB‑BE‑WBA | 몽스 | 1.2.6 | |
1DDB‑BE‑WBB | 샤를루아 | ||
1DDB‑BE‑WC | 리에주 | 1.2.6 | |
1DDB‑BE‑WCA | 리에 | 1.2.6 | |
1DDB‑BE‑WD | 룩셈부르크 (벨기에 지방) | 1.2.6 | |
1DDB‑BE‑WDA | 아를롱 | 1.2.6 | |
1DDB‑BE‑WE | 나뮈르주 | 1.2.6 | |
1DDB‑BE‑WEA | 나뮈르 | 1.2.6 | |
1DDF | 프랑스 | ||
1DDF‑FR‑X | 프랑스 지방 | 1.2.6 | |
1DDF‑FR‑XA | Auvergne-Rhône-Alpes | 1.2.6 | |
1DDF‑FR‑C | 오베르뉴 Use for: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s as well as administrative | 1.2.6 | |
1DDF‑FR‑CA | 알리에 | ||
1DDF‑FR‑CAA | Moulins | ||
1DDF‑FR‑CAB | Montluçon | 1.2.6 | |
1DDF‑FR‑CAC | Vichy | 1.2.6 | |
1DDF‑FR‑CB | 캉탈 | ||
1DDF‑FR‑CBA | Aurillac | ||
1DDF‑FR‑CBB | Mauriac | 1.2.6 | |
1DDF‑FR‑CBC | Saint-Flour | 1.2.6 | |
1DDF‑FR‑CC | 오트루아르 | ||
1DDF‑FR‑CCA | Le Puy-en-Velay Class here: Velay | 1.2.6 | |
1DDF‑FR‑CCB | Brioude | 1.2.6 | |
1DDF‑FR‑CCC | Yssingeaux | 1.2.6 | |
1DDF‑FR‑CD | 퓌드돔 Class here: Chaîne des Puys | 1.2.6 | |
1DDF‑FR‑CDA | Clermont-Ferrand | ||
1DDF‑FR‑CDB | Ambert | 1.2.6 | |
1DDF‑FR‑CDC | Issoire | 1.2.6 | |
1DDF‑FR‑CDD | Riom | 1.2.6 | |
1DDF‑FR‑CDE | Thiers | 1.2.6 | |
1DDF‑FR‑V | 론알프 | 1.2.6 | |
1DDF‑FR‑VA | 앵 | ||
1DDF‑FR‑VAA | Bourg-en-Bresse Class here: Bresse | 1.2.6 | |
1DDF‑FR‑VAB | Belley | 1.2.6 | |
1DDF‑FR‑VAC | Gex | 1.2.6 | |
1DDF‑FR‑VAD | Nantua | 1.2.6 | |
1DDF‑FR‑VB | 아르데셰 Class here: Vivarais | 1.2.6 | |
1DDF‑FR‑VBA | Privas | ||
1DDF‑FR‑VBB | Largentière | 1.2.6 | |
1DDF‑FR‑VBC | Tournon-sur-Rhône | 1.2.6 | |
1DDF‑FR‑VC | 드홈므 | ||
1DDF‑FR‑VCA | Valence | ||
1DDF‑FR‑VCB | Die | 1.2.6 | |
1DDF‑FR‑VCC | Nyons | 1.2.6 | |
1DDF‑FR‑VD | 이제르 | ||
1DDF‑FR‑VDA | Grenoble | ||
1DDF‑FR‑VDB | La Tour-du-Pin | 1.2.6 | |
1DDF‑FR‑VDC | Vienne (Isère) | 1.2.6 | |
1DDF‑FR‑VE | 루아르 See also: 1DDF-FR-ZL 루와르강 및 루와르 계곡 | ||
1DDF‑FR‑VEA | Saint-Étienne | ||
1DDF‑FR‑VEB | Montbrison | 1.2.6 | |
1DDF‑FR‑VEC | Roanne | 1.2.6 | |
1DDF‑FR‑VF | 론 | ||
1DDF‑FR‑VFA | Lyon Class here: Lyonnais | 1.2.6 | |
1DDF‑FR‑VFB | Villefranche-sur-Saône | 1.2.6 | |
1DDF‑FR‑VG | 사부아 Use for: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s as well as administrative | 1.2.6 | |
1DDF‑FR‑VGA | Chambéry | ||
1DDF‑FR‑VGB | Albertville | 1.2.6 | |
1DDF‑FR‑VGC | Saint-Jean-de-Maurienne | 1.2.6 | |
1DDF‑FR‑VH | 오트사부아 | ||
1DDF‑FR‑VHA | Annecy Class here: Lake Annecy | 1.2.6 | |
1DDF‑FR‑VHB | Bonneville | 1.2.6 | |
1DDF‑FR‑VHC | Chamonix See also: 1DZTA-FR-B Mont Blanc Massif | 1.2.6 | |
1DDF‑FR‑VHD | Saint-Julien-en-Genevois | 1.2.6 | |
1DDF‑FR‑VHE | Thonon-les-Bains | 1.2.6 | |
1DDF‑FR‑XAZ | Auvergne-Rhône-Alpes: Places of interest Use for: physical features, historical and cultural areas or other places of regional interest or importance | 1.2.6 | |
1DDF‑FR‑XAZB | Bourbonnais Class here: Bourbon | 1.2.6 | |
1DDF‑FR‑XAZF | Forez / Livradois | 1.2.6 | |
1DDF‑FR‑XAZG | Beaujolais | 1.2.6 | |
1DDF‑FR‑XAZH | Dauphiné / Dauphiny | 1.2.6 | |
1DDF‑FR‑XAZK | Chablais | 1.2.6 | |
1DDF‑FR‑XB | Bourgogne-Franche-Comté | 1.2.6 | |
1DDF‑FR‑E | 부르고뉴 | 1.2.6 | |
1DDF‑FR‑EA | 코트도르 | ||
1DDF‑FR‑EAA | Dijon | ||
1DDF‑FR‑EAB | Beaune | 1.2.6 | |
1DDF‑FR‑EAC | Montbard | 1.2.6 | |
1DDF‑FR‑EB | 니에브르 Class here: Nivernais | 1.2.6 | |
1DDF‑FR‑EBA | Nevers | ||
1DDF‑FR‑EBB | Château-Chinon and the Morvan | 1.2.6 | |
1DDF‑FR‑EBC | Clamecy | 1.2.6 | |
1DDF‑FR‑EBD | Cosne-Cours-sur-Loire | 1.2.6 | |
1DDF‑FR‑EC | 손에루아르 | ||
1DDF‑FR‑ECA | Mâcon and the Mâconnais Class here: Cluny | 1.2.6 | |
1DDF‑FR‑ECB | Autun | 1.2.6 | |
1DDF‑FR‑ECC | Chalon-sur-Saône and the Chalonnais | 1.2.6 | |
1DDF‑FR‑ECD | Charolles and the Charolais | 1.2.6 | |
1DDF‑FR‑ECE | Louhans | 1.2.6 | |
1DDF‑FR‑ED | 욘 | ||
1DDF‑FR‑EDA | Auxerre | ||
1DDF‑FR‑EDB | Avallon | 1.2.6 | |
1DDF‑FR‑J | 프랑슈콩테 Use for: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s as well as administrative | 1.2.6 | |
1DDF‑FR‑JA | 두 | ||
1DDF‑FR‑JAA | Montbéliard | 1.2.6 | |
1DDF‑FR‑JAB | Besançon | ||
1DDF‑FR‑JAC | Pontarlier | 1.2.6 | |
1DDF‑FR‑JB | 쥐라 (39) See also: 1DZT-FR-J Jura Mountains | ||
1DDF‑FR‑JBA | Lons-le-Saunier | ||
1DDF‑FR‑JBB | Dole | 1.2.6 | |
1DDF‑FR‑JBC | Saint-Claude | 1.2.6 | |
1DDF‑FR‑JC | 오트손 | ||
1DDF‑FR‑JCA | Vesoul | ||
1DDF‑FR‑JCB | Lure | 1.2.6 | |
1DDF‑FR‑JD | 테리투아르드벨포르 | ||
1DDF‑FR‑JDA | Belfort | ||
1DDF‑FR‑XC | Occitanie | 1.2.6 | |
1DDF‑FR‑M | 랑그도크루시용 | 1.2.6 | |
1DDF‑FR‑MA | 오드 | ||
1DDF‑FR‑MAA | Carcassonne | ||
1DDF‑FR‑MAB | Limoux | 1.2.6 | |
1DDF‑FR‑MAC | Narbonne | 1.2.6 | |
1DDF‑FR‑MAD | Rennes-le-Château | 1.2.6 | |
1DDF‑FR‑MB | 가르 | ||
1DDF‑FR‑MBA | Nîmes Class here: Pont du Gard | 1.2.6 | |
1DDF‑FR‑MBB | Alès | 1.2.6 | |
1DDF‑FR‑MBC | Le Vigan | 1.2.6 | |
1DDF‑FR‑MC | 에로 | ||
1DDF‑FR‑MCA | Montpellier | ||
1DDF‑FR‑MCB | Béziers | 1.2.6 | |
1DDF‑FR‑MCC | Lodève | 1.2.6 | |
1DDF‑FR‑MD | 로제르 | ||
1DDF‑FR‑MDA | Mende | ||
1DDF‑FR‑MDB | Florac Trois Rivières | 1.2.6 | |
1DDF‑FR‑ME | 피레네조리앙탈 | ||
1DDF‑FR‑MEA | Perpignan | ||
1DDF‑FR‑MEB | Céret | 1.2.6 | |
1DDF‑FR‑MEC | Prades | 1.2.6 | |
1DDF‑FR‑P | 미디피레네 | 1.2.6 | |
1DDF‑FR‑PA | 아리에즈 | ||
1DDF‑FR‑PAA | Foix Class here: County of Foix | 1.2.6 | |
1DDF‑FR‑PAB | Pamiers | 1.2.6 | |
1DDF‑FR‑PAC | Saint-Girons Class here: Couserans | 1.2.6 | |
1DDF‑FR‑PB | 아베롱 Class here: Rouergue | 1.2.6 | |
1DDF‑FR‑PBA | Rodez | ||
1DDF‑FR‑PBB | Millau | 1.2.6 | |
1DDF‑FR‑PBC | Villefranche-de-Rouergue | 1.2.6 | |
1DDF‑FR‑PC | 오트가론 | ||
1DDF‑FR‑PCA | Toulouse Class here: Toulousain | 1.2.6 | |
1DDF‑FR‑PCB | Muret | 1.2.6 | |
1DDF‑FR‑PCC | Saint-Gaudens Class here: Comminges | 1.2.6 | |
1DDF‑FR‑PD | 제르 | ||
1DDF‑FR‑PDA | Auch | ||
1DDF‑FR‑PDB | Condom | 1.2.6 | |
1DDF‑FR‑PDC | Mirande | 1.2.6 | |
1DDF‑FR‑PE | 로트 | ||
1DDF‑FR‑PEA | Cahors | ||
1DDF‑FR‑PEB | Figeac | 1.2.6 | |
1DDF‑FR‑PEC | Gourdon | 1.2.6 | |
1DDF‑FR‑PF | 오트피레네 Class here: Bigorre, Lavedan, vallées des Gaves | 1.2.6 | |
1DDF‑FR‑PFA | Tarbes | ||
1DDF‑FR‑PFB | Argelès-Gazost | 1.2.6 | |
1DDF‑FR‑PFC | Bagnères-de-Bigorre | 1.2.6 | |
1DDF‑FR‑PFD | Lourdes | 1.2.6 | |
1DDF‑FR‑PG | 타른 | ||
1DDF‑FR‑PGA | Albi | ||
1DDF‑FR‑PGB | Castres | 1.2.6 | |
1DDF‑FR‑PH | 타른에가론 | ||
1DDF‑FR‑PHA | Montauban | ||
1DDF‑FR‑PHB | Castelsarrasin | 1.2.6 | |
1DDF‑FR‑XCZ | Occitanie: Places of interest Use for: physical features, historical and cultural areas or other places of regional interest or importance | 1.2.6 | |
1DDF‑FR‑XCZA | Armagnac | 1.2.6 | |
1DDF‑FR‑XCZB | Aubrac | 1.2.6 | |
1DDF‑FR‑XCZC | Cévennes | 1.2.6 | |
1DDF‑FR‑XCZG | Gévaudan | 1.2.6 | |
1DDF‑FR‑XCZL | Languedoc | 1.2.6 | |
1DDF‑FR‑XCZM | Canal du Midi | 1.2.6 | |
1DDF‑FR‑XCZN | Causses Class here: Grandes Causses | 1.2.6 | |
1DDF‑FR‑XCZQ | Quercy | 1.2.6 | |
1DDF‑FR‑XCZR | Roussillion | 1.2.6 | |
1DDF‑FR‑XE | Grand-Est | 1.2.6 | |
1DDF‑FR‑A | 알자스 Use for: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s as well as administrative | 1.2.6 | |
1DDF‑FR‑AA | 바랭 | ||
1DDF‑FR‑AAA | Strasbourg | ||
1DDF‑FR‑AAB | Haguenau | 1.2.6 | |
1DDF‑FR‑AAC | Molsheim | 1.2.6 | |
1DDF‑FR‑AAD | Saverne | 1.2.6 | |
1DDF‑FR‑AAE | Sélestat | 1.2.6 | |
1DDF‑FR‑AB | 오랭 | ||
1DDF‑FR‑ABA | Colmar | ||
1DDF‑FR‑ABB | Altkirch | 1.2.6 | |
1DDF‑FR‑ABC | Mulhouse | 1.2.6 | |
1DDF‑FR‑ABD | Thann | 1.2.6 | |
1DDF‑FR‑H | 샹파뉴아르덴 | 1.2.6 | |
1DDF‑FR‑HA | 아르덴 Use for: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s as well as administrative | 1.2.6 | |
1DDF‑FR‑HAA | Sedan | 1.2.6 | |
1DDF‑FR‑HAB | Charleville-Mézières Class here: Givet | 1.2.6 | |
1DDF‑FR‑HAC | Rethel | 1.2.6 | |
1DDF‑FR‑HAD | Vouziers | 1.2.6 | |
1DDF‑FR‑HB | 오브 | ||
1DDF‑FR‑HBA | Troyes | ||
1DDF‑FR‑HBB | Bar-sur-Aube | 1.2.6 | |
1DDF‑FR‑HBC | Nogent-sur-Seine | 1.2.6 | |
1DDF‑FR‑HC | 마르느 | ||
1DDF‑FR‑HCA | Châlons-en-Champagne | ||
1DDF‑FR‑HCB | Épernay | 1.2.6 | |
1DDF‑FR‑HCC | Reims | 1.2.6 | |
1DDF‑FR‑HCD | Sainte-Menehould | 1.2.6 | |
1DDF‑FR‑HCE | Vitry-le-François | 1.2.6 | |
1DDF‑FR‑HD | 오트마른 | ||
1DDF‑FR‑HDA | Chaumont | ||
1DDF‑FR‑HDB | Langres | 1.2.6 | |
1DDF‑FR‑HDC | Saint-Dizier | 1.2.6 | |
1DDF‑FR‑O | 로렌 Use for: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s as well as administrative | 1.2.6 | |
1DDF‑FR‑OA | 뫼르트에모젤 | ||
1DDF‑FR‑OAA | Nancy | ||
1DDF‑FR‑OAB | Lunéville | 1.2.6 | |
1DDF‑FR‑OAC | Toul | 1.2.6 | |
1DDF‑FR‑OAD | Val-de-Briey | 1.2.6 | |
1DDF‑FR‑OB | 뫼즈 | ||
1DDF‑FR‑OBA | Bar-le-Duc | ||
1DDF‑FR‑OBB | Commercy | 1.2.6 | |
1DDF‑FR‑OBC | Verdun | 1.2.6 | |
1DDF‑FR‑OC | 모젤 | ||
1DDF‑FR‑OCA | Metz | ||
1DDF‑FR‑OCB | Thionville | 1.2.6 | |
1DDF‑FR‑OCC | Sarreguemines | 1.2.6 | |
1DDF‑FR‑OCD | Sarrebourg | 1.2.6 | |
1DDF‑FR‑OCE | Forbach | 1.2.6 | |
1DDF‑FR‑OD | 보주 | ||
1DDF‑FR‑ODA | Épinal | ||
1DDF‑FR‑ODB | Neufchâteau | 1.2.6 | |
1DDF‑FR‑ODC | Saint-Dié-des-Vosges | 1.2.6 | |
1DDF‑FR‑XEZ | Grand-Est: Places of interest Use for: physical features, historical and cultural areas or other places of regional interest or importance | 1.2.6 | |
1DDF‑FR‑XEZC | Champagne | 1.2.6 | |
1DDF‑FR‑XEZV | Vosges Mountains | 1.2.6 | |
1DDF‑FR‑F | 브르타뉴 Use for: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s as well as administrative | 1.2.6 | |
1DDF‑FR‑FA | 코트다르모르 | ||
1DDF‑FR‑FAA | Saint-Brieuc | ||
1DDF‑FR‑FAB | Dinan | 1.2.6 | |
1DDF‑FR‑FAC | Guingamp | 1.2.6 | |
1DDF‑FR‑FAD | Lannion | 1.2.6 | |
1DDF‑FR‑FB | 피니스테르 | ||
1DDF‑FR‑FBA | Quimper | ||
1DDF‑FR‑FBB | Brest | 1.2.6 | |
1DDF‑FR‑FBC | Châteaulin | 1.2.6 | |
1DDF‑FR‑FBD | Morlaix | 1.2.6 | |
1DDF‑FR‑FC | 일에빌렌 | ||
1DDF‑FR‑FCA | Rennes | ||
1DDF‑FR‑FCB | Fougères | 1.2.6 | |
1DDF‑FR‑FCC | Redon | 1.2.6 | |
1DDF‑FR‑FCD | Saint-Malo | 1.2.6 | |
1DDF‑FR‑FD | 모르비앙 | ||
1DDF‑FR‑FDA | Vannes | ||
1DDF‑FR‑FDB | Lorient | 1.2.6 | |
1DDF‑FR‑FDC | Pontivy | 1.2.6 | |
1DDF‑FR‑FDD | Carnac | 1.2.6 | |
1DDF‑FR‑FZ | 브르타뉴: 명소 Use for: physical features, historical and cultural areas or other places of regional interest or importance | 1.2.6 | |
1DDF‑FR‑FZC | Cornouaille | 1.2.6 | |
1DDF‑FR‑G | 상트르 | 1.2.6 | |
1DDF‑FR‑GA | 셰르 | ||
1DDF‑FR‑GAA | Saint-Amand-Montrond | 1.2.6 | |
1DDF‑FR‑GAB | Bourges | ||
1DDF‑FR‑GAC | Vierzon | 1.2.6 | |
1DDF‑FR‑GAD | Sancerre Class here: Sancerrois | 1.2.6 | |
1DDF‑FR‑GB | 외르에루아르 | ||
1DDF‑FR‑GBA | Chartres | ||
1DDF‑FR‑GBB | Châteaudun Class here: Dunois | 1.2.6 | |
1DDF‑FR‑GBC | Dreux | 1.2.6 | |
1DDF‑FR‑GBD | Nogent-le-Rotrou | 1.2.6 | |
1DDF‑FR‑GC | 앵드르 | ||
1DDF‑FR‑GCA | Châteauroux | ||
1DDF‑FR‑GCB | Le Blanc | 1.2.6 | |
1DDF‑FR‑GCC | La Châtre | 1.2.6 | |
1DDF‑FR‑GCD | Issoudun | 1.2.6 | |
1DDF‑FR‑GD | 앵드르에루아르 | ||
1DDF‑FR‑GDA | Tours | ||
1DDF‑FR‑GDB | Chinon | 1.2.6 | |
1DDF‑FR‑GDC | Loches | 1.2.6 | |
1DDF‑FR‑GE | 루아르에셰르 | ||
1DDF‑FR‑GEA | Blois Class here: Blesois | 1.2.6 | |
1DDF‑FR‑GEB | Romorantin-Lanthenay | 1.2.6 | |
1DDF‑FR‑GEC | Vendôme | 1.2.6 | |
1DDF‑FR‑GF | 루아레 | ||
1DDF‑FR‑GFA | Orléans Class here: Orléanais | 1.2.6 | |
1DDF‑FR‑GFB | Montargis | 1.2.6 | |
1DDF‑FR‑GFC | Pithiviers | 1.2.6 | |
1DDF‑FR‑GZ | 상트르: 명소 Use for: physical features, historical and cultural areas or other places of regional interest or importance | 1.2.6 | |
1DDF‑FR‑GZB | Berry | 1.2.6 | |
1DDF‑FR‑GZS | Sologne | 1.2.6 | |
1DDF‑FR‑GZT | Touraine | 1.2.6 | |
1DDF‑FR‑XH | Hauts-de-France | 1.2.6 | |
1DDF‑FR‑Q | 노르파드칼레 | 1.2.6 | |
1DDF‑FR‑QA | 노르 | ||
1DDF‑FR‑QAA | Lille | ||
1DDF‑FR‑QAB | Avesnes-sur-Helpe | 1.2.6 | |
1DDF‑FR‑QAC | Cambrai | 1.2.6 | |
1DDF‑FR‑QAD | Douai | 1.2.6 | |
1DDF‑FR‑QAE | Dunkirk | 1.2.6 | |
1DDF‑FR‑QAF | Valenciennes | 1.2.6 | |
1DDF‑FR‑QB | 파드칼레 | ||
1DDF‑FR‑QBA | Arras | ||
1DDF‑FR‑QBB | Béthune | 1.2.6 | |
1DDF‑FR‑QBC | Boulogne Class here: Boulogne-sur-Mer | 1.2.6 | |
1DDF‑FR‑QBD | Calais | 1.2.6 | |
1DDF‑FR‑QBE | Lens | 1.2.6 | |
1DDF‑FR‑QBF | Montreuil | 1.2.6 | |
1DDF‑FR‑QBG | Saint-Omer | 1.2.6 | |
1DDF‑FR‑S | 피카르디 Use for: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s as well as administrative | 1.2.6 | |
1DDF‑FR‑SA | 엔 | ||
1DDF‑FR‑SAA | Laon | ||
1DDF‑FR‑SAB | Château-Thierry | 1.2.6 | |
1DDF‑FR‑SAC | Saint-Quentin | 1.2.6 | |
1DDF‑FR‑SAD | Soissons | 1.2.6 | |
1DDF‑FR‑SAE | Vervins | 1.2.6 | |
1DDF‑FR‑SB | 우아즈 | ||
1DDF‑FR‑SBA | Beauvais | ||
1DDF‑FR‑SBB | Clermont | 1.2.6 | |
1DDF‑FR‑SBC | Compiègne | 1.2.6 | |
1DDF‑FR‑SBD | Senlis | 1.2.6 | |
1DDF‑FR‑SC | 솜 | ||
1DDF‑FR‑SCA | Amiens | ||
1DDF‑FR‑SCB | Abbeville | 1.2.6 | |
1DDF‑FR‑SCC | Montdidier | 1.2.6 | |
1DDF‑FR‑SCD | Péronne | 1.2.6 | |
1DDF‑FR‑XHZ | Hauts-de-France: Places of interest Use for: physical features, historical and cultural areas or other places of regional interest or importance | 1.2.6 | |
1DDF‑FR‑XHZA | Artois | 1.2.6 | |
1DDF‑FR‑I | 코르시카 Use for: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s as well as administrative | 1.2.6 | |
1DDF‑FR‑IA | 코르스뒤쉬드 | ||
1DDF‑FR‑IAA | Ajaccio | ||
1DDF‑FR‑IAB | Sartène | 1.2.6 | |
1DDF‑FR‑IB | 오트코르스 | ||
1DDF‑FR‑IBA | Bastia | ||
1DDF‑FR‑IBB | Calvi | 1.2.6 | |
1DDF‑FR‑IBC | Corte | 1.2.6 | |
1DDF‑FR‑L | 일드프랑스 Use for: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s as well as administrative | 1.2.6 | |
1DDF‑FR‑LA | 파리 (지방) | 1.4 | |
1DDF‑FR‑LAA | 파리 (도시) | 1.4 | |
1DDF‑FR‑LB | 센에마른 | ||
1DDF‑FR‑LBA | Melun | ||
1DDF‑FR‑LBB | Fontainebleau | 1.2.6 | |
1DDF‑FR‑LBC | Meaux | 1.2.6 | |
1DDF‑FR‑LBD | Provins | 1.2.6 | |
1DDF‑FR‑LBE | Torcy | 1.2.6 | |
1DDF‑FR‑LC | 이블린 | ||
1DDF‑FR‑LCA | Versailles | ||
1DDF‑FR‑LCB | Mantes-la-Jolie | 1.2.6 | |
1DDF‑FR‑LCC | Rambouillet | 1.2.6 | |
1DDF‑FR‑LCD | Saint-Germain-en-Laye | 1.2.6 | |
1DDF‑FR‑LD | 에손 | ||
1DDF‑FR‑LDA | Évry | ||
1DDF‑FR‑LDB | Étampes | 1.2.6 | |
1DDF‑FR‑LDC | Palaiseau | 1.2.6 | |
1DDF‑FR‑LE | 오드센 | ||
1DDF‑FR‑LEA | Nanterre | ||
1DDF‑FR‑LEB | Antony | 1.2.6 | |
1DDF‑FR‑LEC | Boulogne-Billancourt | 1.2.6 | |
1DDF‑FR‑LF | 센생드니 | ||
1DDF‑FR‑LFA | Bobigny | ||
1DDF‑FR‑LFB | Le Raincy | 1.2.6 | |
1DDF‑FR‑LFC | Saint-Denis | 1.2.6 | |
1DDF‑FR‑LG | 발드마른 | ||
1DDF‑FR‑LGA | Créteil | ||
1DDF‑FR‑LGB | L’Haÿ-les-Roses | 1.2.6 | |
1DDF‑FR‑LGC | Nogent-sur-Marne | 1.2.6 | |
1DDF‑FR‑LH | 발두아즈 | ||
1DDF‑FR‑LHA | Pontoise | ||
1DDF‑FR‑LHB | Argenteuil | 1.2.6 | |
1DDF‑FR‑LHC | Sarcelles | 1.2.6 | |
1DDF‑FR‑LZ | 일드프랑스: 명소 Use for: physical features, historical and cultural areas or other places of regional interest or importance | 1.2.6 | |
1DDF‑FR‑LZB | Brie | 1.2.6 | |
1DDF‑FR‑LZV | Vexin | 1.2.6 | |
1DDF‑FR‑XN | Normandy Use for: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s as well as administrative | 1.2.6 | |
1DDF‑FR‑D | 바스노르망디 | 1.2.6 | |
1DDF‑FR‑DA | 칼바도스 | ||
1DDF‑FR‑DAA | Caen | ||
1DDF‑FR‑DAB | Bayeux | 1.2.6 | |
1DDF‑FR‑DAC | Lisieux | 1.2.6 | |
1DDF‑FR‑DAD | Vire-Normandie | 1.2.6 | |
1DDF‑FR‑DB | 망슈 Class here: Contentin / Cherbourg Peninsula | 1.2.6 | |
1DDF‑FR‑DBA | Saint-Lô | ||
1DDF‑FR‑DBB | Avranches | 1.2.6 | |
1DDF‑FR‑DBC | Cherbourg-en-Cotentin | 1.2.6 | |
1DDF‑FR‑DBD | Coutances | 1.2.6 | |
1DDF‑FR‑DBE | Mont Saint-Michel | 1.2.6 | |
1DDF‑FR‑DC | 오른 | ||
1DDF‑FR‑DCA | Alençon | ||
1DDF‑FR‑DCB | Argentan | 1.2.6 | |
1DDF‑FR‑DCC | Mortagne-au-Perche | 1.2.6 | |
1DDF‑FR‑K | 오트노르망디 | 1.2.6 | |
1DDF‑FR‑KA | 외르 | ||
1DDF‑FR‑KAA | Évreux | ||
1DDF‑FR‑KAB | Les Andelys | 1.2.6 | |
1DDF‑FR‑KAC | Bernay | 1.2.6 | |
1DDF‑FR‑KB | 센마리팀 | ||
1DDF‑FR‑KBA | Rouen | ||
1DDF‑FR‑KBB | Dieppe | 1.2.6 | |
1DDF‑FR‑KBC | Le Havre | 1.2.6 | |
1DDF‑FR‑XNZ | Normandy: Places of interest Use for: physical features, historical and cultural areas or other places of regional interest or importance | 1.2.6 | |
1DDF‑FR‑XNZB | Normandy Beaches | 1.2.6 | |
1DDF‑FR‑XNZD | Perche | 1.2.6 | |
1DDF‑FR‑XNZF | Pays d’Auge | 1.2.6 | |
1DDF‑FR‑XNZH | Pays de Caux | 1.2.6 | |
1DDF‑FR‑XQ | Nouvelle-Aquitaine | 1.2.6 | |
1DDF‑FR‑B | 아키텐 Use for: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s as well as administrative | 1.2.6 | |
1DDF‑FR‑BA | 도르도뉴 See also: 1DDF-FR-Z 프랑스: 명소 | ||
1DDF‑FR‑BAA | Périgueux | ||
1DDF‑FR‑BAB | Bergerac | 1.2.6 | |
1DDF‑FR‑BAC | Nontron | 1.2.6 | |
1DDF‑FR‑BAD | Sarlat-la-Canéda | 1.2.6 | |
1DDF‑FR‑BB | 지롱드 | ||
1DDF‑FR‑BBA | Bordeaux | ||
1DDF‑FR‑BBB | Arcachon | 1.2.6 | |
1DDF‑FR‑BBC | Blaye | 1.2.6 | |
1DDF‑FR‑BBD | Langon | 1.2.6 | |
1DDF‑FR‑BBE | Lesparre-Médoc | 1.2.6 | |
1DDF‑FR‑BBF | Libourne | 1.2.6 | |
1DDF‑FR‑BBG | Saint-Émilion | 1.2.6 | |
1DDF‑FR‑BC | 랑드 | ||
1DDF‑FR‑BCA | Mont-de-Marsan | ||
1DDF‑FR‑BCB | Dax | 1.2.6 | |
1DDF‑FR‑BD | 로트에가론 | ||
1DDF‑FR‑BDA | Agen | ||
1DDF‑FR‑BDB | Marmande | 1.2.6 | |
1DDF‑FR‑BDC | Nérac | 1.2.6 | |
1DDF‑FR‑BDD | Villeneuve-sur-Lot | 1.2.6 | |
1DDF‑FR‑BE | 피레네자틀랑티크 | ||
1DDF‑FR‑BEA | Pau | ||
1DDF‑FR‑BEB | Bayonne | 1.2.6 | |
1DDF‑FR‑BEC | Biarritz | 1.2.6 | |
1DDF‑FR‑BED | Oloron-Sainte-Marie | 1.2.6 | |
1DDF‑FR‑N | 리무쟁 Use for: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s as well as administrative | 1.2.6 | |
1DDF‑FR‑NA | 코레즈 | ||
1DDF‑FR‑NAA | Tulle | ||
1DDF‑FR‑NAB | Brive-la-Gaillarde | 1.2.6 | |
1DDF‑FR‑NAC | Ussel | 1.2.6 | |
1DDF‑FR‑NB | 크뢰즈 | ||
1DDF‑FR‑NBA | Guéret | ||
1DDF‑FR‑NBB | Aubusson | 1.2.6 | |
1DDF‑FR‑NC | 오트비엔 | ||
1DDF‑FR‑NCA | Limoges | ||
1DDF‑FR‑NCB | Bellac | 1.2.6 | |
1DDF‑FR‑NCC | Rochechouart | 1.2.6 | |
1DDF‑FR‑T | 푸아투샤랑트 | 1.2.6 | |
1DDF‑FR‑TA | 샤랑트 | ||
1DDF‑FR‑TAA | Angoulême Class here: Angoumois | 1.2.6 | |
1DDF‑FR‑TAB | Cognac | 1.2.6 | |
1DDF‑FR‑TAC | Confolens | 1.2.6 | |
1DDF‑FR‑TB | 샤랑트마리팀 | ||
1DDF‑FR‑TBA | La Rochelle Class here: Aunis | 1.2.6 | |
1DDF‑FR‑TBB | Jonzac | 1.2.6 | |
1DDF‑FR‑TBC | Rochefort | 1.2.6 | |
1DDF‑FR‑TBD | Saint-Jean-d’Angély | 1.2.6 | |
1DDF‑FR‑TBE | Saintes Class here: Saintonge | 1.2.6 | |
1DDF‑FR‑TC | 되세브르 | ||
1DDF‑FR‑TCA | Niort | ||
1DDF‑FR‑TCB | Bressuire | 1.2.6 | |
1DDF‑FR‑TCC | Parthenay | 1.2.6 | |
1DDF‑FR‑TD | 비엔느 | ||
1DDF‑FR‑TDA | Poitiers | ||
1DDF‑FR‑TDB | Châtellerault | 1.2.6 | |
1DDF‑FR‑TDC | Montmorillon | 1.2.6 | |
1DDF‑FR‑XQZ | Nouvelle-Aquitaine: Places of interest Use for: physical features, historical and cultural areas or other places of regional interest or importance | 1.2.6 | |
1DDF‑FR‑XQZB | Béarn | 1.2.6 | |
1DDF‑FR‑XQZD | Gascony | 1.2.6 | |
1DDF‑FR‑XQZG | Guyenne | 1.2.6 | |
1DDF‑FR‑XQZH | Navarre (Lower) | 1.2.6 | |
1DDF‑FR‑XQZJ | Périgord | 1.2.6 | |
1DDF‑FR‑XQZK | Poitou | 1.2.6 | |
1DDF‑FR‑XQZL | Lascaux Class here: Prehistoric sites and caves of the Vézère Valley | 1.2.6 | |
1DDF‑FR‑XQZM | La Marche (Province) | 1.2.6 | |
1DDF‑FR‑R | 페이드라루아르 | 1.2.6 | |
1DDF‑FR‑RA | 루아르아틀랑티크 | ||
1DDF‑FR‑RAA | Saint-Nazaire | 1.2.6 | |
1DDF‑FR‑RAB | Nantes Class here: pays Nantais | 1.2.6 | |
1DDF‑FR‑RAC | Châteaubriant | 1.2.6 | |
1DDF‑FR‑RB | 멘에루아르 | ||
1DDF‑FR‑RBA | Angers | ||
1DDF‑FR‑RBB | Saumur | 1.2.6 | |
1DDF‑FR‑RBC | Cholet | 1.2.6 | |
1DDF‑FR‑RBD | Segré | 1.2.6 | |
1DDF‑FR‑RC | 마옌 | ||
1DDF‑FR‑RCA | Laval | ||
1DDF‑FR‑RCB | Château-Gontier | 1.2.6 | |
1DDF‑FR‑RD | 사르트 | ||
1DDF‑FR‑RDA | Le Mans | ||
1DDF‑FR‑RDB | La Flèche | 1.2.6 | |
1DDF‑FR‑RDC | Mamers | 1.2.6 | |
1DDF‑FR‑RE | 방데 Use for: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s as well as administrative | 1.2.6 | |
1DDF‑FR‑REA | La Roche-sur-Yon | ||
1DDF‑FR‑REB | Fontenay-le-Comte | 1.2.6 | |
1DDF‑FR‑REC | Les Sables-d’Olonne | 1.2.6 | |
1DDF‑FR‑RZ | 페이드라루아르: 명소 Use for: physical features, historical and cultural areas or other places of regional interest or importance | 1.2.6 | |
1DDF‑FR‑RZA | Anjou | 1.2.6 | |
1DDF‑FR‑RZM | Maine (province) | 1.2.6 | |
1DDF‑FR‑U | 프로방스알프코트다쥐르 | 1.2.6 | |
1DDF‑FR‑UA | 알프드오트프로방스 | ||
1DDF‑FR‑UAA | Digne-les-Bains | ||
1DDF‑FR‑UAB | Barcelonnette | 1.2.6 | |
1DDF‑FR‑UAC | Castellane | 1.2.6 | |
1DDF‑FR‑UAD | Forcalquier | 1.2.6 | |
1DDF‑FR‑UB | 오트잘프 | ||
1DDF‑FR‑UBA | Gap | ||
1DDF‑FR‑UBB | Briançon | 1.2.6 | |
1DDF‑FR‑UC | 알프마리팀 | ||
1DDF‑FR‑UCA | Nice | ||
1DDF‑FR‑UCB | Grasse | 1.2.6 | |
1DDF‑FR‑UCC | 칸 | 1.2.6 | |
1DDF‑FR‑UD | 부슈뒤론 | ||
1DDF‑FR‑UDA | Marseille | ||
1DDF‑FR‑UDB | Aix-en-Provence | 1.2.6 | |
1DDF‑FR‑UDC | Arles | 1.2.6 | |
1DDF‑FR‑UDD | Istres | 1.2.6 | |
1DDF‑FR‑UE | 바르 | ||
1DDF‑FR‑UEA | Toulon | ||
1DDF‑FR‑UEB | Brignoles | 1.2.6 | |
1DDF‑FR‑UEC | Saint-Tropez | 1.2.6 | |
1DDF‑FR‑UED | Draguignan | 1.2.6 | |
1DDF‑FR‑UF | 보클뤼즈 | ||
1DDF‑FR‑UFA | Avignon | ||
1DDF‑FR‑UFB | Apt | 1.2.6 | |
1DDF‑FR‑UFC | Carpentras Class here: Comtat Venaissin | 1.2.6 | |
1DDF‑FR‑UFD | Orange Class here: principality of Orange. Use for: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s as well as administrative | 1.2.6 | |
1DDF‑FR‑UZ | 프랑방스알프코트다쥐르: 명소 Use for: physical features, historical and cultural areas or other places of regional interest or importance | 1.2.6 | |
1DDF‑FR‑UZC | French Riviera / Côte d’Azur | 1.2.6 | |
1DDF‑FR‑UZD | The Luberon | 1.2.6 | |
1DDF‑FR‑UZF | Mercantour | 1.2.6 | |
1DDF‑FR‑UZG | Camargue | 1.2.6 | |
1DDF‑FR‑UZP | Provence | 1.2.6 | |
1DDF‑FR‑Z | 프랑스: 명소 Use for: physical features, historical and cultural areas or other places of national interest or importance | 1.2.6 | |
1DDF‑FR‑ZB | 센강 Class here: the river, its tributaries, its valley and estuary, mouth or delta | 1.2.6 | |
1DDF‑FR‑ZD | 도르도뉴강 Class here: the river, its tributaries, its valley and estuary, mouth or delta | 1.2.6 | |
1DDF‑FR‑ZL | 루와르강 및 루와르 계곡 Class here: the river, its tributaries, its valley and estuary, mouth or delta | 1.2.6 | |
1DDF‑FR‑ZR | 론강 Class here: the river, its tributaries, its valley and estuary, mouth or delta | 1.2.6 | |
1DDF‑FR‑ZS | 마시프 상트랄 | 1.2.6 | |
1DDL | 룩셈부르크 | ||
1DDM | 모나코 몬테카를로가 여기에 해당 | 1.2.6 | |
1DDN | 네덜란드 | ||
1DDN‑NL‑A | 암스테르담 | ||
1DDN‑NL‑B | 브라반트 | 1.2.8 | |
1DDN‑NL‑BB | Breda | 1.2.8 | |
1DDN‑NL‑BE | Eindhoven | 1.2.8 | |
1DDN‑NL‑BH | s-Hertogenbosch | 1.2.8 | |
1DDN‑NL‑BT | Tilburg | 1.2.8 | |
1DDN‑NL‑D | 드렌테 | 1.2.8 | |
1DDN‑NL‑DA | Assen | 1.2.8 | |
1DDN‑NL‑DE | Emmen | 1.2.8 | |
1DDN‑NL‑F | 플레볼란트 | ||
1DDN‑NL‑FA | Almere | 1.2.8 | |
1DDN‑NL‑FL | Lelystad | 1.2.8 | |
1DDN‑NL‑G | 헬데를란트 | ||
1DDN‑NL‑GA | Arnhem | 1.2.8 | |
1DDN‑NL‑GD | Apeldoorn | 1.2.8 | |
1DDN‑NL‑GE | Ede | 1.2.8 | |
1DDN‑NL‑GN | Nijmegen | 1.2.8 | |
1DDN‑NL‑GR | Achterhoek Class here: Doesburg, Doetinchem, Winterswijk, Zutphen | 1.4 | |
1DDN‑NL‑GS | Betuwe (Batavia) | 1.4 | |
1DDN‑NL‑GV | Veluwe Class here: Hoge Veluwe National Park | 1.4 | |
1DDN‑NL‑H | 노르트홀란트 | 1.2.8 | |
1DDN‑NL‑HH | Haarlem | 1.2.8 | |
1DDN‑NL‑HM | Alkmaar | 1.2.8 | |
1DDN‑NL‑L | 림뷔르흐 (네덜란드) | 1.2.8 | |
1DDN‑NL‑LM | Maastricht | 1.2.8 | |
1DDN‑NL‑LV | Venlo | 1.2.8 | |
1DDN‑NL‑N | 흐로닝언 | 1.2.8 | |
1DDN‑NL‑NG | Groningen | 1.2.8 | |
1DDN‑NL‑R | 프리슬란트 | ||
1DDN‑NL‑RL | Leeuwarden | 1.2.8 | |
1DDN‑NL‑S | 자위트홀란트 | 1.2.8 | |
1DDN‑NL‑SA | Alphen aan den Rijn | 1.2.8 | |
1DDN‑NL‑SC | Dordrecht | 1.2.8 | |
1DDN‑NL‑SD | Delft | 1.2.8 | |
1DDN‑NL‑SH | The Hague | 1.2.8 | |
1DDN‑NL‑SL | Leiden | 1.2.8 | |
1DDN‑NL‑SR | Rotterdam | 1.2.8 | |
1DDN‑NL‑SZ | Zoetermeer | 1.2.8 | |
1DDN‑NL‑U | 위트레흐트 | 1.2.8 | |
1DDN‑NL‑UA | Amersfoort | 1.2.8 | |
1DDN‑NL‑UU | Utrecht | 1.2.8 | |
1DDN‑NL‑UV | Utrechtse Heuvelrug (Utrecht Hill Ridge) Use for: the national park or the area | 1.4 | |
1DDN‑NL‑V | 오버레이설 | ||
1DDN‑NL‑VE | Enschede | 1.2.8 | |
1DDN‑NL‑VT | Twente | 1.4 | |
1DDN‑NL‑VZ | Zwolle | 1.2.8 | |
1DDN‑NL‑X | 네덜란드: 명소 Use for: physical features, historical and cultural areas or other places of national interest or importance | 1.4 | |
1DDN‑NL‑XB | Groene Hart | 1.4 | |
1DDN‑NL‑XD | IJsselmeer | 1.4.2 | |
1DDN‑NL‑XF | West Frisian Islands Class here: Wadden Islands See also: 1DFG-DE-VAP 오스트프리지아 | 1.4.2 | |
1DDN‑NL‑Z | 제일란트 | ||
1DDN‑NL‑ZG | Goes | 1.2.8 | |
1DDN‑NL‑ZM | Middelburg | 1.2.8 | |
1DDN‑NL‑ZV | Vlissingen | 1.2.8 | |
1DDR | 아일랜드 | ||
1DDR‑IE‑C | Connaught | 1.2.6 | |
1DDR‑IE‑CG | County Galway Class here: Aran Islands, Inishmore, Inis Mór, Inishmaan | 1.2.6 | 1.4 |
1DDR‑IE‑CGC | Connemara | 1.2.6 | |
1DDR‑IE‑CGD | The Twelve Bens | 1.2.6 | |
1DDR‑IE‑CGG | Galway | 1.2.6 | |
1DDR‑IE‑CL | Leitrim | 1.2.6 | |
1DDR‑IE‑CM | Mayo Class here: Croagh Patrick, Achill Island | 1.2.6 | 1.4 |
1DDR‑IE‑CR | Roscommon | 1.2.6 | |
1DDR‑IE‑CS | Sligo | 1.2.6 | |
1DDR‑IE‑L | Leinster | 1.2.6 | |
1DDR‑IE‑LC | Carlow | 1.2.6 | |
1DDR‑IE‑LD | County Dublin | 1.2.6 | |
1DDR‑IE‑LDD | Dublin | 1.2.6 | |
1DDR‑IE‑LH | Louth Class here: Cooley mountains | 1.2.6 | 1.4 |
1DDR‑IE‑LI | Wicklow | 1.2.6 | |
1DDR‑IE‑LIM | The Wicklow Mountains Class here: Glendalough | 1.2.6 | 1.4 |
1DDR‑IE‑LK | Kildare | 1.2.6 | |
1DDR‑IE‑LL | Laois | 1.2.6 | |
1DDR‑IE‑LM | Meath Class here: Kells, Hill of Tara | 1.2.6 | 1.4 |
1DDR‑IE‑LMN | Newgrange Class here: Brú na Bóinne, Knowth, Dowth, Boyne Valley | 1.2.6 | 1.4 |
1DDR‑IE‑LN | Longford | 1.2.6 | |
1DDR‑IE‑LO | Offaly Class here: Clonmacnoise | 1.2.6 | 1.4 |
1DDR‑IE‑LW | Westmeath | 1.2.6 | |
1DDR‑IE‑LX | Wexford | 1.2.6 | |
1DDR‑IE‑LY | Kilkenny | 1.2.6 | |
1DDR‑IE‑M | Munster | 1.2.6 | |
1DDR‑IE‑MC | County Cork | 1.2.6 | |
1DDR‑IE‑MCC | Cork | 1.2.6 | |
1DDR‑IE‑MK | Kerry Class here: Skellig Michael, The Blaskets | 1.2.6 | 1.4 |
1DDR‑IE‑MKD | Dingle Peninsula | 1.2.6 | |
1DDR‑IE‑MKK | Killarney | 1.2.6 | |
1DDR‑IE‑MKR | Ring of Kerry | 1.2.6 | |
1DDR‑IE‑MKS | Macgillycuddy’s Reeks Class here: Iveragh Peninsula, Carrauntoohil | 1.2.6 | 1.4 |
1DDR‑IE‑ML | Clare | 1.2.6 | |
1DDR‑IE‑MLB | The Burren Class here: Cliffs of Moher | 1.2.6 | 1.4 |
1DDR‑IE‑MM | County Limerick | 1.2.6 | |
1DDR‑IE‑MML | Limerick | 1.2.6 | |
1DDR‑IE‑MT | Tipperary Class here: Cashel | 1.2.6 | 1.4 |
1DDR‑IE‑MW | Waterford | 1.2.6 | |
1DDR‑IE‑U | Ulster Use for: the nine counties of Ulster, three in Ireland and six in the U.K. See also: 1DDU-GB-N 북아일랜드 | 1.2.6 | 1.3 |
1DDR‑IE‑UC | Cavan | 1.2.6 | |
1DDR‑IE‑UD | Donegal | 1.2.6 | |
1DDR‑IE‑UM | Monaghan | 1.2.6 | |
1DDR‑IE‑Z | Ireland: Places of interest Use for: physical features, historical and cultural areas or other places of national interest or importance | 1.2.6 | |
1DDR‑IE‑ZA | Atlantic Coast of Ireland Class here: Wild Atlantic Way | 1.2.6 | 1.4 |
1DDR‑IE‑ZS | The Shannon Class here: the river, its tributaries, the valley and estuary | 1.2.6 | |
1DDU | 영국 | ||
1DDU‑GB‑E | 잉글랜드 | ||
1DDU‑GB‑EA | 이스트 앵글리아 | ||
1DDU‑GB‑EAC | 케임브리지셔 Class here: Peterborough, Huntingdon, Ely | 1.4 | |
1DDU‑GB‑EACD | 케임브리지 | 1.2.6 | |
1DDU‑GB‑EAN | 노퍽 Class here: Norwich, Kings Lynn, Yarmouth | 1.4 | |
1DDU‑GB‑EAS | 서퍽 Class here: Ipswich, Lowestoft, Newmarket, Bury St Edmunds, Felixstowe, Sutton Hoo | 1.4 | |
1DDU‑GB‑EAX | 에섹스 Class here: Colchester, Southend, Chelmsford, Epping | 1.4 | |
1DDU‑GB‑EAZ | 이스트 앵글리아: 명소 Use for: physical features, historical and cultural areas or other places of regional interest or importance | 1.2.6 | |
1DDU‑GB‑EAZF | 펜스 및 워시 | 1.2.6 | |
1DDU‑GB‑EAZN | 노퍽 브로드 | 1.2.6 | |
1DDU‑GB‑EM | 미들랜드 | ||
1DDU‑GB‑EMD | 더비셔 Class here: Bakewell, Buxton, Chatsworth, Chesterfield See also: 1DDU-GB-EMZD 피크 디스트릿 | 1.4 | |
1DDU‑GB‑EMDD | 더비 | 1.2.6 | |
1DDU‑GB‑EMF | 헤리퍼드셔 Class here: Hereford, Ross-on-Wye | 1.4 | |
1DDU‑GB‑EMH | 레스터셔 Class here: Melton Mowbray, Bosworth | 1.4 | |
1DDU‑GB‑EMHL | 레스터 | 1.2.6 | |
1DDU‑GB‑EML | 링컨셔 Class here: South Humberside, Grimsby, Scunthorpe, Skegness, Stamford | 1.4 | |
1DDU‑GB‑EMLL | 링컨 (영국) | 1.2.6 | |
1DDU‑GB‑EMM | 노샘프턴셔 Class here: Naseby | 1.4 | |
1DDU‑GB‑EMN | 노팅엄셔 Class here: Sherwood Forest | 1.2.6 | |
1DDU‑GB‑EMNN | 노팅엄 | 1.2.6 | |
1DDU‑GB‑EMP | 슈롭셔 Class here: Shrewsbury, Ironbridge, Ludlow, The Wrekin | 1.4 | |
1DDU‑GB‑EMR | 유틀란트 | ||
1DDU‑GB‑EMS | 스태퍼드셔 Class here: Lichfield | 1.4 | |
1DDU‑GB‑EMSP | 스토크온트렌트 | 1.2.6 | |
1DDU‑GB‑EMT | 우스터셔 Class here: the Malvern Hills, Evesham | 1.4 | |
1DDU‑GB‑EMW | 워릭셔, 웨스트 미들랜드 Class here: Rugby | 1.4 | |
1DDU‑GB‑EMWB | 버밍엄 (영국) | ||
1DDU‑GB‑EMWC | 코번트리 | 1.2.6 | |
1DDU‑GB‑EMWS | 스트랫퍼드어폰에이번 | 1.2.6 | |
1DDU‑GB‑EMWW | 울버햄프턴 및 블랙컨트리 | 1.2.6 | |
1DDU‑GB‑EMZ | 미들랜드: 명소 Use for: physical features, historical and cultural areas or other places of regional interest or importance | 1.2.6 | |
1DDU‑GB‑EMZD | 피크 디스트릿 Class here: Kinder Scout, Mam Tor, Dark Peak, White Peak, Edale, Castleton | 1.2.6 | 1.4 |
1DDU‑GB‑EMZM | 웨일스 변경 Class here: Offa’s Dyke, Wye Valley, Shropshire Hills, Forest of Dean. Use with: a code from 1DDU-GB-W Wales if necessary | 1.2.6 | |
1DDU‑GB‑EN | 노스웨스트 잉글랜드 | ||
1DDU‑GB‑ENC | 체셔 Class here: Chester, Alderley, Nantwich, Crewe | 1.4 | |
1DDU‑GB‑ENL | 란카셔 Class here: Preston, Lancaster, Blackburn, Burnley, Oldham, Preston, Forest of Bowland, Pendle | 1.4 | |
1DDU‑GB‑ENLB | 플랙풀 | 1.2.6 | |
1DDU‑GB‑ENLL | 리버풀 Class here: Merseyside | 1.4 | |
1DDU‑GB‑ENLM | 맨체스터 Class here: Greater Manchester | 1.4 | |
1DDU‑GB‑ENM | 컴브리아 Class here: Carlisle, Eden Valley, Penrith See also: 1DDU-GB-ENZL 레이크디스트릿 | 1.4 | |
1DDU‑GB‑ENZ | 노스웨스트 잉글랜드: 명소 Use for: physical features, historical and cultural areas or other places of regional interest or importance | 1.2.6 | |
1DDU‑GB‑ENZL | 레이크디스트릿 Class here: the Lakeland Fells, Scafell Pike, Windermere, Wastwater, Helvellyn, Skiddaw, Grasmere, Ullswater, Keswick, Kendal | 1.2.6 | 1.4 |
1DDU‑GB‑ES | 사우스 및 사우스이스트 잉글랜드 | ||
1DDU‑GB‑ESB | 버크셔 Class here: Eton, Highclere, Greenham | 1.4 | |
1DDU‑GB‑ESBR | 레딩 | 1.2.6 | |
1DDU‑GB‑ESBW | 윈저 | 1.2.6 | |
1DDU‑GB‑ESD | 베드포드셔 Class here: Luton | 1.4 | |
1DDU‑GB‑ESF | 옥스퍼드셔 Class here: Uffington, Blenheim, Woodstock | 1.4 | |
1DDU‑GB‑ESFX | 옥스퍼드 | 1.2.6 | |
1DDU‑GB‑ESH | 햄프셔 Class here: Winchester, Portsmouth | 1.4 | |
1DDU‑GB‑ESHS | 사우샘프턴 및 더 솔렌트 | 1.2.6 | |
1DDU‑GB‑ESK | 켄트 Class here: Dover | 1.4 | |
1DDU‑GB‑ESKC | 캔터베리 | 1.2.6 | |
1DDU‑GB‑ESL | 런던 | ||
1DDU‑GB‑ESLC | 센트럴 런던 | 1.1.2 | |
1DDU‑GB‑ESLCW | 웨스트민스터 | 1.2.6 | |
1DDU‑GB‑ESLF | 시티오브런던 Use for: the historic square mile, as well as the City as a financial centre | 1.1.2 | 1.4 |
1DDU‑GB‑ESR | 서레이 Class here: Guildford, Woking | 1.4 | |
1DDU‑GB‑EST | 하트퍼드셔 Class here: St Albans | 1.4 | |
1DDU‑GB‑ESU | 버킹햄셔 | ||
1DDU‑GB‑ESUB | 블레츨리 파크 | 1.2.6 | |
1DDU‑GB‑ESW | 와이트 섬 Class here: Ryde, Cowes | 1.4 | |
1DDU‑GB‑ESX | 서식스 Class here: Hastings, Lewes, Chichester, Rye, East Sussex, West Sussex | 1.4 | |
1DDU‑GB‑ESXB | 브라이턴 앤드 호베 | 1.2.6 | |
1DDU‑GB‑ESZ | 사우스 및 사우스이스트 잉글랜드: 명소 Use for: physical features, historical and cultural areas or other places of regional interest or importance | 1.2.6 | |
1DDU‑GB‑ESZC | 칠턴 힐스 | 1.4 | |
1DDU‑GB‑ESZD | 노스 앤드 사우스 다운스, 더 윌드 | 1.2.6 | |
1DDU‑GB‑ESZF | 더 뉴 포레스트 | 1.2.6 | |
1DDU‑GB‑ESZT | 템스 강 Class here: the river, its tributaries, the Thames valley and the Thames estuary | 1.2.6 | 1.4 |
1DDU‑GB‑EW | 사우스웨스트 잉글랜드 | ||
1DDU‑GB‑EWC | 콘월 Class here: Kernow, Truro, St Ives, Tintagel | 1.4 | |
1DDU‑GB‑EWCS | 실리 섬 | 1.2.6 | |
1DDU‑GB‑EWD | 데번 Class here: Exeter, Torquay | 1.4 | |
1DDU‑GB‑EWDP | 플리머스 | 1.2.6 | |
1DDU‑GB‑EWG | 글로스터셔 Class here: Cheltenham, Tewkesbury | 1.4 | |
1DDU‑GB‑EWS | 서머싯 Class here: Taunton, Wells, the Levels, Mendip Hills, Quantock Hills, Sedgemoor | 1.4 | |
1DDU‑GB‑EWSB | 브리스톨 | 1.2.6 | |
1DDU‑GB‑EWSG | 글래스톤베리 | 1.2.6 | |
1DDU‑GB‑EWSH | 바스 | 1.2.6 | |
1DDU‑GB‑EWT | 도싯 Class here: Lyme Regis, Weymouth | 1.4 | |
1DDU‑GB‑EWTB | 본머스 및 풀 Class here: Christchurch, Brownsea Island | 1.2.6 | 1.4 |
1DDU‑GB‑EWW | 윌트셔 Class here: Swindon | 1.4 | |
1DDU‑GB‑EWWS | 솔즈베리 Class here: Old Sarum, Wilton See also: 1DDU-GB-EWZS 스톤헨지 | 1.2.6 | 1.4 |
1DDU‑GB‑EWZ | 사우스웨스트 잉글랜드: 명소 Use for: physical features, historical and cultural areas or other places of regional interest or importance | 1.2.6 | |
1DDU‑GB‑EWZC | 코츠월드 Preferred code: use instead of 1DZT-GB-C | 1.2.6 | 1.3 |
1DDU‑GB‑EWZD | 주라직 코스트 및 퍼벡 Class here: Dorset and East Devon Coast | 1.2.6 | |
1DDU‑GB‑EWZM | 다트무어, 엑스무어, 보드민 무어 | 1.2.6 | |
1DDU‑GB‑EWZS | 스톤헨지 Class here: Avebury, Silbury Hill and other prehistoric sites on Salisbury Plain | 1.2.6 | |
1DDU‑GB‑EWZW | 웨식스 | 1.2.6 | |
1DDU‑GB‑EY | 노스 및 노스이스트 잉글랜드 | ||
1DDU‑GB‑EYD | 더럼 Class here: Teesdale. Use for: County Durham or City of Durham | 1.4 | |
1DDU‑GB‑EYK | 요크셔 Class here: North Humberside, Harrogate, the Ridings, Scarborough | 1.4 | |
1DDU‑GB‑EYKH | 헐 | 1.2.6 | |
1DDU‑GB‑EYKK | 요크 | 1.2.6 | |
1DDU‑GB‑EYKL | 리즈 브래드포드 Class here: West Yorkshire | 1.4 | |
1DDU‑GB‑EYKM | 미들즈브러 및 테에사이드 | 1.2.6 | |
1DDU‑GB‑EYKS | 셰필드 및 러더럼 Class here: South Yorkshire, Doncaster, Barnsley | 1.2.6 | 1.4 |
1DDU‑GB‑EYKW | 휘트비 | 1.4 | |
1DDU‑GB‑EYN | 노섬벌랜드, 타인 위어 Class here: Northumbria, Berwick-upon-Tweed, Alnwick, Bamburgh, Hexham | 1.4 | |
1DDU‑GB‑EYNC | 뉴케슬 및 게이츠헤드 Class here: North and South Tyneside, Jarrow | 1.4 | |
1DDU‑GB‑EYNS | 선덜랜드 및 위어사이드 | 1.2.6 | |
1DDU‑GB‑EYZ | 노스 및 노스이스트 잉글랜드: 명소 Use for: physical features, historical and cultural areas or other places of regional interest or importance | 1.2.6 | |
1DDU‑GB‑EYZB | 페나인 산맥 Preferred code: use instead of 1DZT-GB-P | 1.2.6 | 1.3 |
1DDU‑GB‑EYZF | 노스 요크 무어스 | 1.2.6 | |
1DDU‑GB‑EYZH | 요크셔 데일스 Class here: Howgills, Wharfedale, Wensleydale, Malham Cove, Nidderdale, Pen-y-ghent, Ingleborough, Whernside | 1.2.6 | 1.4 |
1DDU‑GB‑EYZL | 판 아일랜즈, 홀리 섬 | 1.2.6 | |
1DDU‑GB‑EYZN | 노섬벌랜드 국립공원 Class here: The Cheviots, Kirk Yetholm, Kielder Forest and Kielder Water | 1.2.6 | 1.4 |
1DDU‑GB‑EYZW | 하드리아누스 방벽 Class here: Housesteads | 1.2.6 | 1.4 |
1DDU‑GB‑N | 북아일랜드 | ||
1DDU‑GB‑NB | 벨파스트 | ||
1DDU‑GB‑NC | 앤트림 | 1.2.6 | |
1DDU‑GB‑ND | 아마 | 1.2.6 | |
1DDU‑GB‑NE | 런던데리주 | 1.2.6 | |
1DDU‑GB‑NEC | 런던데리 | 1.2.6 | |
1DDU‑GB‑NG | 다운 Class here: Strangford Lough, Ards Peninsula | 1.2.6 | 1.4 |
1DDU‑GB‑NJ | 퍼매너 Class here: Lough Erne, Enniskillen | 1.2.6 | 1.4 |
1DDU‑GB‑NT | 티론 | 1.2.6 | |
1DDU‑GB‑NZ | 북아일랜드: 명소 Use for: physical features, historical and cultural areas or other places of regional interest or importance | 1.2.6 | |
1DDU‑GB‑NZA | 자이언트 코즈웨이, 앤트림 코스트, 글랜 Class here: the Causeway Coast, Rathlin Island | 1.2.6 | 1.4 |
1DDU‑GB‑NZM | 몬 산맥 | 1.2.6 | |
1DDU‑GB‑NZS | 스페린스 산맥 | 1.2.6 | |
1DDU‑GB‑S | 스코틀랜드 | ||
1DDU‑GB‑SB | 로우랜드 스코틀랜드 랜드 보더 Class here: Dumfries and Galloway, Southern Uplands, Pentland Hills, Tweeddale | 1.4 | |
1DDU‑GB‑SBR | 린오브켈즈, 갤로웨이 힐즈 Class here: Galloway Forest Park | 1.2.6 | |
1DDU‑GB‑SC | 센트럴 스코틀랜드 Class here: Clyde, Perth, Firth of Forth, Bute, Ochil Hills | 1.4 | |
1DDU‑GB‑SCD | 던디 및 파이프 | 1.2.6 | |
1DDU‑GB‑SCE | 에든버러 | ||
1DDU‑GB‑SCG | 글래스고 | ||
1DDU‑GB‑SCS | 스털링 | 1.2.6 | |
1DDU‑GB‑SH | 노던 스코클랜드, 고원 및 섬 | ||
1DDU‑GB‑SHA | 애버딘 및 디사이드 | 1.2.6 | |
1DDU‑GB‑SHG | 그렘피언 Class here: Lochnagar, Speyside etc | 1.2.6 | 1.4 |
1DDU‑GB‑SHGD | 케언곰스 Class here: Cairngorms National park, Ben Macdhui, Braeriach, Cairn Toul, Sgor an Lochain Uaine, Angus Glens, Monadhliath, Càrn Dearg, Strathspey, Aviemore, Glenshee, Braemar | 1.4 | |
1DDU‑GB‑SHGH | 벤네비스 및 글렌코 Class here: Mamores, Glen Etive, Black Mount, Rannoch Moor, Loch Levan, Fort William, Glen Nevis | 1.4 | |
1DDU‑GB‑SHN | 네스호 및 대협곡 Class here: Caledonian Canal | 1.2.6 | 1.4 |
1DDU‑GB‑SHV | 인버네스 | 1.2.6 | |
1DDU‑GB‑SHW | 노스웨스트 하이랜드 Class here: Torridon Hills, Ross, Cromarty, Sutherland, Caithness, Kyle of Lochalsh, Cape Wrath etc | 1.2.6 | 1.4 |
1DDU‑GB‑SHF | 오크니 섬 Class here: Scapa Flow, Hoy, Kirkwall, Skara Brae | 1.4 | |
1DDU‑GB‑SHJ | 셰틀랜드 섬 Class here: Lerwick | 1.4 | |
1DDU‑GB‑SHL | 아우터헤브리디스 Class here: Lewis, Harris, Uist, Benbecula, Barra, Na h-Eileanan Siar, Innse Gall | 1.4 | |
1DDU‑GB‑SHP | 이너헤브리디스 섬 Class here: Coll, Colonsay, Eigg, Islay, Jura, Rùm, Tiree, Na h-Eileanan a-staigh, Na h-Eileanan Tarsainn, Small Isles | 1.2.6 | 1.4 |
1DDU‑GB‑SHPM | 멀 섬, 이오나 Class here: Ulva | 1.2.6 | 1.4 |
1DDU‑GB‑SHQ | 스카이 섬 Class here: Cuillin Hills | 1.4 | |
1DDU‑GB‑SHR | 애런 섬 | 1.2.6 | |
1DDU‑GB‑SHT | 로치 로먼드 및 더 트로사크 국립공원 Class here: Ben Lui, the Cobbler, Arrochar Alps | 1.2.6 | 1.4 |
1DDU‑GB‑W | 웨일즈 Class here: Cymru | 1.4 | |
1DDU‑GB‑WC | 미드 웨일즈 Class here: Powys, Ceredigion, Cambrian Mountains, Aberystwyth, Machynlleth | 1.4 | |
1DDU‑GB‑WN | 노스 웨일즈 Class here: Anglesey, Gwynedd, Clwyd, Llŷn Peninsula, Conwy, Llandudno, Betws-y-Coed, Caernarfon, Barmouth, Dolgellau | 1.4 | |
1DDU‑GB‑WNS | 스노우도니아 국립공원 Class here: Crib Goch, Llyn Llydaw, Glaslyn, Y Garn, Cadair Idris, Eryri | 1.2.6 | 1.4 |
1DDU‑GB‑WS | 사우스 웨일즈 Class here: Newport, Glamorgan, Rhondda | 1.4 | |
1DDU‑GB‑WSC | 카디프 | ||
1DDU‑GB‑WSG | 스완지 및 가워 | 1.2.6 | |
1DDU‑GB‑WSY | 브레컨 비컨스 Class here: Black Mountain, Black Mountains and Fforest Fawr, Fan Brycheiniog, Pen y Fan | 1.2.6 | 1.4 |
1DDU‑GB‑WV | 사우스웨스트 웨일즈 Class here: Carmarthen, Llanelli | 1.4 | |
1DDU‑GB‑WVP | 펨브로크셔 코스트 국립공원 | 1.2.6 | |
1DDU‑GB‑X | 채널 섬 Class here: Alderney, Sark | 1.4 | |
1DDU‑GB‑XG | 건지 | 1.2.6 | |
1DDU‑GB‑XJ | 저지섬 | 1.2.6 | |
1DDU‑GB‑Z | 맨섬 Class here: Douglas, Ellan Vannin, Calf of Man | 1.4 | |
1DF | 중앙유럽 | ||
1DFA | 오스트리아 | ||
1DFA‑AT‑B | 부르겐란트 Class here: Eisenstadt, Rust, Oberwart | 1.4 | |
1DFA‑AT‑K | 케른텐 Class here: Lake Millstatt, Lake Ossiach | 1.4 | |
1DFA‑AT‑KB | Klagenfurt | 1.4 | |
1DFA‑AT‑KD | Villach | 1.4 | |
1DFA‑AT‑KF | Wörthersee (Lake Wort) | 1.4 | |
1DFA‑AT‑M | 슈타이어마르크 Class here: Grimming, Gesäuse | 1.4 | |
1DFA‑AT‑MB | Bruck an der Mur | 1.4 | |
1DFA‑AT‑MG | Graz | 1.4 | |
1DFA‑AT‑MH | Hochschwab Class here: Mariazell, Tragöß (Tragoess), Wildalpen | 1.4 | |
1DFA‑AT‑ML | Leoben | 1.4 | |
1DFA‑AT‑N | 니더쉐스터라이히 Class here: Danube-Auen | 1.4 | |
1DFA‑AT‑NA | Industrieviertel Class here: Wiener Neustadt | 1.4 | |
1DFA‑AT‑NB | Mostviertel Class here: Sankt Pölten, Waidhofen an der Ybbs | 1.4 | |
1DFA‑AT‑NC | Waldviertel Class here: Krems an der Donau | 1.4 | |
1DFA‑AT‑ND | Weinviertel | 1.4 | |
1DFA‑AT‑NW | Wachau Class here: Melk | 1.4 | |
1DFA‑AT‑R | 오베뢰스터라이히 | ||
1DFA‑AT‑RA | Linz | 1.4 | |
1DFA‑AT‑RC | Hausruckviertel Class here: Wels | 1.4 | |
1DFA‑AT‑RD | Innviertel Class here: Schärding | 1.4 | |
1DFA‑AT‑RE | Mühlviertel Class here: Freistadt | 1.4 | |
1DFA‑AT‑RF | Traunviertel Class here: Gmunden, Steyr See also: 1DFA-AT-ZS Salzkammergut | 1.4 | |
1DFA‑AT‑S | 잘츠부르크 Class here: Tennen Mountains | 1.4 | |
1DFA‑AT‑SA | Salzburg (City) | 1.4 | |
1DFA‑AT‑SC | Flachgau Class here: Wallersee See also: 1DFA-AT-ZS Salzkammergut | 1.4 | |
1DFA‑AT‑SD | Pinzgau Class here: Saalfelden, Zell am See | 1.4 | |
1DFA‑AT‑SE | Lungau | 1.4 | |
1DFA‑AT‑SF | Pongau Class here: Gastein, Werfen | 1.4 | |
1DFA‑AT‑SG | Tennengau Class here: Hallein | 1.4 | |
1DFA‑AT‑T | 티롤 | ||
1DFA‑AT‑TA | Innsbruck | 1.4 | |
1DFA‑AT‑TC | Ausserfern Class here: Reutte | 1.4 | |
1DFA‑AT‑TD | Upper Tyrol Class here: Imst, Landeck, Telfs, Ötztal, Stubaital | 1.4 | |
1DFA‑AT‑TE | Lower Tyrol Class here: Hall in Tirol, Kitzbühel, Kaiser Mountains, Zillertal | 1.4 | |
1DFA‑AT‑TF | Eastern Tyrol Class here: Lienz | 1.4 | |
1DFA‑AT‑V | 포르알베르크 | ||
1DFA‑AT‑VB | Bregenz | 1.4 | |
1DFA‑AT‑VF | Feldkirch | 1.4 | |
1DFA‑AT‑VM | Montafon | 1.4 | |
1DFA‑AT‑VR | Bregenz Forest | 1.4 | |
1DFA‑AT‑W | 비엔나 | ||
1DFA‑AT‑Z | Austria: Places of Interest | 1.4 | |
1DFA‑AT‑ZA | Arlberg | 1.4 | |
1DFA‑AT‑ZD | Dachstein | 1.4 | |
1DFA‑AT‑ZR | Semmering | 1.4 | |
1DFA‑AT‑ZS | Salzkammergut Class here: Attersee, Mondsee, Traunsee, Wolfgangsee | 1.4 | |
1DFA‑AT‑ZW | Vienna Woods | 1.4 | |
1DFG | 독일 | ||
1DFG‑DE‑B | 독일 북동부 | ||
1DFG‑DE‑BE | 베를린 Use for: the city or the federal state, as well as in historical contexts | 1.4 | |
1DFG‑DE‑BG | 브란덴부르크 Class here: Uckermark. Use for: the city or the federal state, as well as in historical contexts | 1.4 | |
1DFG‑DE‑BGB | 하벨란트 | 1.4 | |
1DFG‑DE‑BGD | 포츠담 | 1.4 | |
1DFG‑DE‑BGE | 콧부스 | 1.4 | |
1DFG‑DE‑BGF | 프랑크푸르트 (오데르) | 1.4 | |
1DFG‑DE‑BK | 독일 발틱해 연안과 섬 Class here: Bay of Lübeck | 1.4 | |
1DFG‑DE‑BKA | 뤼겐섬 Class here: Jasmund National Park | 1.1 | 1.4 |
1DFG‑DE‑BKB | 페마른섬 | 1.4 | |
1DFG‑DE‑BKD | 피쉬란트-다스-징스트 | 1.4 | |
1DFG‑DE‑BKF | 우제돔 섬 | 1.4 | |
1DFG‑DE‑BM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Class here: Güstrow | 1.4 | |
1DFG‑DE‑BMB | 슈베린 | 1.4 | |
1DFG‑DE‑BMC | 그라이프스발트 | 1.4 | |
1DFG‑DE‑BMD | 로스토크 | 1.4 | |
1DFG‑DE‑BMF | 슈트랄준트 | 1.4 | |
1DFG‑DE‑BMH | 비스마르 | 1.4 | |
1DFG‑DE‑BMM | 메클렌부르크 호수 고원 Class here: Neubrandenburg | 1.4 | |
1DFG‑DE‑BS | 작센안할트 Class here: Stendal, Anhalt, Altmark | 1.4 | |
1DFG‑DE‑BSB | 마그데부르크 Class here: Magdeburg Börde, Elbe-Börde-Heath, Magdeburg (region) | 1.4 | |
1DFG‑DE‑BSC | 데사우 | 1.4 | |
1DFG‑DE‑BSD | 하버슈타트 | 1.4 | |
1DFG‑DE‑BSF | 할레 (잘레) | 1.4 | |
1DFG‑DE‑BSG | 루터슈타트 비텐베르크 | 1.4 | |
1DFG‑DE‑BSH | 크베들린부르크 | 1.4 | |
1DFG‑DE‑BSK | 베르니게로데 | 1.4 | |
1DFG‑DE‑F | 독일 동부 | ||
1DFG‑DE‑FS | 작센 Class here: Elster, Saxon Ore Mountains | 1.4 | |
1DFG‑DE‑FSA | 라이프치히 | 1.1 | |
1DFG‑DE‑FSB | 드레스덴 | 1.1 | |
1DFG‑DE‑FSC | 바우첸 See also: 1DFG-DE-XA 오버라우지츠 | 1.4 | |
1DFG‑DE‑FSD | 괴를리츠 | 1.4 | |
1DFG‑DE‑FSE | 켐니츠 | 1.4 | |
1DFG‑DE‑FSF | 프라이베르크 | 1.4 | |
1DFG‑DE‑FSG | 플라우엔 | 1.4 | |
1DFG‑DE‑FSH | 츠비카우 | 1.4 | |
1DFG‑DE‑FSN | 작센 슈바이츠 국립공원 Class here: Elbe Sandstone Mountains | 1.4 | |
1DFG‑DE‑FT | 튀링겐 Class here: Gera, Mühlhausen, Nordhausen, Eichsfeld-Hainich-Werratal nature parks, Hainich National Park, Kyffhäuser | 1.4 | |
1DFG‑DE‑FTB | 에르푸르트 | 1.4 | |
1DFG‑DE‑FTD | 튀링겐 숲 | 1.4 | |
1DFG‑DE‑FTDB | 아이제나흐 | 1.4 | |
1DFG‑DE‑FTH | 예나 | 1.4 | |
1DFG‑DE‑FTJ | 바이마르 | 1.4 | |
1DFG‑DE‑T | 독일 남동부 | ||
1DFG‑DE‑TB | 바이에른 See also: 1DFG-DE-XB 슈바벤 | ||
1DFG‑DE‑TBA | 니더바이에른 | 1.1 | |
1DFG‑DE‑TBAB | 파사우 | 1.4 | |
1DFG‑DE‑TBB | 오버바이에른 Class here: Ammersee, Lake Ammer See also: 1DFG-DE-XB 슈바벤 | 1.1 | 1.4 |
1DFG‑DE‑TBBB | 베르히테스가덴 주 Class here: Berchtesgaden National Park | 1.4 | |
1DFG‑DE‑TBBBA | 베르히테스가덴 | 1.4 | |
1DFG‑DE‑TBBD | 잉골슈타트 | 1.4 | |
1DFG‑DE‑TBBF | 침가우 Class here: Chiemsee | 1.4 | |
1DFG‑DE‑TBBG | 슈타른베르크 호 | 1.4 | |
1DFG‑DE‑TBBH | 테게른제 Class here: Tegernsee (City) | 1.4 | |
1DFG‑DE‑TBC | 뮌헨 | 1.1 | |
1DFG‑DE‑TBD | 뉘른베르크 | 1.1 | |
1DFG‑DE‑TBF | 프랑코니아 Class here: Steigerwald | 1.4 | |
1DFG‑DE‑TBFC | 오버프랑켄 | 1.4 | |
1DFG‑DE‑TBFCB | 밤베르크 | 1.4 | |
1DFG‑DE‑TBFCD | 바이로이트 | 1.4 | |
1DFG‑DE‑TBFM | 미텔프랑켄 | 1.4 | |
1DFG‑DE‑TBFMB | 퓌르트 | 1.4 | |
1DFG‑DE‑TBFMD | 로텐부르크오프데어타우버 | 1.4 | |
1DFG‑DE‑TBFV | 운터프랑켄 | 1.4 | |
1DFG‑DE‑TBFVB | 아샤펜부르크 | 1.4 | |
1DFG‑DE‑TBFVD | 뷔르츠부르크 | 1.4 | |
1DFG‑DE‑TBH | 아우크스부르크 See also: 1DFG-DE-XB 슈바벤 | 1.4 | |
1DFG‑DE‑TBJ | 퓌센 See also: 1DFG-DE-XB 슈바벤 | 1.4 | |
1DFG‑DE‑TBK | 켐프텐 See also: 1DFG-DE-XB 슈바벤 | 1.4 | |
1DFG‑DE‑TBL | 린다우 See also: 1DFG-DE-XB 슈바벤 | 1.4 | |
1DFG‑DE‑TBM | 오버팔츠 | 1.4 | |
1DFG‑DE‑TBMB | 레겐스부르크 | 1.4 | |
1DFG‑DE‑TBN | 알트뮐탈 Class here: Altmühl | 1.4 | |
1DFG‑DE‑TBP | 바바리안 숲 | 1.4 | |
1DFG‑DE‑U | 독일 남서부 | ||
1DFG‑DE‑UB | 바덴뷔르템베르크 Class here: Pforzheim, Kraichgau, Tauber Franconia, Rhine-Neckar region | 1.4 | |
1DFG‑DE‑UBA | 슈투트가르트 | 1.1 | |
1DFG‑DE‑UBC | 브라이스가우 Class here: Kaiserstuhl | 1.4 | |
1DFG‑DE‑UBCF | 프라이부르크 | 1.4 | |
1DFG‑DE‑UBE | 팔츠 선제후국 | 1.4 | |
1DFG‑DE‑UBEB | 하이델베르크 | 1.4 | |
1DFG‑DE‑UBED | 만하임 | 1.4 | |
1DFG‑DE‑UBG | 하일브론 | 1.4 | |
1DFG‑DE‑UBJ | 카를스루에 | 1.4 | |
1DFG‑DE‑UBL | 콘스탄츠 | 1.4 | |
1DFG‑DE‑UBP | 슈바 벤 주라 | 1.4 | |
1DFG‑DE‑UBPB | 로이틀링겐 | 1.4 | |
1DFG‑DE‑UBPD | 울름 | 1.4 | |
1DFG‑DE‑UBR | 징겐 | 1.4 | |
1DFG‑DE‑UBT | 튀빙겐 | 1.4 | |
1DFG‑DE‑UH | 헤세 Class here: Fulda, Limburg (Lahn), Marburg, Vogelsberg, Wetterau, Rhine-Main Region | 1.4 | |
1DFG‑DE‑UHA | 프랑크푸르트 | 1.1 | |
1DFG‑DE‑UHC | 라인가우 | 1.4 | |
1DFG‑DE‑UHCW | 비스바덴 | 1.4 | |
1DFG‑DE‑UHE | 다름슈타트 | 1.4 | |
1DFG‑DE‑UHP | 카셀 | 1.4 | |
1DFG‑DE‑UHT | 타우누스 | 1.4 | |
1DFG‑DE‑UR | 라인란트팔츠 Class here: Hunsrück | 1.4 | |
1DFG‑DE‑URA | 팔츠 Class here: Ludwigshafen, Neustadt an der Weinstrasse, Bad Dürkheim | 1.1 | 1.4 |
1DFG‑DE‑URAS | 슈파이어 | 1.4 | |
1DFG‑DE‑URC | 레니쉬 헤세 Class here: Bingen am Rhein, Ingelheim am Rhein | 1.4 | |
1DFG‑DE‑URCM | 마인츠 | 1.4 | |
1DFG‑DE‑URCW | 보름스 | 1.4 | |
1DFG‑DE‑URK | 코블렌츠 | 1.4 | |
1DFG‑DE‑URT | 트리어 | 1.4 | |
1DFG‑DE‑US | 자를란트 | ||
1DFG‑DE‑V | 독일 북서부 | ||
1DFG‑DE‑VA | 독일어 북해 해안 및 섬 Class here: North Frisian Islands, Halligen | 1.4 | |
1DFG‑DE‑VAF | 헬골란트 섬 | 1.4 | |
1DFG‑DE‑VAN | 노르트프리지아 | 1.4 | |
1DFG‑DE‑VANF | 푀르 섬 | 1.4 | |
1DFG‑DE‑VANS | 질트 | 1.4 | |
1DFG‑DE‑VAP | 오스트프리지아 Class here: East Frisian Islands | 1.4 | |
1DFG‑DE‑VB | 브레멘 Use for: the city or the federal state, as well as in historical contexts | 1.4 | |
1DFG‑DE‑VBC | 브레머하펜 | 1.4 | |
1DFG‑DE‑VH | 함부르크 Use for: the city or the federal state, as well as in historical contexts | 1.4 | |
1DFG‑DE‑VN | 니더작센 | ||
1DFG‑DE‑VNA | 하노버 | 1.1 | |
1DFG‑DE‑VNB | 벤트란트 (하노버) | 1.4 | |
1DFG‑DE‑VNC | 브라운슈바이크 | 1.4 | |
1DFG‑DE‑VND | 뤼네부르크 히스 | 1.4 | |
1DFG‑DE‑VNDB | 첼레 | 1.4 | |
1DFG‑DE‑VNDD | 뤼네부르크 | 1.4 | |
1DFG‑DE‑VNE | 고슬라 | 1.4 | |
1DFG‑DE‑VNF | 괴팅겐 | 1.4 | |
1DFG‑DE‑VNG | 힐데스하임 | 1.4 | |
1DFG‑DE‑VNH | 올덴부르크 | 1.4 | |
1DFG‑DE‑VNK | 오스나브뤼크 | 1.4 | |
1DFG‑DE‑VR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 ||
1DFG‑DE‑VRA | 아헨 | 1.4 | |
1DFG‑DE‑VRB | 뒤셀도르프 | 1.1 | |
1DFG‑DE‑VRC | 쾰른 | 1.1 | |
1DFG‑DE‑VRD | 도르트문트 | 1.1 | |
1DFG‑DE‑VRE | 에센 | 1.1 | |
1DFG‑DE‑VRG | 본 | 1.4 | |
1DFG‑DE‑VRH | 뮌스터란트 | 1.4 | |
1DFG‑DE‑VRHM | 뮌스터 | 1.4 | |
1DFG‑DE‑VRJ | 지겐 | 1.4 | |
1DFG‑DE‑VRK | 오스트베스트팔렌-리페 | 1.4 | |
1DFG‑DE‑VRKB | 빌레펠트 | 1.4 | |
1DFG‑DE‑VRKP | 파더보른 | 1.4 | |
1DFG‑DE‑VRL | 베르기셰스 란트 | 1.4 | |
1DFG‑DE‑VRLB | 졸링겐 | 1.4 | |
1DFG‑DE‑VRLD | 부퍼탈 | 1.4 | |
1DFG‑DE‑VRM | 니더라인 | 1.4 | |
1DFG‑DE‑VRN | 자우어란트 | 1.4 | |
1DFG‑DE‑VRR | 루르 지방 | 1.1 | |
1DFG‑DE‑VRRB | 보훔 | 1.4 | |
1DFG‑DE‑VRRD | 뒤스부르크 | 1.4 | |
1DFG‑DE‑VS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 ||
1DFG‑DE‑X | 독일: 명소 | 1.1 | 1.4 |
1DFG‑DE‑XA | 오버라우지츠 See also: 1DFG-DE-FSC 바우첸 | 1.1 | |
1DFG‑DE‑XB | 슈바벤 | 1.1 | |
1DFG‑DE‑XC | 알고이 | 1.1 | |
1DFG‑DE‑XD | 로타아 산 | 1.4 | |
1DFG‑DE‑XE | 오덴발트 산맥 | 1.4 | |
1DFG‑DE‑XEB | 베르크슈트라세 | 1.4 | |
1DFG‑DE‑XF | 토이토부르크 숲 | 1.4 | |
1DFG‑DE‑XG | 베스터발트 | 1.4 | |
1DFG‑DE‑XH | 슈페사르트 | 1.4 | |
1DFH | 스위스 | ||
1DFH‑CH‑C | 에스파스 중부지대 | ||
1DFH‑CH‑CB | 베른 Class here: Biel / Bienne (lake and town), Bielersee, Burgdorf, Emmental, Gstaad. Use for: city or Canton | 1.4 | |
1DFH‑CH‑CBB | 베른 오버란트(알프스) Class here: Lake Brienz | 1.4 | |
1DFH‑CH‑CBBD | 인터라켄 | 1.4 | |
1DFH‑CH‑CBBG | 그린델발트 | 1.4 | |
1DFH‑CH‑CBBT | 툰 Class here: Lake Thun | 1.4 | |
1DFH‑CH‑CF | 프리부르 Class here: Greyerz / Gruyères, Murten / Morat (lake and town). Use for: city or Canton | 1.4 | |
1DFH‑CH‑CJ | 쥐라 (칸톤) Class here: Delsberg / Delémont | 1.4 | |
1DFH‑CH‑CN | 뇌샤텔 Class here: Lake Neuchâtel. Use for: city or Canton | 1.4 | |
1DFH‑CH‑CS | 졸로투른 Class here: Olten, Weissenstein. Use for: city or Canton | 1.4 | |
1DFH‑CH‑G | 제네바 호수 지역 | 1.2.6 | |
1DFH‑CH‑GG | 제네바 Use for: city or Canton | 1.4 | |
1DFH‑CH‑GV | 보 Class here: Nyon, Vevey, Yverdon-les-Bains, La Côte, Vallée de Joux | 1.4 | |
1DFH‑CH‑GVL | 로잔 | 1.2.8 | |
1DFH‑CH‑GVM | 몽트뢰 | 1.4 | |
1DFH‑CH‑GW | 발레 (스위스 주) Class here: Brig, Saas-Fee, Sion | 1.4 | |
1DFH‑CH‑GWB | 체르마트 | 1.4 | |
1DFH‑CH‑N | 스위스 북서부 | 1.2.6 | |
1DFH‑CH‑NA | 아르가우 Class here: Lenzburg | 1.4 | |
1DFH‑CH‑NAB | 아라우 | 1.4 | |
1DFH‑CH‑NB | 바젤란트 | 1.2.6 | |
1DFH‑CH‑NBL | 리스탈 | 1.4 | |
1DFH‑CH‑ND | 바젤 슈타트 Use for: city or Canton | 1.4 | |
1DFH‑CH‑P | 스위스 동부 Class here: Appenzellerland, Appenzell Alps | 1.4 | |
1DFH‑CH‑PC | 아펜첼이너로덴 | 1.4 | |
1DFH‑CH‑PD | 아펜첼아우서로덴 Class here: Herisau, Trogen | 1.4 | |
1DFH‑CH‑PG | 글라루스 Class here: Glarus Alps. Use for: city or Canton | 1.4 | |
1DFH‑CH‑PK | 그라우뷘덴 Class here: Arosa, Münstertal / Val Müstair, Prättigau, Klosters, Surselva, Grischun, Grigioni | 1.4 | |
1DFH‑CH‑PKA | 쿠르 | 1.4 | |
1DFH‑CH‑PKB | 다보스 | 1.4 | |
1DFH‑CH‑PKM | 엥가단 Class here: Maloja Pass, Albula Pass, Flüela Pass, Julier Pass, Maloja Pass, Ofen Pass / Fuorn Pass | 1.4 | |
1DFH‑CH‑PKMB | 생모리츠 | 1.4 | |
1DFH‑CH‑PN | 장크트갈렌 Class here: Rapperswil. Use for: city or Canton | 1.4 | |
1DFH‑CH‑PNH | 토겐부르크 Class here: Wildhaus | 1.4 | |
1DFH‑CH‑PP | 샤프하우젠 Class here: Stein am Rhein. Use for: city or Canton | 1.4 | |
1DFH‑CH‑PR | 투르가우 Class here: Frauenfeld | 1.4 | |
1DFH‑CH‑PZ | 스위스 동부: 명소 Class here: Lake Walen / Lake Walenstadt | 1.4 | |
1DFH‑CH‑PZB | 센티스 Class here: Alpstein Massif | 1.4 | |
1DFH‑CH‑R | 티치노 Class here: Valle Verzasca | 1.4 | |
1DFH‑CH‑RA | 아스코나 Class here: Monte Verità | 1.4 | |
1DFH‑CH‑RC | 벨린초나 | 1.4 | |
1DFH‑CH‑RE | 로카르노 | 1.4 | |
1DFH‑CH‑RG | 루가노 | 1.4 | |
1DFH‑CH‑U | 스위스 중부 | 1.2.6 | |
1DFH‑CH‑UL | 루체른 Class here: Entlebuch, Sempachersee, Lake Sempach. Use for: city or Canton | 1.4 | |
1DFH‑CH‑UN | 니트발덴 Class here: Stans | 1.4 | |
1DFH‑CH‑UO | 옵발덴 Class here: Engelberg, Sarnen | 1.4 | |
1DFH‑CH‑US | 슈비츠 Class here: Lake Lauerz, Sihlsee / Lake Sihl, Muotatal, Stoos, Einsiedeln. Use for: city or Canton | 1.4 | |
1DFH‑CH‑UU | 우리 Class here: Altdorf, Andermatt | 1.4 | |
1DFH‑CH‑UV | 추크 Class here: Lake Zug. Use for: city or Canton | 1.4 | |
1DFH‑CH‑UZ | 중부 수위스: 명소 Class here: Mount Pilatus, Mount Titlis | 1.4 | |
1DFH‑CH‑UZD | 루체른 호 Class here: the lake and its surrounding area | 1.4 | |
1DFH‑CH‑X | 취리히 Class here: Zürcher Oberland. Use for: city, Canton or region | 1.4 | |
1DFH‑CH‑XB | 빈터투어 | 1.4 | |
1DFH‑CH‑Z | 스위스: 명소 Class here: River Aare, River Reuss, Seetal, Lake Hallwil, Lake Baldegg | 1.4 | |
1DFH‑CH‑ZS | 취리히 호 Class here: the lake and its surrounding area | 1.4 | |
1DFL | 리히텐슈타인 | ||
1DN | 북유럽, 스칸디나비아 | ||
1DNC | 아이슬란드 | ||
1DNC‑IS‑R | 레이캬비크 | 1.2.8 | |
1DND | 덴마크 | ||
1DNDF | 패로제도 | ||
1DNDF‑FO‑T | Thorshavn | 1.1.2 | |
1DND‑DK‑B | Bornholm | 1.1.2 | |
1DND‑DK‑F | Funen and islands | 1.1.2 | |
1DND‑DK‑FO | Odense | 1.1.2 | |
1DND‑DK‑J | Jutland | 1.1.2 | |
1DND‑DK‑JE | Esbjerg | 1.1.2 | |
1DND‑DK‑JL | Alborg | 1.1.2 | |
1DND‑DK‑JR | Arhus | 1.1.2 | |
1DND‑DK‑L | Lolland-Falster | 1.1.2 | |
1DND‑DK‑S | Zealand | 1.1.2 | |
1DND‑DK‑SK | Copenhagen | 1.1.2 | |
1DND‑DK‑SR | Roskilde | 1.1.2 | |
1DNF | 핀란드 | ||
1DNF‑FI‑A | Southwest Finland Use for: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s as well as administrative | 1.3.2 | |
1DNF‑FI‑AA | Turku | 1.3.2 | |
1DNF‑FI‑AB | Turku archipelago | 1.3.2 | |
1DNF‑FI‑B | Åland | 1.3.2 | |
1DNF‑FI‑BA | Mariehamn | 1.3.2 | |
1DNF‑FI‑C | Uusimaa Use for: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s as well as administrative | 1.3.2 | |
1DNF‑FI‑CA | West Uusimaa | 1.3.2 | |
1DNF‑FI‑CB | Helsinki Region | 1.3.2 | |
1DNF‑FI‑CBA | Helsinki Class here: Suomenlinna | 1.3.2 | |
1DNF‑FI‑CBB | Espoo | 1.3.2 | |
1DNF‑FI‑CBC | Vantaa | 1.3.2 | |
1DNF‑FI‑CC | East Uusimaa | 1.3.2 | |
1DNF‑FI‑CCA | Porvoo | 1.3.2 | |
1DNF‑FI‑D | Häme Use for: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s as well as administrative. Class here: Tavastia | 1.3.2 | |
1DNF‑FI‑DA | Kanta-Häme | 1.3.2 | |
1DNF‑FI‑DAA | Hämeenlinna | 1.3.2 | |
1DNF‑FI‑DB | Päijät-Häme | 1.3.2 | |
1DNF‑FI‑DBA | Lahti | 1.3.2 | |
1DNF‑FI‑DC | Pirkanmaa | 1.3.2 | |
1DNF‑FI‑DCA | Tampere | 1.3.2 | |
1DNF‑FI‑DD | Central Finland | 1.3.2 | |
1DNF‑FI‑DDA | Jyväskylä | 1.3.2 | |
1DNF‑FI‑H | Satakunta Use for: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s as well as administrative | 1.3.2 | |
1DNF‑FI‑HA | Pori | 1.3.2 | |
1DNF‑FI‑HB | Rauma | 1.3.2 | |
1DNF‑FI‑J | Savonia Use for: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s as well as administrative | 1.3.2 | |
1DNF‑FI‑JA | Southern Savonia | 1.3.2 | |
1DNF‑FI‑JAB | Mikkeli | 1.3.2 | |
1DNF‑FI‑JB | Northern Savonia | 1.3.2 | |
1DNF‑FI‑JBK | Kuopio | 1.3.2 | |
1DNF‑FI‑K | Karelia Use for: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s as well as administrative | 1.3.2 | |
1DNF‑FI‑KA | South Karelia | 1.3.2 | |
1DNF‑FI‑KAB | Lappeenranta | 1.3.2 | |
1DNF‑FI‑KB | North Karelia | 1.3.2 | |
1DNF‑FI‑KBA | Joensuu | 1.3.2 | |
1DNF‑FI‑L | Kymenlaakso Use for: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s as well as administrative | 1.3.2 | |
1DNF‑FI‑LA | Kouvola | 1.3.2 | |
1DNF‑FI‑LB | Kotka | 1.3.2 | |
1DNF‑FI‑M | Ostrobothnia Use for: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s as well as administrative | 1.3.2 | |
1DNF‑FI‑MA | Vaasa | 1.3.2 | |
1DNF‑FI‑N | North Ostrobothnia Use for: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s as well as administrative | 1.3.2 | |
1DNF‑FI‑NA | Oulu | 1.3.2 | |
1DNF‑FI‑P | Central Ostrobothnia | 1.3.2 | |
1DNF‑FI‑PA | Kokkola | 1.3.2 | |
1DNF‑FI‑Q | South Ostrobothnia Use for: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s as well as administrative | 1.3.2 | |
1DNF‑FI‑QA | Seinäjoki | 1.3.2 | |
1DNF‑FI‑R | Kainuu Use for: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s as well as administrative | 1.3.2 | |
1DNF‑FI‑RA | Kajaani | 1.3.2 | |
1DNF‑FI‑S | Lappi Class here: Finnish ‘Lapland’ | 1.3.2 | |
1DNF‑FI‑SA | Rovaniemi | 1.3.2 | |
1DNF‑FI‑SB | Sámi native region of Finland | 1.3.2 | |
1DNN | 노르웨이 | ||
1DNN‑NO‑D | Northern Norway (Nord-Norge) | ||
1DNN‑NO‑DA | Troms and Finnmark Use for: merger of Troms and Finnmark to ‘Troms and Finnmark’ | 1.4 | |
1DNN‑NO‑DF | Finnmark | 1.4 | |
1DNN‑NO‑DFA | Vardø | 1.4 | |
1DNN‑NO‑DFB | Kirkenes Class here: Sør-Varanger | 1.4 | |
1DNN‑NO‑DFC | Alta | 1.4 | |
1DNN‑NO‑DFD | Hammerfest Class here: Kvalsund | 1.4 | |
1DNN‑NO‑DFG | Honningsvåg | 1.4 | |
1DNN‑NO‑DFK | North Cape Class here: Knivskjellodden, Honningsvåg | 1.4 | |
1DNN‑NO‑DFV | Vadsø | 1.2.6 | |
1DNN‑NO‑DT | Troms | 1.4 | |
1DNN‑NO‑DTB | Harstad Class here: Hinnøya | 1.4 | |
1DNN‑NO‑DTD | Finnsnes Class here: Senja | 1.4 | |
1DNN‑NO‑DTR | Tromsø | 1.2.6 | |
1DNN‑NO‑DL | Nordland | ||
1DNN‑NO‑DLB | Bodø | 1.2.6 | |
1DNN‑NO‑DLD | Fauske | 1.4 | |
1DNN‑NO‑DLF | Lofoten and Vesterålen | 1.4 | |
1DNN‑NO‑DLFA | Sortland | 1.4 | |
1DNN‑NO‑DLFB | Stokmarknes | 1.4 | |
1DNN‑NO‑DLFC | Leknes | 1.4 | |
1DNN‑NO‑DLFD | Svolvær | 1.4 | |
1DNN‑NO‑DLG | Helgeland Class here: Vega | 1.4 | |
1DNN‑NO‑DLGA | Mo i Rana | 1.4 | |
1DNN‑NO‑DLGB | Mosjøen | 1.4 | |
1DNN‑NO‑DLGC | Sandnessjøen | 1.4 | |
1DNN‑NO‑DLGD | Brønnøysund | 1.4 | |
1DNN‑NO‑DLN | Narvik | ||
1DNN‑NO‑J | Southern Norway (Sørlandet) | 1.2.6 | |
1DNN‑NO‑JB | Agder Use for: merged county of Aust-Agder and Vest-Agder as Agder | 1.4 | |
1DNN‑NO‑JA | Aust-Agder | 1.4 | |
1DNN‑NO‑JAB | Grimstad | 1.4 | |
1DNN‑NO‑JAC | Tvedestrand | 1.4 | |
1DNN‑NO‑JAD | Risør | 1.4 | |
1DNN‑NO‑JAL | Arendal | ||
1DNN‑NO‑JG | Vest-Agder | 1.4 | |
1DNN‑NO‑JGF | Farsund | ||
1DNN‑NO‑JGK | Kristiansand | ||
1DNN‑NO‑JGL | Lillesand | 1.4 | |
1DNN‑NO‑JGM | Lyngdal | 1.4 | |
1DNN‑NO‑JGN | Mandal | 1.4 | |
1DNN‑NO‑JGP | Flekkefjord | 1.4 | |
1DNN‑NO‑T | Trøndelag | 1.2.6 | |
1DNN‑NO‑TD | Nord-Trøndelag | 1.2.6 | |
1DNN‑NO‑TDA | Levanger | 1.4 | |
1DNN‑NO‑TDB | Namsos | 1.4 | |
1DNN‑NO‑TDC | Kolvereid | 1.4 | |
1DNN‑NO‑TDD | Stjørdal | 1.4 | |
1DNN‑NO‑TDE | Verdal Class here: Verdalsøra | 1.4 | |
1DNN‑NO‑TDS | Steinkjer | ||
1DNN‑NO‑TR | Sør-Trøndelag | 1.2.6 | |
1DNN‑NO‑TRA | Orkanger | 1.4 | |
1DNN‑NO‑TRB | Brekstad | 1.4 | |
1DNN‑NO‑TRC | Røros | 1.4 | |
1DNN‑NO‑TRH | Trondheim | ||
1DNN‑NO‑V | Western Norway (Vestlandet) | ||
1DNN‑NO‑VA | Vestland Use for: merged county of Sogn and Fjordane and Hordaland as Vestland | 1.4 | |
1DNN‑NO‑VH | Hordaland | 1.4 | |
1DNN‑NO‑VHB | Bergen | ||
1DNN‑NO‑VHC | Stord | 1.4 | |
1DNN‑NO‑VHD | Odda | 1.4 | |
1DNN‑NO‑VM | Møre and Romsdal | 1.2.6 | |
1DNN‑NO‑VMA | Ålesund | ||
1DNN‑NO‑VMB | Fosnavåg | 1.4 | |
1DNN‑NO‑VMD | Ulsteinvik | 1.4 | |
1DNN‑NO‑VMK | Kristiansund | ||
1DNN‑NO‑VML | Molde | ||
1DNN‑NO‑VMN | Åndalsnes | 1.4 | |
1DNN‑NO‑VR | Rogaland | ||
1DNN‑NO‑VRA | Bryne | 1.4 | |
1DNN‑NO‑VRB | Eigersund | 1.4 | |
1DNN‑NO‑VRC | Haugesund | 1.4 | |
1DNN‑NO‑VRD | Jørpeland | 1.4 | |
1DNN‑NO‑VRF | Sandnes | 1.4 | |
1DNN‑NO‑VRG | Sauda | 1.4 | |
1DNN‑NO‑VRH | Skudeneshavn | 1.4 | |
1DNN‑NO‑VRJ | Kopervik | 1.4 | |
1DNN‑NO‑VRK | Åkrehamn | 1.4 | |
1DNN‑NO‑VRS | Stavanger | ||
1DNN‑NO‑VW | Sogn and Fjordane | 1.4 | |
1DNN‑NO‑VWA | Florø Class here: Flora | 1.4 | |
1DNN‑NO‑VWB | Førde | 1.4 | |
1DNN‑NO‑VWC | Måløy | 1.4 | |
1DNN‑NO‑X | Eastern Norway (Østlandet) | 1.2.6 | |
1DNN‑NO‑XC | Viken Use for: merged county of Akershus, Buskerud and Østfold as Viken | 1.4 | |
1DNN‑NO‑XA | Akershus | 1.4 | |
1DNN‑NO‑XAA | Drøbak | 1.4 | |
1DNN‑NO‑XAB | Lillestrøm | 1.4 | |
1DNN‑NO‑XAC | Sandvika | 1.4 | |
1DNN‑NO‑XAD | Ski (NO) | 1.4 | |
1DNN‑NO‑XAE | Jessheim | 1.4 | |
1DNN‑NO‑XB | Buskerud | 1.4 | |
1DNN‑NO‑XBC | Hokksund | 1.4 | |
1DNN‑NO‑XBD | Drammen | ||
1DNN‑NO‑XBH | Hønefoss | 1.4 | |
1DNN‑NO‑XBK | Kongsberg | 1.4 | |
1DNN‑NO‑XF | Oslofjorden | ||
1DNN‑NO‑XD | Innlandet Use for: merger county of Hedmark and Oppland as Innlandet | 1.4 | |
1DNN‑NO‑XH | Hedmark | 1.4 | |
1DNN‑NO‑XHA | Elverum | 1.4 | |
1DNN‑NO‑XHB | Kongsvinger | 1.4 | |
1DNN‑NO‑XHC | Brumunddal | 1.4 | |
1DNN‑NO‑XHD | Moelv | 1.4 | |
1DNN‑NO‑XHR | Hamar | ||
1DNN‑NO‑XP | Oppland | 1.4 | |
1DNN‑NO‑XPA | Fagernes | 1.4 | |
1DNN‑NO‑XPB | Gjøvik | 1.4 | |
1DNN‑NO‑XPC | Otta | 1.4 | |
1DNN‑NO‑XPD | Raufoss | 1.4 | |
1DNN‑NO‑XPE | Vinstra | 1.4 | |
1DNN‑NO‑XPL | Lillehammer | ||
1DNN‑NO‑XS | Oslo | ||
1DNN‑NO‑XR | Vestfold and Telemark | 1.4 | |
1DNN‑NO‑XT | Telemark | 1.4 | |
1DNN‑NO‑XTA | Kragerø | 1.4 | |
1DNN‑NO‑XTB | Notodden | 1.4 | |
1DNN‑NO‑XTC | Brevik | 1.4 | |
1DNN‑NO‑XTD | Porsgrunn | 1.4 | |
1DNN‑NO‑XTE | Rjukan | 1.4 | |
1DNN‑NO‑XTF | Langesund | 1.4 | |
1DNN‑NO‑XTG | Stathelle | 1.4 | |
1DNN‑NO‑XTK | Skien | ||
1DNN‑NO‑XV | Vestfold | 1.4 | |
1DNN‑NO‑XVA | Holmestrand | 1.4 | |
1DNN‑NO‑XVB | Horten | 1.4 | |
1DNN‑NO‑XVC | Stavern | 1.4 | |
1DNN‑NO‑XVD | Svelvik | 1.4 | |
1DNN‑NO‑XVF | Åsgårdstrand | 1.4 | |
1DNN‑NO‑XVL | Larvik | ||
1DNN‑NO‑XVN | Sandefjord | ||
1DNN‑NO‑XVR | Tønsberg | 1.2.6 | |
1DNN‑NO‑XZ | Østfold | 1.4 | |
1DNN‑NO‑XZA | Askim | 1.4 | |
1DNN‑NO‑XZB | Mysen | 1.4 | |
1DNN‑NO‑XZF | Fredrikstad | ||
1DNN‑NO‑XZH | Halden | ||
1DNN‑NO‑XZM | Moss | ||
1DNN‑NO‑XZS | Sarpsborg | ||
1DNS | 스웨덴 | ||
1DNS‑SE‑A | 스베알란드 | ||
1DNS‑SE‑AA | 스톡홀름 | ||
1DNS‑SE‑AAA | 스톡홀름 군도 | 1.2 | |
1DNS‑SE‑AB | 우플란드 | ||
1DNS‑SE‑ABA | 웁살라 | 1.2 | |
1DNS‑SE‑AC | 쇠데르만란드 | ||
1DNS‑SE‑ACA | 뉘셰핑 | 1.2 | |
1DNS‑SE‑AD | 네르케 | ||
1DNS‑SE‑ADA | 외레브로 | 1.2 | |
1DNS‑SE‑AE | 베스트만란드 | ||
1DNS‑SE‑AEA | 베스테로스 | 1.2 | |
1DNS‑SE‑AF | 달라르나 | ||
1DNS‑SE‑AFA | 팔룬 | 1.2 | |
1DNS‑SE‑AG | 베름란드 | ||
1DNS‑SE‑AGA | 칼스타드 | 1.2 | |
1DNS‑SE‑AH | 베르그슬라겐 | 1.2 | |
1DNS‑SE‑B | 예탈란드 | ||
1DNS‑SE‑BA | 스코네 | ||
1DNS‑SE‑BAA | 말뫼 | ||
1DNS‑SE‑BAB | 외스텔렌 | 1.2 | |
1DNS‑SE‑BB | 할란드 | ||
1DNS‑SE‑BBA | 할름스타드 | 1.2 | |
1DNS‑SE‑BC | 블레킹에 | ||
1DNS‑SE‑BCA | 칼스크로나 | 1.2 | |
1DNS‑SE‑BD | 스몰란드 | ||
1DNS‑SE‑BDA | 벡셰 | 1.2 | |
1DNS‑SE‑BDB | 칼마르 | 1.2 | |
1DNS‑SE‑BE | 욀란드 | ||
1DNS‑SE‑BF | 고틀란드 | ||
1DNS‑SE‑BFA | 비스비 | 1.2 | |
1DNS‑SE‑BG | 외스테르예틀란드 | ||
1DNS‑SE‑BGA | 린셰핑 | 1.2 | |
1DNS‑SE‑BH | 베스테르예틀란드 | ||
1DNS‑SE‑BJ | 예테보리 | ||
1DNS‑SE‑BJA | 예테보리 군도 | 1.2 | |
1DNS‑SE‑BK | 보후슬렌 | ||
1DNS‑SE‑BL | 달슬란드 | ||
1DNS‑SE‑C | 노를란드 | ||
1DNS‑SE‑CA | 예스트리클란드 | ||
1DNS‑SE‑CAA | 예블레 | 1.2 | |
1DNS‑SE‑CB | 헬싱글란드 | ||
1DNS‑SE‑CC | 옘틀란드 | ||
1DNS‑SE‑CCA | 외스테르순드 | 1.2 | |
1DNS‑SE‑CD | 헤리에달렌 | ||
1DNS‑SE‑CE | 메델파드 | ||
1DNS‑SE‑CF | 옹에르만란드 | ||
1DNS‑SE‑CFA | 헤르뇌산드 | 1.2 | |
1DNS‑SE‑CG | 베스테르보텐 | ||
1DNS‑SE‑CGA | 우메오 | 1.2 | |
1DNS‑SE‑CH | 노르보텐 | ||
1DNS‑SE‑CHA | 룰레오 | 1.2 | |
1DNS‑SE‑CJ | 라플란드 | ||
1DNS‑SE‑CK | 토르네달렌 Class here: Meänmaa | 1.2 | |
1DS | 남부 유럽 | ||
1DSE | 스페인 | ||
1DSE‑ES‑A | 안달루시아, 자치지방 | ||
1DSE‑ES‑AA | Almeria (Province) | 1.2.5 | |
1DSE‑ES‑AAA | Almeria (City) | 1.2.5 | |
1DSE‑ES‑AB | Cadiz (Province) | 1.2.5 | |
1DSE‑ES‑ABA | Cadiz (City) | 1.2.5 | |
1DSE‑ES‑AC | Cordoba (Province) | 1.2.5 | |
1DSE‑ES‑ACA | Cordoba (City) | 1.2.5 | |
1DSE‑ES‑AD | Granada (Province) | 1.2.5 | |
1DSE‑ES‑ADA | Granada (City) | 1.2.5 | |
1DSE‑ES‑ADX | Granada: Places of interest Use for: physical features, historical and cultural areas or other places of regional interest or importance | 1.2.7 | 1.2.8 |
1DSE‑ES‑ADXA | Sierra Nevada | 1.2.7 | |
1DSE‑ES‑AE | Huelva (Province) | 1.2.5 | |
1DSE‑ES‑AEA | Huelva (City) | 1.2.5 | |
1DSE‑ES‑AF | Jaen (Province) | 1.2.5 | |
1DSE‑ES‑AFA | Jaen (City) | 1.2.5 | |
1DSE‑ES‑AG | Malaga (Province) | 1.2.5 | |
1DSE‑ES‑AGA | Malaga (City) | 1.2.5 | |
1DSE‑ES‑AGX | Malaga: Places of interest Use for: physical features, historical and cultural areas or other places of regional interest or importance | 1.2.7 | 1.2.8 |
1DSE‑ES‑AGXA | Costa del Sol | 1.2.7 | |
1DSE‑ES‑AH | Seville (Province) | 1.2.5 | |
1DSE‑ES‑AHA | Seville (City) | 1.2.5 | |
1DSE‑ES‑B | 발레아레스 제도 | ||
1DSE‑ES‑BA | Baleares (Province) | 1.2.5 | |
1DSE‑ES‑BAA | Mallorca | 1.2.5 | |
1DSE‑ES‑BAAB | Palma de Mallorca | 1.2.5 | |
1DSE‑ES‑BAB | Menorca | 1.2.5 | |
1DSE‑ES‑BABA | Mahon | 1.2.5 | |
1DSE‑ES‑BAC | Ibiza (Island) | 1.2.5 | |
1DSE‑ES‑BACA | Ibiza (City) | 1.2.5 | |
1DSE‑ES‑BAD | Formentera | 1.2.5 | |
1DSE‑ES‑C | 아라곤, 자치지방 | ||
1DSE‑ES‑CA | Huesca (Province) | 1.2.5 | |
1DSE‑ES‑CAA | Huesca (City) | 1.2.5 | |
1DSE‑ES‑CB | Teruel (Province) | 1.2.5 | |
1DSE‑ES‑CBA | Teruel (City) | 1.2.5 | |
1DSE‑ES‑CC | Zaragoza (Province) | 1.2.5 | |
1DSE‑ES‑CCA | Zaragoza (City) | 1.2.5 | |
1DSE‑ES‑D | 공국 아스투리아스 | ||
1DSE‑ES‑DA | Asturias (Province) | 1.2.5 | |
1DSE‑ES‑DAA | Oviedo | 1.2.5 | |
1DSE‑ES‑DAB | Gijon | 1.2.5 | |
1DSE‑ES‑E | 카나리아 제도 Use for: political and social aspects. Prefer: 1MTANC for geophysical, natural history and travel aspects See also: 1MTANC 카나리아제도 | ||
1DSE‑ES‑EA | Las Palmas (Province) | 1.2.5 | |
1DSE‑ES‑EAA | Gran Canaria | 1.2.5 | |
1DSE‑ES‑EAAA | Las Palmas de Gran Canaria | 1.2.5 | |
1DSE‑ES‑EAB | Fuerteventura | 1.2.5 | |
1DSE‑ES‑EAC | Lanzarote | 1.2.5 | |
1DSE‑ES‑EB | Santa Cruz de Tenerife (Province) | 1.2.5 | |
1DSE‑ES‑EBA | Tenerife | 1.2.5 | |
1DSE‑ES‑EBAA | Santa Cruz de Tenerife (City) | 1.2.5 | |
1DSE‑ES‑EBB | El Hierro | 1.2.5 | |
1DSE‑ES‑EBC | La Gomera | 1.2.5 | |
1DSE‑ES‑EBD | La Palma | 1.2.5 | |
1DSE‑ES‑F | 칸타브리아, 자치지방 | ||
1DSE‑ES‑FA | Cantabria (Province) | 1.2.5 | |
1DSE‑ES‑FAA | Santander | 1.2.5 | |
1DSE‑ES‑G | 카스티야라만차, 자치지방 | ||
1DSE‑ES‑GA | Albacete (Province) | 1.2.5 | |
1DSE‑ES‑GAA | Albacete (City) | 1.2.5 | |
1DSE‑ES‑GB | Ciudad Real (Province) | 1.2.5 | |
1DSE‑ES‑GBA | Ciudad Real (City) | 1.2.5 | |
1DSE‑ES‑GC | Cuenca (Province) | 1.2.5 | |
1DSE‑ES‑GCA | Cuenca (City) | 1.2.5 | |
1DSE‑ES‑GD | Guadalajara (Province) | 1.2.5 | |
1DSE‑ES‑GDA | Guadalajara (City) | 1.2.5 | |
1DSE‑ES‑GE | Toledo (Province) | 1.2.5 | |
1DSE‑ES‑GEA | Toledo (City) | 1.2.5 | |
1DSE‑ES‑H | 카스티야이레온, 자치지방 | ||
1DSE‑ES‑HA | Avila (Province) | 1.2.5 | |
1DSE‑ES‑HAA | Avila (City) | 1.2.5 | |
1DSE‑ES‑HB | Burgos (Province) | 1.2.5 | |
1DSE‑ES‑HBA | Burgos (City) | 1.2.5 | |
1DSE‑ES‑HC | Leon (Province) | 1.2.5 | |
1DSE‑ES‑HCA | Leon (City) | 1.2.5 | |
1DSE‑ES‑HD | Palencia (Province) | 1.2.5 | |
1DSE‑ES‑HDA | Palencia (City) | 1.2.5 | |
1DSE‑ES‑HE | Salamanca (Province) | 1.2.5 | |
1DSE‑ES‑HEA | Salamanca (City) | 1.2.5 | |
1DSE‑ES‑HF | Segovia (Province) | 1.2.5 | |
1DSE‑ES‑HFA | Segovia (City) | 1.2.5 | |
1DSE‑ES‑HG | Soria (Province) | 1.2.5 | |
1DSE‑ES‑HGA | Soria (City) | 1.2.5 | |
1DSE‑ES‑HH | Valladolid (Province) | 1.2.5 | |
1DSE‑ES‑HHA | Valladolid (City) | 1.2.5 | |
1DSE‑ES‑HJ | Zamora (Province) | 1.2.5 | |
1DSE‑ES‑HJA | Zamora (City) | 1.2.5 | |
1DSE‑ES‑J | 카탈루냐 | ||
1DSE‑ES‑JA | Barcelona (Province) | 1.2.5 | |
1DSE‑ES‑JAA | Barcelona (City) | 1.2.5 | |
1DSE‑ES‑JB | Girona (Province) | 1.2.5 | |
1DSE‑ES‑JBA | Girona (City) | 1.2.5 | |
1DSE‑ES‑JBX | Girona: Places of interest Use for: physical features, historical and cultural areas or other places of regional interest or importance | 1.2.7 | 1.2.8 |
1DSE‑ES‑JBXA | Costa Brava | 1.2.7 | |
1DSE‑ES‑JC | Lerida / Lleida (Province) | 1.2.5 | |
1DSE‑ES‑JCA | Lerida / Lleida (City) | 1.2.5 | |
1DSE‑ES‑JD | Tarragona (Province) | 1.2.5 | |
1DSE‑ES‑JDA | Tarragona (City) | 1.2.5 | |
1DSE‑ES‑K | 에스트레마두라, 자치지방 | ||
1DSE‑ES‑KA | Caceres (Province) | 1.2.5 | |
1DSE‑ES‑KAA | Caceres (City) | 1.2.5 | |
1DSE‑ES‑KB | Badajoz (Province) | 1.2.5 | |
1DSE‑ES‑KBA | Badajoz (City) | 1.2.5 | |
1DSE‑ES‑L | 갈리시아 , 자치지방 | ||
1DSE‑ES‑LA | Corunna (Province) | 1.2.5 | |
1DSE‑ES‑LAA | Corunna (City) | 1.2.5 | |
1DSE‑ES‑LAB | Santiago de Compostela | 1.2.7 | |
1DSE‑ES‑LB | Lugo (Province) | 1.2.5 | |
1DSE‑ES‑LBA | Lugo (City) | 1.2.5 | |
1DSE‑ES‑LC | Orense (Province) | 1.2.5 | |
1DSE‑ES‑LCA | Orense (City) | 1.2.5 | |
1DSE‑ES‑LD | Pontevedra (Province) | 1.2.5 | |
1DSE‑ES‑LDA | Pontevedra (City) | 1.2.5 | |
1DSE‑ES‑M | 마드리드 | ||
1DSE‑ES‑MA | Madrid (Province) | 1.2.5 | |
1DSE‑ES‑MAA | Madrid (City) | 1.2.5 | |
1DSE‑ES‑N | 무르시아 | ||
1DSE‑ES‑NA | Murcia (Province) | 1.2.5 | |
1DSE‑ES‑NAA | Murcia (City) | 1.2.5 | |
1DSE‑ES‑Q | 나바라 | ||
1DSE‑ES‑QA | Navarre | 1.2.5 | |
1DSE‑ES‑QAB | Pamplona | 1.2.5 | |
1DSE‑ES‑R | 빠이스 바스꼬, 자치지방 | ||
1DSE‑ES‑RA | Alava | 1.2.5 | |
1DSE‑ES‑RAA | Vitoria | 1.2.5 | |
1DSE‑ES‑RB | Guipuzcoa | 1.2.5 | |
1DSE‑ES‑RBA | San Sebastian | 1.2.5 | |
1DSE‑ES‑RC | Biscay | 1.2.5 | |
1DSE‑ES‑RCA | Bilbao | 1.2.5 | |
1DSE‑ES‑S | 라 리오하, 자치지방 | ||
1DSE‑ES‑SA | Logroño (Province) | 1.2.5 | |
1DSE‑ES‑SAA | Logroño (City) | 1.2.5 | |
1DSE‑ES‑T | 발렌시아 | ||
1DSE‑ES‑TA | Alicante (Province) | 1.2.5 | |
1DSE‑ES‑TAA | Alicante (City) | 1.2.5 | |
1DSE‑ES‑TAX | Alicante: Places of interest Use for: physical features, historical and cultural areas or other places of regional interest or importance | 1.2.7 | 1.2.8 |
1DSE‑ES‑TAXA | Costa Blanca | 1.2.7 | |
1DSE‑ES‑TB | Castellon (Province) | 1.2.5 | |
1DSE‑ES‑TBA | Castellon (City) | 1.2.5 | |
1DSE‑ES‑TC | Valencia (Province) | 1.2.5 | |
1DSE‑ES‑TCA | Valencia (City) | 1.2.5 | |
1DSE‑ES‑U | 세우타, 자치지방 | ||
1DSE‑ES‑V | 멜리아, 자치지방 | ||
1DSE‑ES‑X | 스페인: 명소 Use for: physical features, historical and cultural areas or other places of national interest or importance | 1.2.7 | 1.2.8 |
1DSE‑ES‑XA | 산티아고 순례길 Class here: The pilgrim trail, El Camino de Santiago | 1.2.7 | |
1DSE‑ES‑XB | 라 만차 | 1.2.7 | |
1DSE‑ES‑XC | 칸타브리아 산 | 1.2.7 | |
1DSG | 지브롤터 | ||
1DSM | 몰타 | ||
1DSM‑MT‑G | Gozo | 1.2.8 | |
1DSN | 안도라 | ||
1DSP | 포르투갈 | ||
1DSP‑PT‑B | Norte (Northern Portugal) | 1.2.8 | |
1DSP‑PT‑BP | Porto | 1.2.8 | |
1DSP‑PT‑C | Centro (Central Portugal) | 1.2.8 | |
1DSP‑PT‑L | Lisboa (Region) | 1.2.8 | |
1DSP‑PT‑LL | Lisbon | 1.2.8 | |
1DSP‑PT‑LS | Sintra | 1.2.8 | |
1DSP‑PT‑N | Alentejo | 1.2.8 | |
1DSP‑PT‑P | Algarve | 1.2.8 | |
1DSP‑PT‑PF | Faro | 1.2.8 | |
1DSP‑PT‑R | Madeira – Autonomous Region Use for: political and social aspects. Prefer: 1MTANM for geophysical, natural history and travel aspects | 1.2.8 | |
1DSP‑PT‑RF | Funchal | 1.2.8 | |
1DSP‑PT‑T | Azores – Autonomous Region Use for: political and social aspects. Prefer: 1MTANZ for geophysical, natural history and travel aspects | 1.2.8 | |
1DST | 이탈리아 | ||
1DST‑IT‑N | 이탈리아 북부 | ||
1DST‑IT‑NA | 발레다오스타 | 1.2.8 | |
1DST‑IT‑NF | 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 | ||
1DST‑IT‑NFG | 고리치아 | ||
1DST‑IT‑NFP | 포르데노네 | ||
1DST‑IT‑NFT | 트리에스테 | ||
1DST‑IT‑NFU | 우디네 | ||
1DST‑IT‑NG | 리구리아 | ||
1DST‑IT‑NGA | 제노바 | ||
1DST‑IT‑NGM | 임페리아 | ||
1DST‑IT‑NGS | 사보나 | ||
1DST‑IT‑NGZ | 라스페치아 | ||
1DST‑IT‑NL | 롬바르디아 | 1.2.8 | |
1DST‑IT‑NLA | 바레세 | ||
1DST‑IT‑NLB | 베르가모 | ||
1DST‑IT‑NLC | 코모 | ||
1DST‑IT‑NLD | 로디 | ||
1DST‑IT‑NLE | 레코 | ||
1DST‑IT‑NLM | 밀라노 | ||
1DST‑IT‑NLN | 손드리오 | ||
1DST‑IT‑NLR | 크레모나 | ||
1DST‑IT‑NLS | 브레시아 | ||
1DST‑IT‑NLT | 만토바 | 1.2.8 | |
1DST‑IT‑NLV | 파비아 | ||
1DST‑IT‑NLZ | 몬차에브리안차 | 1.2.8 | |
1DST‑IT‑NP | 피에몬테 | 1.2.8 | |
1DST‑IT‑NPA | 알레산드리아 | ||
1DST‑IT‑NPL | 비엘라 | ||
1DST‑IT‑NPN | 노바라 | ||
1DST‑IT‑NPR | 베르첼리 | ||
1DST‑IT‑NPS | 아스티 | ||
1DST‑IT‑NPT | 토리노 | ||
1DST‑IT‑NPU | 쿠네오 | ||
1DST‑IT‑NPV | 베르바노쿠시오오솔라 현 | 1.2.8 | |
1DST‑IT‑NT | 트렌티노알토아디제 Class here: South Tyrol | 1.2.8 | |
1DST‑IT‑NTR | 트렌토 | ||
1DST‑IT‑NTZ | 볼차노 | ||
1DST‑IT‑NV | 베네토 | ||
1DST‑IT‑NVD | 파도바 | ||
1DST‑IT‑NVE | 베네치아 | ||
1DST‑IT‑NVN | 베로나 | ||
1DST‑IT‑NVR | 로비고 | ||
1DST‑IT‑NVS | 트레비 | ||
1DST‑IT‑NVU | 벨루노 | ||
1DST‑IT‑NVZ | 비첸차 | ||
1DST‑IT‑NZ | 이탈리아 북부: 명소 Use for: physical features, historical and cultural areas or other places of regional interest or importance | 1.2.8 | |
1DST‑IT‑NZB | 북부 아펜니오 산맥 Preferred code: use instead of 1DZT-IT-A | 1.2.8 | 1.3 |
1DST‑IT‑NZD | 돌로미테 알프스 | 1.2.8 | |
1DST‑IT‑NZL | 이탈리아 호주 지역 Class here: Lakes Orta, Lugano, Idro | 1.2.8 | |
1DST‑IT‑NZLC | 코모호 | 1.2.8 | |
1DST‑IT‑NZLG | 가르다호 | 1.2.8 | |
1DST‑IT‑NZLM | 마조레 호주 | 1.2.8 | |
1DST‑IT‑NZLQ | 이세오호 | 1.2.8 | |
1DST‑IT‑NZP | 포강 및 지류 Class here: the river, its tributaries, its valley and delta. Preferred code: use instead of 1DZA-IT-A | 1.2.8 | 1.3 |
1DST‑IT‑T | 이탈리아 중부 | ||
1DST‑IT‑TG | 에밀리아로마냐 | ||
1DST‑IT‑TGB | 볼로냐 | ||
1DST‑IT‑TGC | 포를리체세나 | ||
1DST‑IT‑TGF | 페라라 | ||
1DST‑IT‑TGM | 모데나 | ||
1DST‑IT‑TGN | 리미니 | ||
1DST‑IT‑TGP | 파르마 | ||
1DST‑IT‑TGR | 레조넬에밀리아 | 1.2.8 | |
1DST‑IT‑TGV | 라벤나 | ||
1DST‑IT‑TGZ | 피아첸차 | ||
1DST‑IT‑TM | 마르케 | ||
1DST‑IT‑TMA | 안코나 | ||
1DST‑IT‑TMF | 페르모 | ||
1DST‑IT‑TMP | 페사로에우르비노 | 1.2.8 | |
1DST‑IT‑TMS | 아스콜리피체노 | ||
1DST‑IT‑TMT | 마체라타 | ||
1DST‑IT‑TR | 움브리아 | ||
1DST‑IT‑TRP | 페루자 Class here: Assisi | 1.2.8 | |
1DST‑IT‑TRPT | 트라시메노 호 | 1.2.8 | |
1DST‑IT‑TRT | 테르니 | ||
1DST‑IT‑TS | 토스카나 | ||
1DST‑IT‑TSA | 아레초 | ||
1DST‑IT‑TSE | 시에나 | ||
1DST‑IT‑TSEB | 발도르시아 Preferred code: use instead of 1DZT-IT-N | 1.2.8 | 1.3 |
1DST‑IT‑TSF | 피렌체 | ||
1DST‑IT‑TSG | 그로세토 | ||
1DST‑IT‑TSL | 리보르노 | ||
1DST‑IT‑TSLB | 엘바 | 1.2.8 | |
1DST‑IT‑TSM | 마사에카라라 | ||
1DST‑IT‑TSP | 피사 | ||
1DST‑IT‑TSR | 프라토 | ||
1DST‑IT‑TST | 피스토이아 | ||
1DST‑IT‑TSU | 루카 | ||
1DST‑IT‑TZ | 라치오 | ||
1DST‑IT‑TZF | 프로시노네 | ||
1DST‑IT‑TZL | 라티나 | ||
1DST‑IT‑TZR | 로마 | ||
1DST‑IT‑TZT | 리에티 | ||
1DST‑IT‑TZV | 비테르보 | ||
1DST‑IT‑TX | 이탈리아 중부: 명소 Use for: physical features, historical and cultural areas or other places of regional interest or importance | 1.2.8 | |
1DST‑IT‑TXA | 아르노강과 지류 Class here: the river, its tributaries, its valley, and mouth. Preferred code: use instead of 1DZA-IT-C | 1.2.8 | 1.3 |
1DST‑IT‑TXC | 티베르강과 지류 Class here: the river, its tributaries, its valley, marshes and mouth. Preferred code: use instead of 1DZA-IT-E | 1.2.8 | 1.3 |
1DST‑IT‑TXF | 중앙 아펜니노산택 Preferred code: use instead of 1DZT-IT-B | 1.2.8 | 1.3 |
1DST‑IT‑TXM | 마렘마 Preferred code: use instead of 1DZT-IT-L | 1.2.8 | 1.3 |
1DST‑IT‑U | 이탈리아 남부와 섬 | ||
1DST‑IT‑UA | 아브루초 | ||
1DST‑IT‑UAH | 키에티 | ||
1DST‑IT‑UAP | 페스카라 | ||
1DST‑IT‑UAQ | 라퀼라 | ||
1DST‑IT‑UAT | 테라모 | ||
1DST‑IT‑UC | 칼라브리아 | ||
1DST‑IT‑UCK | 크로토네 | ||
1DST‑IT‑UCR | 레조디칼라브리아 | ||
1DST‑IT‑UCS | 코센차 | ||
1DST‑IT‑UCV | 비보발렌티아 | ||
1DST‑IT‑UCZ | 카탄차로 | ||
1DST‑IT‑UD | 사르데냐 | ||
1DST‑IT‑UDC | 칼리아리 | ||
1DST‑IT‑UDG | 올리아스트라 현 | 1.2.8 | |
1DST‑IT‑UDM | 메디오캄피다노 현 | 1.2.8 | |
1DST‑IT‑UDN | 카르보니아이글레시아스 | ||
1DST‑IT‑UDR | 오리스타노 | ||
1DST‑IT‑UDS | 사사리 | ||
1DST‑IT‑UDSD | Costa Smeralda Preferred code: use instead of 1DZT-IT-T | 1.2.8 | 1.3 |
1DST‑IT‑UDT | 올비아템피오 | ||
1DST‑IT‑UDU | 누오로 | ||
1DST‑IT‑UE | 몰리세 | ||
1DST‑IT‑UEC | 캄포바소 | ||
1DST‑IT‑UES | 이세르니아 | ||
1DST‑IT‑UL | 시칠리아 | ||
1DST‑IT‑ULA | 아그리젠토 | ||
1DST‑IT‑ULC | 칼타니세타 | ||
1DST‑IT‑ULE | 엔나 | ||
1DST‑IT‑ULM | 메시나 | ||
1DST‑IT‑ULME | 아이올리스인의 섬 Class here: Stromboli, Lipari, Vulcano, Panarea, Alicudi, Filicudi | 1.2.8 | |
1DST‑IT‑ULN | 트라파니 | ||
1DST‑IT‑ULP | 팔레르모 | ||
1DST‑IT‑ULR | 라구사 | ||
1DST‑IT‑ULS | 시러쿠사 | ||
1DST‑IT‑ULT | 카타니아 | ||
1DST‑IT‑ULTE | 에트나 산 | 1.2.8 | |
1DST‑IT‑UM | 캄파니아 | ||
1DST‑IT‑UML | 아벨리노 | ||
1DST‑IT‑UMN | 나폴리 | ||
1DST‑IT‑UMNC | 카프리 섬 | 1.2.8 | |
1DST‑IT‑UMNP | 폼페이 | 1.2.8 | |
1DST‑IT‑UMNV | 베수비오 산 | 1.2.8 | |
1DST‑IT‑UMS | 살레르노 | ||
1DST‑IT‑UMSC | 아말피 해안 Preferred code: use instead of 1DZT-IT-R | 1.2.8 | 1.3 |
1DST‑IT‑UMT | 카세르타 | ||
1DST‑IT‑UMV | 베네벤토 | ||
1DST‑IT‑UP | 아풀리아 Class here: Puglia | 1.2.8 | |
1DST‑IT‑UPA | 바리 | ||
1DST‑IT‑UPG | 포자 | ||
1DST‑IT‑UPGB | 타볼리에르 델레 풀리아 Preferred code: use instead of 1DZT-IT-P | 1.3 | |
1DST‑IT‑UPL | 레체 | ||
1DST‑IT‑UPR | 바를레타안드리아트라니 | ||
1DST‑IT‑UPS | 브린디시 | ||
1DST‑IT‑UPT | 타란토 | ||
1DST‑IT‑US | 바실리카타 | ||
1DST‑IT‑USM | 마테라 | ||
1DST‑IT‑USP | 포텐차 | ||
1DST‑IT‑UZ | 이탈리아 남부: 명소 Use for: physical features, historical and cultural areas or other places of regional interest or importance | 1.2.8 | |
1DST‑IT‑UZC | 남부 아펜니노 산맥 Preferred code: use instead of 1DZT-IT-C | 1.2.8 | 1.3 |
1DST‑IT‑UZCE | 몬테 그란 사소 | 1.2.8 | |
1DST‑IT‑UZCP | 몬테 폴리노 | 1.2.8 | |
1DST‑IT‑UZD | 실라 | 1.2.8 | |
1DST‑IT‑X | 역사적, 문화적 지역 : 이탈리아 | 1.1 | |
1DST‑IT‑XN | 역사적, 문화적 지역 : 이탈리아 북부 | 1.1 | |
1DST‑IT‑XNA | 랑게 | 1.1 | |
1DST‑IT‑XNC | 몬페라토 | 1.1 | 1.2.8 |
1DST‑IT‑XNE | 카나비즈 | 1.1 | |
1DST‑IT‑XNF | 친퀘테레 | 1.1 | |
1DST‑IT‑XNH | 티굴리오 | 1.1 | |
1DST‑IT‑XNL | 프란치아꼬르타 | 1.1 | |
1DST‑IT‑XNN | 로멜리나 | 1.1 | |
1DST‑IT‑XNP | 폴레시네 | 1.1 | |
1DST‑IT‑XNR | 카르니아 | 1.1 | |
1DST‑IT‑XT | 역사적, 문화적 지역 : 이탈리아 중부 | 1.1 | |
1DST‑IT‑XTA | 루니기아나 | 1.1 | |
1DST‑IT‑XTC | 가르파그나라 | 1.1 | |
1DST‑IT‑XTE | 키안티 | 1.1 | |
1DST‑IT‑XTG | 무겔로 | 1.1 | |
1DST‑IT‑XTL | 베르실라 | 1.1 | |
1DST‑IT‑XTN | 치오치아리아 | 1.1 | |
1DST‑IT‑XU | 역사적 문화적 지역 : 이탈리아 남부 및 섬 | 1.1 | |
1DST‑IT‑XUA | 칠렌토 | 1.1 | |
1DST‑IT‑XUC | 이르피아 | 1.1 | |
1DST‑IT‑XUE | 산니오 | 1.1 | |
1DST‑IT‑XUG | 살렌토 | 1.1 | |
1DST‑IT‑XUL | 갈루라 | 1.1 | |
1DSU | 산 마리노 | ||
1DSV | 바티칸 | ||
1DT | 동유럽 | ||
1DTA | 러시아 | ||
1DTA‑RU‑B | Russia: Central District | 1.2.8 | |
1DTA‑RU‑BK | Kursk | 1.2.8 | |
1DTA‑RU‑BM | Moscow | 1.2.8 | |
1DTA‑RU‑BS | Smolensk | 1.2.8 | |
1DTA‑RU‑D | Russia: Southern District | 1.2.8 | |
1DTA‑RU‑DB | Volgograd Class here: Stalingrad | 1.2.8 | |
1DTA‑RU‑DD | Rostov-on-Don | 1.2.8 | |
1DTA‑RU‑F | Russia: Northwestern District | 1.2.8 | |
1DTA‑RU‑FA | Archangel / Arkhangelsk | 1.2.8 | |
1DTA‑RU‑FC | Kaliningrad | 1.2.8 | |
1DTA‑RU‑FD | Novgorod | 1.2.8 | |
1DTA‑RU‑FP | Saint Petersburg Class here: Leningrad | 1.2.8 | |
1DTA‑RU‑H | Russia: Far Eastern District | 1.2.8 | |
1DTA‑RU‑J | Russia: Siberian District | 1.2.8 | |
1DTA‑RU‑JZ | Siberia: places of interest Use for: physical features, historical and cultural areas or other places of regional interest or importance | 1.2.8 | |
1DTA‑RU‑JZB | Siberia: Lake Baikal | 1.2.8 | |
1DTA‑RU‑L | Russia: Ural District | 1.2.8 | |
1DTA‑RU‑N | Russia: Volga District | 1.2.8 | |
1DTA‑RU‑NN | Nizhny Novgorod | 1.2.8 | |
1DTA‑RU‑P | Russia: North Caucasus District | 1.2.8 | |
1DTA‑RU‑PC | Chechen Republic (Chechnya) | 1.2.8 | |
1DTB | 벨라루스 | ||
1DTB‑BY‑M | 민스크 | 1.2.8 | |
1DTD | 라트비아 | ||
1DTD‑LV‑R | 리가 | 1.2.8 | |
1DTE | 에스토니아 | ||
1DTE‑EE‑T | 탈린 | 1.2.8 | |
1DTF | 리투아니아 | ||
1DTF‑LT‑V | 빌뉴스 | 1.2.8 | |
1DTG | 그루지야 | ||
1DTG‑GE‑T | 트빌리시 | 1.2.8 | |
1DTH | 헝가리 | ||
1DTH‑HU‑B | Central Hungary | 1.2.8 | |
1DTH‑HU‑BB | Budapest | 1.2.8 | |
1DTH‑HU‑D | Transdanubia | 1.2.8 | |
1DTH‑HU‑DB | Lake Balaton | 1.2.8 | |
1DTH‑HU‑DD | Lake Neusiedl / Ferto Use with: 1DFA* if work applies specifically to Austria | 1.2.8 | 1.4 |
1DTH‑HU‑DF | Mecsek Mountains | 1.2.8 | |
1DTH‑HU‑DG | Transdanubian Mountains Class here: Bakony mountains | 1.2.8 | |
1DTH‑HU‑DH | Little Hungarian Plain | 1.2.8 | |
1DTH‑HU‑DP | Esztergom | 1.2.8 | |
1DTH‑HU‑DQ | Győr | 1.2.8 | |
1DTH‑HU‑DR | Pécs | 1.2.8 | |
1DTH‑HU‑DS | Sopron | 1.2.8 | |
1DTH‑HU‑DT | Székesfehérvár | 1.2.8 | |
1DTH‑HU‑DV | Veszprém | 1.2.8 | |
1DTH‑HU‑F | Great Plain and the North | 1.2.8 | |
1DTH‑HU‑FD | North Hungarian Mountains Class here: Mátra, Bükk mountains | 1.2.8 | |
1DTH‑HU‑FDE | Eger | 1.2.8 | |
1DTH‑HU‑FP | Great Hungarian plain Class here: Great Alfold | 1.2.8 | |
1DTH‑HU‑FPD | Hortobágy National Park | 1.2.8 | |
1DTH‑HU‑FPJ | Debrecen | 1.2.8 | |
1DTH‑HU‑FPK | Szeged | 1.2.8 | |
1DTH‑HU‑FPW | Lake Tisza | 1.2.8 | |
1DTH‑HU‑Z | Hungary: Places of interest Use for: physical features, historical and cultural areas or other places of national interest or importance | 1.2.8 | |
1DTH‑HU‑ZD | Danube–Tisza Interfluve | 1.2.8 | |
1DTH‑HU‑ZT | Transtisza / Tiszántúl | 1.2.8 | |
1DTJ | 체코 공화국 체코 공화국이 여기에 해당 | 1.2.8 | |
1DTJ‑CZ‑A | Prague | 1.2.8 | |
1DTJ‑CZ‑B | South Moravian Region | 1.2.8 | |
1DTJ‑CZ‑C | South Bohemian Region | 1.2.8 | |
1DTJ‑CZ‑E | Pardubice Region | 1.2.8 | |
1DTJ‑CZ‑H | Hradec Kralove Region | 1.2.8 | |
1DTJ‑CZ‑J | Vysocina Region | 1.2.8 | |
1DTJ‑CZ‑K | Karlovy Vary Region | 1.2.8 | |
1DTJ‑CZ‑L | Liberec Region | 1.2.8 | |
1DTJ‑CZ‑M | Olomouc Region | 1.2.8 | |
1DTJ‑CZ‑P | Pilsen Region | 1.2.8 | |
1DTJ‑CZ‑S | Central Bohemian Region | 1.2.8 | |
1DTJ‑CZ‑T | Moravian-Silesian Region | 1.2.8 | |
1DTJ‑CZ‑U | Usti nad Labem Region | 1.2.8 | |
1DTJ‑CZ‑Z | Zlin Region | 1.2.8 | |
1DTJ‑CZ‑X | Czechia: places of interest Use for: physical features, historical and cultural areas or other places of national interest or importance | 1.2.8 | |
1DTJ‑CZ‑XB | Bohemia | 1.2.8 | |
1DTJ‑CZ‑XBF | Bohemian Forest | 1.2.8 | |
1DTJ‑CZ‑XBG | Krkonoše / Giant Mountains | 1.2.8 | |
1DTJ‑CZ‑XBV | Vltava river and tributaries Class here: Berounka, Luznice, Otava, Sazava rivers | 1.2.8 | |
1DTJ‑CZ‑XM | Moravia | 1.2.8 | |
1DTJ‑CZ‑XS | Czech Silesia | 1.2.8 | |
1DTK | 슬로바키아 | ||
1DTK‑SK‑B | Bratislava (region) | 1.2.8 | 1.3 |
1DTK‑SK‑BB | Bratislava | 1.3 | |
1DTK‑SK‑K | Kosice Region | 1.3 | |
1DTK‑SK‑N | Nitra Region | 1.3 | |
1DTK‑SK‑P | Presov Region | 1.3 | |
1DTK‑SK‑S | Banska Bystrica Region | 1.3 | |
1DTK‑SK‑T | Trencin Region | 1.3 | |
1DTK‑SK‑V | Trnava Region | 1.3 | |
1DTK‑SK‑Y | Zilina Region | 1.3 | |
1DTK‑SK‑Z | Slovakia: places of interest Use for: physical features, historical and cultural areas or other places of national interest or importance | 1.3 | |
1DTK‑SK‑ZV | The Vah and tributaries Class here: Nitra, Orava rivers | 1.3 | |
1DTM | 몰도바 (몰다비아) | ||
1DTN | 우크라이나 | ||
1DTN‑UA‑K | Kiev | 1.2.8 | |
1DTP | 폴란드 | ||
1DTP‑PL‑A | West Pomerania voivodeship | 1.3.2 | |
1DTP‑PL‑AB | Szczecin | 1.3.2 | |
1DTP‑PL‑AP | Pomeranian Lake District | 1.3.2 | |
1DTP‑PL‑B | East Pomerania | 1.3.2 | |
1DTP‑PL‑BA | Kashubia | 1.3.2 | |
1DTP‑PL‑BAA | Gdańsk, Gdynia, Sopot – Tri-city | 1.3.2 | |
1DTP‑PL‑BD | Hel Peninsula | 1.3.2 | |
1DTP‑PL‑BF | Żuławy region | 1.3.2 | |
1DTP‑PL‑BFA | Malbork | 1.3.2 | |
1DTP‑PL‑C | Kuyavian-Pomeranian | 1.3.2 | |
1DTP‑PL‑CB | Bydgoszcz | 1.3.2 | |
1DTP‑PL‑CC | Toruń | 1.3.2 | |
1DTP‑PL‑D | Lodz / Łódź | 1.3.2 | |
1DTP‑PL‑E | Warmia-Masuria Province | 1.3.2 | |
1DTP‑PL‑EA | Olsztyn | 1.3.2 | |
1DTP‑PL‑EB | Biskupiec | 1.3.2 | |
1DTP‑PL‑H | Podlasie / Podlachia | 1.3.2 | |
1DTP‑PL‑HB | Białystok | 1.3.2 | |
1DTP‑PL‑HD | Suwalki | 1.3.2 | |
1DTP‑PL‑HR | Bialowieza National Park | 1.3.2 | |
1DTP‑PL‑HS | Biebrza National Park | 1.3.2 | |
1DTP‑PL‑J | Lubusz province Class here: Lubusz Land | 1.3.2 | |
1DTP‑PL‑JA | Zielona Góra | 1.3.2 | |
1DTP‑PL‑K | Kielce Upland / Holy Cross Province / Świętokrzyskie | 1.3.2 | |
1DTP‑PL‑KA | Kielce | 1.3.2 | |
1DTP‑PL‑KS | Sandomierz and the Sandomierz basin | 1.3.2 | |
1DTP‑PL‑L | Lublin Upland | 1.3.2 | |
1DTP‑PL‑LA | Lublin | 1.3.2 | |
1DTP‑PL‑LK | Kazimierz Dolny | 1.3.2 | |
1DTP‑PL‑LR | Roztocze National Park | 1.3.2 | |
1DTP‑PL‑M | Masovian Voivodeship | 1.2.8 | |
1DTP‑PL‑MA | Warsaw | 1.2.8 | |
1DTP‑PL‑MP | Plock / Płock | 1.3.2 | |
1DTP‑PL‑MR | Kampinoski National Park | 1.3.2 | |
1DTP‑PL‑N | Greater Poland (Wielkopolska) | 1.3.2 | |
1DTP‑PL‑NB | Poznan | 1.3.2 | |
1DTP‑PL‑P | Lesser Poland Voivodeship | 1.2.8 | |
1DTP‑PL‑PK | Krakow | 1.2.8 | |
1DTP‑PL‑PR | Krakow-Częstochowa Upland Class here: Polish Jurassic Highland, Polish Jura | 1.3.2 | |
1DTP‑PL‑PT | Podhale (Polish highlands) | 1.3.2 | |
1DTP‑PL‑PTZ | Zakopane | 1.3.2 | |
1DTP‑PL‑R | Silesian Voivodeship | 1.3.2 | |
1DTP‑PL‑RA | Katowice | 1.3.2 | |
1DTP‑PL‑RC | Częstochowa | 1.3.2 | |
1DTP‑PL‑S | Lower Silesian Voivodeship | 1.3.2 | |
1DTP‑PL‑SA | Wroclaw | 1.3.2 | |
1DTT | 터키 | ||
1DTT‑TR‑A | 이스탄불 | 1.3 | |
1DTV | 아르메니아 | ||
1DTV‑AM‑Y | Yerevan | 1.2.8 | |
1DTX | 아제르바이잔 | ||
1DTX‑AZ‑B | Baku | 1.2.8 | |
1DTZ | 카자흐스탄 | ||
1DX | 동남 유럽 | ||
1DXA | 알바니아 | ||
1DXA‑AL‑T | Tirana | 1.2.8 | |
1DXB | 불가리아 | ||
1DXB‑BG‑S | Sofia | 1.2.8 | |
1DXC | 크로아티아 | ||
1DXC‑HR‑A | Zagreb | 1.2.8 | |
1DXC‑HR‑C | Central Croatia | 1.2.8 | |
1DXC‑HR‑D | Dalmatia | 1.2.8 | |
1DXC‑HR‑DD | Dubrovnik | 1.2.8 | |
1DXC‑HR‑DK | Šibenik | 1.2.8 | |
1DXC‑HR‑DS | Split | 1.2.8 | |
1DXC‑HR‑DY | Zadar | 1.2.8 | |
1DXC‑HR‑J | Istria | 1.2.8 | |
1DXC‑HR‑K | Kvarner and the Highlands | 1.2.8 | |
1DXC‑HR‑L | Lika-Karlovac Class here: Northern Croatia | 1.2.8 | |
1DXC‑HR‑S | Slavonia | 1.2.8 | |
1DXD | 북마케도니아 | 1.4 | |
1DXD‑MK‑S | Skopje | 1.2.8 | |
1DXG | 그리스 | ||
1DXG‑GR‑E | 그리스 중부 | 1.2.8 | |
1DXG‑GR‑EA | 아티카 Class here: Mount Parnes / Parnithia, Marathon | 1.2.8 | |
1DXG‑GR‑EAA | 아테네 | 1.2.8 | |
1DXG‑GR‑EAE | 엘레우시스 | 1.2.8 | |
1DXG‑GR‑EAP | 피레에푸스 | 1.2.8 | |
1DXG‑GR‑EE | 유보이아 섬 | 1.2.8 | |
1DXG‑GR‑EEC | 할키스 | 1.2.8 | |
1DXG‑GR‑EF | 포키스 파르나소스 산이 여기에 해당 | 1.2.8 | |
1DXG‑GR‑EFD | 델포이 | 1.2.8 | |
1DXG‑GR‑EK | 애톨리아-아카르나니아 | 1.2.8 | |
1DXG‑GR‑EKM | 메솔롱기온 | 1.2.8 | |
1DXG‑GR‑ET | 프티오티다 테르모필레가 여기에 해당 | 1.2.8 | |
1DXG‑GR‑ETA | 아탈란티 | 1.2.8 | |
1DXG‑GR‑EV | 보이오티아 | 1.2.8 | |
1DXG‑GR‑EVT | 테베 | 1.2.8 | |
1DXG‑GR‑H | 에피루스 | 1.2.8 | |
1DXG‑GR‑L | 테살리아 | 1.2.8 | |
1DXG‑GR‑M | 마케도니아 (그리스) | 1.2.8 | |
1DXG‑GR‑MC | 할키디키 아토스산이 여기에 해당 | 1.2.8 | |
1DXG‑GR‑ME | 펠라 | 1.2.8 | |
1DXG‑GR‑MP | 피에리아 올림푸스산이 여기에 해당 | 1.2.8 | |
1DXG‑GR‑MT | 테살로니키 (지방) | 1.2.8 | |
1DXG‑GR‑MTH | 테살로니키 | 1.2.8 | |
1DXG‑GR‑P | 펠로폰네소스 | 1.2.8 | |
1DXG‑GR‑PA | 아카이아 | 1.2.8 | |
1DXG‑GR‑PAP | 파트라스 | 1.2.8 | |
1DXG‑GR‑PD | 아르카디아 | 1.2.8 | |
1DXG‑GR‑PH | 엘리스 | 1.2.8 | |
1DXG‑GR‑PHO | 고대 올림피아 | 1.2.8 | |
1DXG‑GR‑PK | 코린티아 | 1.2.8 | |
1DXG‑GR‑PKK | 코린트 | 1.2.8 | |
1DXG‑GR‑PL | 라코니아 | 1.2.8 | |
1DXG‑GR‑PLS | 스파르타 | 1.2.8 | |
1DXG‑GR‑PLY | 미스트라스 | 1.2.8 | |
1DXG‑GR‑PM | 메세니아 | 1.2.8 | |
1DXG‑GR‑PR | 아르골리스 | 1.2.8 | |
1DXG‑GR‑PRA | 아르고스 | 1.2.8 | |
1DXG‑GR‑PRM | 미케네 | 1.2.8 | |
1DXG‑GR‑S | 그리스 섬 | 1.2.8 | |
1DXG‑GR‑SA | 북부 에게 섬 | 1.2.8 | |
1DXG‑GR‑SAC | 키오스 섬 | 1.2.8 | |
1DXG‑GR‑SAH | 렘노스 섬 | 1.2.8 | |
1DXG‑GR‑SAL | 레스보스 섬 | 1.2.8 | |
1DXG‑GR‑SAS | 사모스 | 1.2.8 | |
1DXG‑GR‑SC | 크레타 섬 | 1.2.8 | |
1DXG‑GR‑SCH | 헤라클리온 크노소스가 여기에 해당 | 1.2.8 | |
1DXG‑GR‑SD | 도데카네스 제도 | 1.2.8 | |
1DXG‑GR‑SDH | 카르파토스 섬 | 1.2.8 | |
1DXG‑GR‑SDK | 코스 섬 | 1.2.8 | |
1DXG‑GR‑SDL | 레로스 섬 | 1.2.8 | |
1DXG‑GR‑SDP | 파트모스 섬 | 1.2.8 | |
1DXG‑GR‑SDR | 로도스 섬 | 1.2.8 | |
1DXG‑GR‑SF | 이오니아 제도 | 1.2.8 | |
1DXG‑GR‑SFC | 코르푸 | 1.2.8 | |
1DXG‑GR‑SFF | 파크시 섬 | 1.2.8 | |
1DXG‑GR‑SFK | 케팔로니아 섬 | 1.2.8 | |
1DXG‑GR‑SFL | 레프카다 | 1.2.8 | |
1DXG‑GR‑SFP | 이타카 | 1.2.8 | |
1DXG‑GR‑SFR | 자킨토스 | 1.2.8 | |
1DXG‑GR‑SK | 키클라데스 제도 | 1.2.8 | |
1DXG‑GR‑SKK | 미코노스 섬 | 1.2.8 | |
1DXG‑GR‑SKM | 밀로스 섬 Class here: Kimolos | 1.2.8 | |
1DXG‑GR‑SKN | 낙소스 섬 | 1.2.8 | |
1DXG‑GR‑SKP | 파로스 섬 | 1.2.8 | |
1DXG‑GR‑SKS | 산토리니 테라(티라) 섬이 여기에 해당 | 1.2.8 | |
1DXG‑GR‑SKY | 시로스 | 1.2.8 | |
1DXG‑GR‑SR | 살로니카 제도 Class here: Agistri | 1.2.8 | |
1DXG‑GR‑SRA | 애기나 섬 | 1.2.8 | |
1DXG‑GR‑SRS | 살라미나 섬 | 1.2.8 | |
1DXG‑GR‑SS | 스포라데스 제도 | 1.2.8 | |
1DXG‑GR‑SSA | 알로니소스 섬 | 1.2.8 | |
1DXG‑GR‑SSK | 스키아토스 | 1.2.8 | |
1DXG‑GR‑ST | 기타 그리스 섬 | 1.2.8 | |
1DXG‑GR‑STK | 키티라 섬 | 1.2.8 | |
1DXG‑GR‑STM | 사모트라키 섬 | 1.2.8 | |
1DXG‑GR‑STS | 스키로스 섬 | 1.2.8 | |
1DXG‑GR‑T | 트라키아 | 1.2.8 | |
1DXH | 보스니아 - 헤르체고비나 | ||
1DXH‑BA‑S | 사라예보 | 1.2.8 | |
1DXK | 코소보 | ||
1DXN | 몬테네그로 | ||
1DXN‑ME‑P | Podgorica | 1.2.8 | |
1DXR | 루마니아 | ||
1DXR‑RO‑B | Bucharest | 1.2.8 | |
1DXR‑RO‑Z | Romania: places of interest Use for: physical features, historical and cultural areas or other places of national interest or importance | 1.2.8 | |
1DXR‑RO‑ZT | Transylvania | 1.2.8 | |
1DXS | 세르비아 | ||
1DXS‑RS‑B | Belgrade | 1.2.8 | |
1DXV | 슬로베니아 | ||
1DXV‑SI‑C | Carniola | 1.2.8 | |
1DXV‑SI‑CL | Ljubljana | 1.2.8 | |
1DXY | 키프로스 | ||
1DXY‑CY‑C | Nicosia | 1.2.8 | |
1DZ | 유럽 : 지형 | ||
1DZA | 유럽 : 강, 호수 등 | ||
1DZAD | 다뉴브강 및 지류 Class here: the river, its tributaries, its valley and estuary, mouth or delta | 1.2.8 | |
1DZADT | 티사강 및 지류 Class here: the river, its tributaries and its valley | 1.3 | |
1DZAR | 라인강 및 지류 Class here: the river, its tributaries, its valley and mouth or delta | 1.2.8 | |
1DZARC | 콘스턴스호 | 1.1 | |
1DZAV | 볼가강 및 지류 Class here: the river, its tributaries, its valley and estuary, mouth or delta | 1.2.8 | |
1DZA‑CH‑L | Lake Lugano Class here: the lake and its surrounding area | 1.4 | |
1DZA‑DE‑E | Elbe river and tributaries Class here: the river, its tributaries, its valley, its basin and estuary or mouth | 1.1 | 1.2.8 |
1DZA‑DE‑N | Oder and Neisse rivers and tributaries Class here: the rivers, their tributaries, their valleys, the basin and estuary, mouth or delta | 1.1 | 1.2.8 |
1DZA‑DE‑W | Weser river and tributaries Class here: the river, its tributaries, its valley, and mouth | 1.1 | 1.2.8 |
1DZA‑IT‑A | Po river and tributaries Prefer code in Northern Italy: Places of interest See also: 1DST-IT-NZP 포강 및 지류 | 1.1 | 1.2.8 |
1DZA‑IT‑C | Arno river and tributaries Prefer code in Central Italy: Places of interest See also: 1DST-IT-TXA 아르노강과 지류 | 1.1 | 1.2.8 |
1DZA‑IT‑E | Tiber river and tributaries Prefer code in Central Italy: Places of interest See also: 1DST-IT-TXC 티베르강과 지류 | 1.1 | 1.2.8 |
1DZA‑PL‑V | Vistula river and tributaries Class here: the rivers, their tributaries, their valleys, the basin and delta | 1.3.2 | |
1DZA‑PL‑VB | Bug River / Western Bug Class here: the rivers, their tributaries, their valleys, the basin and delta | 1.3.2 | |
1DZT | 유럽 : 산, 언덕, 평야, 해안 등 | 1.1 | |
1DZTA | 알프스산맥 Use with: other 1* PLACE qualifiers to indicate if a work is specifically about a particular sub-division of the Alps, such as the Austrian, French or Lepontine Alps, when there is no dedicated code | 1.4 | |
1DZTAP | 페닌 알프스 발레가 여기에 해당 | 1.3 | |
1DZTAPM | 마터호른 마터호른산이 여기에 해당 | 1.3 | |
1DZTAPR | 두포우르슈피체 두포우르슈피체가 여기에 해당 | 1.3 | |
1DZTA‑CH‑A | Swiss Alps Class here: Glarus Alps | 1.4 | |
1DZTA‑CH‑AD | Bernese Alps | 1.4 | |
1DZTA‑CH‑ADA | Aletsch Class here: Finsteraarhorn, Aarmassif, Aletsch Glacier, Bietschhorn | 1.4 | |
1DZTA‑CH‑ADE | Eiger | 1.4 | |
1DZTA‑CH‑ADJ | Jungfrau | 1.4 | |
1DZTA‑CH‑AG | Saint-Gotthard Massif Class here: Gotthard Pass | 1.4 | |
1DZTA‑CH‑B | Val Bregaglia Class here: Bregaglia Range | 1.4 | |
1DZTA‑FR‑B | Mont Blanc Massif Class here: Grandes Jorasses, Aiguille du Midi, Miage Glacier, Mer de Glace, Mont Dolent, Picco Luigi Amedeo | 1.2.6 | 1.4 |
1DZTA‑FR‑BM | Mont Blanc | 1.2.6 | |
1DZTA‑SI‑C | Julian Alps | 1.3 | |
1DZTB | 줄리안 알프스 산악지역이 여기에 해당 | 1.3 | |
1DZTC | 카르파티아산맥 | ||
1DZTCB | 베스키디산맥 | 1.4 | |
1DZTCBB | 비에쉬차디(Bieszczady)산맥 | 1.4 | |
1DZTCBP | 피니 (피니산맥) | 1.4 | |
1DZTCT | 타트라 산맥 | 1.3 | |
1DZTH | 발칸반도 산악지역이 여기에 해당 | 1.3 | |
1DZTJ | 보헤미안 암괴 | 1.4 | |
1DZTJS | 수데티산맥 | 1.4 | |
1DZTJSH | 스토로우산맥 | 1.4 | |
1DZTP | 피레네산맥 | ||
1DZTS | 스칸디나비아산맥 | 1.2 | |
1DZTU | 우랄산맥 | ||
1DZT‑BE‑A | The Ardennes Class here: Ardennes Forest | 1.4 | |
1DZT‑DE‑A | Harz mountains Class here: The Brocken | 1.1 | 1.4 |
1DZT‑DE‑B | Rhön mountains | 1.1 | |
1DZT‑DE‑C | Eifel region | 1.1 | |
1DZT‑DE‑D | Black Forest region | 1.1 | |
1DZT‑DE‑E | Rhineland | 1.1 | |
1DZT‑FR‑J | Jura Mountains | 1.2.6 | |
1DZT‑GB‑C | Cotswolds Prefer: code in South west England: Places of interest See also: 1DDU-GB-EWZC 코츠월드 | 1.1.2 | 1.2.6 |
1DZT‑GB‑P | Pennines Prefer: code in North and northeast England: Places of interest See also: 1DDU-GB-EYZB 페나인 산맥 | 1.1.2 | 1.2.6 |
1DZT‑IT‑A | Northern Apennines Prefer: code in Northern Italy: Places of interest See also: 1DST-IT-NZB 북부 아펜니오 산맥 | 1.1 | 1.2.8 |
1DZT‑IT‑B | Central Apennines Prefer: code in Central Italy: Places of interest See also: 1DST-IT-TXF 중앙 아펜니노산택 | 1.1 | 1.2.8 |
1DZT‑IT‑C | Southern Apennines Prefer: code in Southern Italy: Places of interest See also: 1DST-IT-UZC 남부 아펜니노 산맥 | 1.1 | 1.2.8 |
1DZT‑IT‑G | Karst plateau | 1.1 | |
1DZT‑IT‑L | Maremma Prefer: code in Central Italy: Places of interest See also: 1DST-IT-TXM 마렘마 | 1.1 | 1.2.8 |
1DZT‑IT‑N | Val d’Orcia Prefer: code in Italy – Tuscany – Siena See also: 1DST-IT-TSEB 발도르시아 | 1.1 | 1.2.8 |
1DZT‑IT‑P | Tavoliere delle Puglie Prefer: code in Italy – Apulia – Foggia See also: 1DST-IT-UPGB 타볼리에르 델레 풀리아 | 1.1 | 1.2.8 |
1DZT‑IT‑R | Amalfi coast Prefer: code in Italy – Campania – Salerna See also: 1DST-IT-UMSC 아말피 해안 | 1.1 | 1.2.8 |
1DZT‑IT‑T | Costa Smeralda Prefer: code in Italy – Sardinia – Sassari See also: 1DST-IT-UDSD Costa Smeralda | 1.1 | 1.2.8 |
1F | 아시아 | ||
1FB | 중동 | ||
1FBG | 예루살렘 | 1.3 | |
1FBH | 이스라엘 | ||
1FBH‑IL‑A | 텔아비브 Class here: Jaffa | 1.2.8 | |
1FBH‑IL‑H | 하이파 Class here: Mount Carmel | 1.2.8 | |
1FBJ | 요르단 | ||
1FBJ‑JO‑P | 페트라 | 1.2.8 | |
1FBL | 레바논 | ||
1FBL‑LB‑B | 베이루트 | 1.2.8 | |
1FBN | 이란 | ||
1FBN‑IR‑A | 테헤란 | 1.2.8 | |
1FBN‑IR‑S | 시라즈 Class here: Persepolis | 1.2.8 | |
1FBP | 팔레스타인 | ||
1FBP‑PS‑G | 가자 | 1.2.8 | |
1FBQ | 이라크 | ||
1FBQ‑IQ‑B | 바그다드 | 1.2.8 | |
1FBS | 시리아 | ||
1FBS‑SY‑A | 알레포 | 1.2.8 | |
1FBS‑SY‑D | 다마스쿠스 | 1.2.8 | |
1FBS‑SY‑P | 팔미라 | 1.2.8 | |
1FBX | 아라비아반도 | ||
1FBXB | 바레인 | ||
1FBXK | 쿠웨이트 | ||
1FBXM | 오만 | ||
1FBXQ | 카타르 | ||
1FBXS | 사우디아라비아 | ||
1FBXS‑SA‑H | 헤자즈 | 1.2.8 | |
1FBXS‑SA‑HJ | 제다 | 1.2.8 | |
1FBXS‑SA‑HM | 메카 | 1.2.8 | |
1FBXS‑SA‑HN | 메디나 | 1.2.8 | |
1FBXS‑SA‑R | 리야드 | 1.2.8 | |
1FBXU | 아랍에미리트 | ||
1FBXU‑AE‑A | 아부다비 | 1.2.8 | |
1FBXU‑AE‑D | 두바이 | 1.2.8 | |
1FBXY | 예멘아랍공화국 | ||
1FBZ | 중동: 명소 물리적 특징, 역사적/문화적 지역 혹은 기타 지역적 명소가 여기에 해당 | 1.3 | |
1FBZB | 티그리스 및 유프라테스강 Class here: the rivers, their tributaries, the valleys and marshes | 1.3 | |
1FBZJ | 요단강 Class here: the river, its tributaries, the Jordan Valley | 1.3 | |
1FBZJD | 사해 | 1.3 | |
1FC | 중앙 아시아 | ||
1FCA | 아프가니스탄 | ||
1FCA‑AF‑K | 카불 | 1.2.8 | |
1FCD | 타지키스탄 (타지키스탄) | ||
1FCK | 키르기스스탄 | ||
1FCK‑KG‑B | Bishkek | 1.2.8 | |
1FCS | 시베리아 | ||
1FCT | 투르크메니스탄 | ||
1FCU | 우즈베키스탄 | ||
1FK | 인도 아대륙 | 1.2.8 | |
1FKA | 인도 | ||
1FKA‑IN‑A | 인도 북부 | 1.2.8 | |
1FKA‑IN‑AB | 찬디가르 | 1.2.8 | |
1FKA‑IN‑AD | 델리 | 1.2.8 | |
1FKA‑IN‑ADN | 뉴델리 | 1.2.8 | |
1FKA‑IN‑AG | 하리아나 | 1.2.8 | |
1FKA‑IN‑AH | 히마찰 프라데시 | 1.2.8 | |
1FKA‑IN‑AHS | 심라 | 1.2.8 | |
1FKA‑IN‑AJ | 자무 캐시미르 Class here: Ladakh | 1.2.8 | |
1FKA‑IN‑AP | 펀자브 | 1.2.8 | |
1FKA‑IN‑APB | 암리차르 | 1.2.8 | |
1FKA‑IN‑AR | 라자스탄 | 1.2.8 | |
1FKA‑IN‑ARB | 자이푸르 | 1.2.8 | |
1FKA‑IN‑ARD | 조드푸르 | 1.2.8 | |
1FKA‑IN‑ARF | 우다이푸르 | 1.2.8 | |
1FKA‑IN‑C | 인도 중부 | 1.2.8 | |
1FKA‑IN‑CB | 차티스가르주 | 1.2.8 | |
1FKA‑IN‑CD | 마디야 프라데시 | 1.2.8 | |
1FKA‑IN‑CF | 우타르 프라데시 | 1.2.8 | |
1FKA‑IN‑CFA | 아그라 Class here: Taj Mahal | 1.2.8 | |
1FKA‑IN‑CFC | 바라나시 | 1.2.8 | |
1FKA‑IN‑CH | 우타라칸드 | 1.2.8 | |
1FKA‑IN‑E | 인도 동부 | 1.2.8 | |
1FKA‑IN‑EB | 비하르 | 1.2.8 | |
1FKA‑IN‑ED | 자르칸드 | 1.2.8 | |
1FKA‑IN‑EF | 오디샤 | 1.2.8 | |
1FKA‑IN‑EH | 서벵골 | 1.2.8 | |
1FKA‑IN‑EHC | 콜카타 Class here: Calcutta | 1.2.8 | |
1FKA‑IN‑EHD | 다르질링 | 1.2.8 | |
1FKA‑IN‑G | 인도 동북부 | 1.2.8 | |
1FKA‑IN‑GA | 아삼 | 1.2.8 | |
1FKA‑IN‑GC | 아루나찰 프라데시 | 1.2.8 | |
1FKA‑IN‑GE | 마니푸르 | 1.2.8 | |
1FKA‑IN‑GH | 메갈라야 | 1.2.8 | |
1FKA‑IN‑GJ | 미조람 | 1.2.8 | |
1FKA‑IN‑GL | 나갈랜드 | 1.2.8 | |
1FKA‑IN‑GN | 트리푸라 | 1.2.8 | |
1FKA‑IN‑GS | 시킴 | 1.3.2 | |
1FKA‑IN‑J | 인도 서부 | 1.2.8 | |
1FKA‑IN‑JB | 다드라 나가르아벨리 | 1.2.8 | |
1FKA‑IN‑JD | 다만디우 | 1.2.8 | |
1FKA‑IN‑JF | 고아 | 1.2.8 | |
1FKA‑IN‑JG | 구자라트 | 1.2.8 | |
1FKA‑IN‑JM | 마하라시트라 | 1.2.8 | |
1FKA‑IN‑JMM | 뭄바이 붐바이가 여기에 해당 | 1.2.8 | |
1FKA‑IN‑L | 인도 남부 | 1.2.8 | |
1FKA‑IN‑LA | 안드라 프라데시 | 1.2.8 | |
1FKA‑IN‑LC | 카르나타카 | 1.2.8 | |
1FKA‑IN‑LCB | 벵갈루루 방갈로르가 여기에 해당 | 1.2.8 | |
1FKA‑IN‑LE | 케랄라 | 1.2.8 | |
1FKA‑IN‑LEC | 고지 Class here: Cochin | 1.2.8 | |
1FKA‑IN‑LG | 푸두체리 | 1.2.8 | |
1FKA‑IN‑LGB | 퐁디셰리 Class here: Puducherry (city of) | 1.2.8 | 1.4 |
1FKA‑IN‑LJ | 타밀 나두 | 1.2.8 | |
1FKA‑IN‑LJC | 센네이 class here: Madras | 1.2.8 | |
1FKA‑IN‑LK | 텔랑가나 | 1.2.8 | |
1FKA‑IN‑LKH | 하이데라바드 | 1.2.8 | |
1FKA‑IN‑LN | 안다만 니코바르 제도 | 1.2.8 | |
1FKA‑IN‑LP | 락샤드위프 | 1.2.8 | |
1FKB | 방글라데시 | ||
1FKB‑BD‑D | 다카 | 1.2.8 | |
1FKH | 부탄 | ||
1FKN | 네팔 | ||
1FKN‑NP‑K | 카트만두 | 1.2.8 | |
1FKP | 파키스탄 | ||
1FKP‑PK‑B | Balochistan | 1.2.8 | |
1FKP‑PK‑D | Khyber Pakhtunkhwa Class here: North-West Frontier Province, Khyber Pass | 1.2.8 | |
1FKP‑PK‑F | Punjab (PK) | 1.2.8 | |
1FKP‑PK‑FB | Lahore | 1.2.8 | |
1FKP‑PK‑H | Sindh | 1.2.8 | |
1FKP‑PK‑HB | Karachi | 1.2.8 | |
1FKP‑PK‑L | Islamabad | 1.2.8 | |
1FKS | 스리랑카 실론섬이 여기에 포함 | 1.2.8 | |
1FKS‑LK‑C | Colombo | 1.2.8 | |
1FM | 동남아시아 | ||
1FMB | 미얀마 버가가 여기에 포함 | 1.2.8 | |
1FMC | 캄보디아 | ||
1FMC‑KH‑A | Phnom Penh | 1.2.8 | |
1FMC‑KH‑B | Siem Reap | 1.2.8 | |
1FMC‑KH‑BA | Angkor Class here: Angkor Wat | 1.2.8 | |
1FML | 라오스 | ||
1FMM | 말레이시아 | ||
1FMM‑MY‑B | 콸라룸푸르 | 1.2.8 | |
1FMM‑MY‑M | 멜라카 | 1.2.8 | |
1FMM‑MY‑P | 페낭 | 1.2.8 | |
1FMM‑MY‑S | 사라와크 | 1.2.8 | |
1FMM‑MY‑T | 사바 | 1.2.8 | |
1FMN | 인도네시아 | ||
1FMNB | 발리 | ||
1FMN‑ID‑B | 수마트라섬 | 1.2.8 | |
1FMN‑ID‑D | 자바섬 | 1.2.8 | |
1FMN‑ID‑DJ | 자카르타 | 1.2.8 | |
1FMN‑ID‑F | 칼리만탄섬 인도네시아 보르네오섬이 여기에 해당 | 1.2.8 | |
1FMN‑ID‑K | 술라웨시 | 1.2.8 | |
1FMN‑ID‑M | 말루쿠 | 1.2.8 | |
1FMN‑ID‑P | 파푸아 See also: 1MKLP 뉴기니섬 | 1.2.8 | |
1FMN‑ID‑S | 소순다 열도 Class here: East Nusa Tenggara, West Timor | 1.2.8 | |
1FMN‑ID‑SL | 롬복섬 | 1.2.8 | |
1FMNT | 동티모르 | 1.2.8 | |
1FMNX | 보르네오 섬 전체가 여기에 해당 | 1.2.8 | |
1FMP | 필리핀 | ||
1FMP‑PH‑A | 마닐라 | 1.2.8 | |
1FMR | 브루나이 | ||
1FMS | 싱가포르 | ||
1FMT | 태국 | ||
1FMT‑TH‑B | 방콕 | 1.2.8 | |
1FMT‑TH‑C | 치앙마이 | 1.2.8 | |
1FMT‑TH‑K | 끄라비 | 1.2.8 | |
1FMT‑TH‑KL | 코란타 | 1.2.8 | |
1FMT‑TH‑P | 푸켓 섬 | 1.2.8 | |
1FMT‑TH‑Q | 수랏타니 | 1.2.8 | |
1FMT‑TH‑QB | 사무이섬 | 1.2.8 | |
1FMT‑TH‑Y | 아유타야 | 1.2.8 | |
1FMV | 베트남 | ||
1FMV‑VN‑B | 호치민시 Class here: Saigon | 1.2.8 | |
1FMV‑VN‑D | 하노이 | 1.2.8 | |
1FP | 동아시아, 극동 | ||
1FPC | 중국 | ||
1FPC‑CN‑D | 중국 북부 | 1.2.2 | |
1FPC‑CN‑DB | 베이징 | 1.2.2 | |
1FPC‑CN‑DD | 텐진 | 1.2.2 | |
1FPC‑CN‑DF | 허베이성 | 1.2.2 | |
1FPC‑CN‑DH | 산서성 | 1.2.2 | |
1FPC‑CN‑DJ | 내몽골 Class here: Nei Mongol | 1.2.2 | |
1FPC‑CN‑F | 중국 북동부 | 1.2.2 | |
1FPC‑CN‑FB | 랴오닝성 | 1.2.2 | |
1FPC‑CN‑FD | 지린성 | 1.2.2 | |
1FPC‑CN‑FF | 헤이룽장성 | 1.2.2 | |
1FPC‑CN‑H | 중국 동부 | 1.2.2 | |
1FPC‑CN‑HB | 상하이 | 1.2.2 | |
1FPC‑CN‑HD | 장쑤성 | 1.2.2 | |
1FPC‑CN‑HF | 저장성 | 1.2.2 | |
1FPC‑CN‑HH | 안후이성 | 1.2.2 | |
1FPC‑CN‑HJ | 푸젠성 | 1.2.2 | |
1FPC‑CN‑HL | 장시성 | 1.2.2 | |
1FPC‑CN‑HN | 산둥성 | 1.2.2 | |
1FPC‑CN‑J | 중국 중부 | 1.2.2 | |
1FPC‑CN‑JB | 허난성 | 1.2.2 | |
1FPC‑CN‑JD | 후베이성 | 1.2.2 | |
1FPC‑CN‑JF | 후난성 | 1.2.2 | |
1FPC‑CN‑L | 중국 남부 | 1.2.2 | |
1FPC‑CN‑LB | 광둥성 | 1.2.2 | |
1FPC‑CN‑LD | 광시 | 1.2.2 | |
1FPC‑CN‑LF | 하이난성 | 1.2.2 | |
1FPC‑CN‑N | 중국 남서부 | 1.2.2 | |
1FPC‑CN‑NB | 충칭 | 1.2.2 | |
1FPC‑CN‑ND | 쓰촨성 | 1.2.2 | |
1FPC‑CN‑NF | 구이저우성 | 1.2.2 | |
1FPC‑CN‑NH | 윈난성 | 1.2.2 | |
1FPCT | 티베트 시짱이 여기에 해당 | ||
1FPC‑CN‑P | 중국 북서부 | 1.2.2 | |
1FPC‑CN‑PB | 산시성 | 1.2.2 | |
1FPC‑CN‑PD | 간쑤성 | 1.2.2 | |
1FPC‑CN‑PF | 칭하이성 | 1.2.2 | |
1FPC‑CN‑PH | 닝쌰 | 1.2.2 | |
1FPC‑CN‑PJ | 신장 | 1.2.2 | |
1FPCW | 대만 | ||
1FPCH | 홍콩 | ||
1FPCM | 마카오 | ||
1FPJ | 일본 | ||
1FPJ‑JP‑A | 훗카이도지방 | 1.3 | |
1FPJ‑JP‑AA | 훗카이도 | 1.3 | |
1FPJ‑JP‑B | 도호쿠 지방 | 1.3 | |
1FPJ‑JP‑BA | 아오모리 | 1.3 | |
1FPJ‑JP‑BB | 이와테 | 1.3 | |
1FPJ‑JP‑BC | 미야기 | 1.3 | |
1FPJ‑JP‑BD | 아키타 | 1.3 | |
1FPJ‑JP‑BE | 야먀가타 | 1.3 | |
1FPJ‑JP‑BF | 후쿠시마 | 1.3 | |
1FPJ‑JP‑C | 간토 지방 | 1.3 | |
1FPJ‑JP‑CA | 이바라키 | 1.3 | |
1FPJ‑JP‑CB | 도치기 | 1.3 | |
1FPJ‑JP‑CC | 굼나 | 1.3 | |
1FPJ‑JP‑CD | 사이타마 | 1.3 | |
1FPJ‑JP‑CE | 지바 | 1.3 | |
1FPJ‑JP‑CF | 도쿄 | 1.3 | |
1FPJ‑JP‑CG | 가나가와 | 1.3 | |
1FPJ‑JP‑D | 주부 지방 | 1.3 | |
1FPJ‑JP‑DA | 니가타 | 1.3 | |
1FPJ‑JP‑DB | 도야마 | 1.3 | |
1FPJ‑JP‑DC | 이시카와 | 1.3 | |
1FPJ‑JP‑DD | 후쿠이 | 1.3 | |
1FPJ‑JP‑DE | 야마나시 | 1.3 | |
1FPJ‑JP‑DF | 나가노 | 1.3 | |
1FPJ‑JP‑DG | 기후 | 1.3 | |
1FPJ‑JP‑DH | 시즈오카 | 1.3 | |
1FPJ‑JP‑DJ | 아이치 | 1.3 | |
1FPJ‑JP‑E | 긴키 / 간사이 지방 | 1.3 | |
1FPJ‑JP‑EA | 미에 | 1.3 | |
1FPJ‑JP‑EB | 시가 | 1.3 | |
1FPJ‑JP‑EC | 교토 | 1.3 | |
1FPJ‑JP‑ED | 오사카 | 1.3 | |
1FPJ‑JP‑EE | 효고 | 1.3 | |
1FPJ‑JP‑EF | 나라 | 1.3 | |
1FPJ‑JP‑EG | 와카야마 | 1.3 | |
1FPJ‑JP‑F | 주고쿠 지방 | 1.3 | |
1FPJ‑JP‑FA | 돗토리 | 1.3 | |
1FPJ‑JP‑FB | 시마네 | 1.3 | |
1FPJ‑JP‑FC | 오카야마 | 1.3 | |
1FPJ‑JP‑FD | 히로시마 | 1.3 | |
1FPJ‑JP‑FE | 야마구치 | 1.3 | |
1FPJ‑JP‑G | 시코쿠 | 1.3 | |
1FPJ‑JP‑GA | 토쿠시마 | 1.3 | |
1FPJ‑JP‑GB | 가가와 | 1.3 | |
1FPJ‑JP‑GC | 에히메 | 1.3 | |
1FPJ‑JP‑GD | 고치 | 1.3 | |
1FPJ‑JP‑H | 규슈 | 1.3 | |
1FPJ‑JP‑HA | 후쿠오카 | 1.3 | |
1FPJ‑JP‑HB | 사가 | 1.3 | |
1FPJ‑JP‑HC | 나가사키 | 1.3 | |
1FPJ‑JP‑HD | 구마모토 | 1.3 | |
1FPJ‑JP‑HE | 오이타 | 1.3 | |
1FPJ‑JP‑HF | 미야자키 | 1.3 | |
1FPJ‑JP‑HG | 가고시마 | 1.3 | |
1FPJ‑JP‑HH | 오키나와 | 1.3 | |
1FPK | 한국 | ||
1FPKN | 북한 | ||
1FPKS | 대한민국 | ||
1FPKS‑KR‑B | 서울 | 1.2.8 | |
1FPM | 몽골리아 | ||
1FZ | 아시아 : 지형 | ||
1FZA | 아시아 : 강, 호수 등 | ||
1FZAG | 갠지스강 및 지류 Class here: the river, its tributaries, its valley, its basin and delta | 1.2.8 | |
1FZAJ | 인더스강 및 지류 Class here: the river, its tributaries, its valley, its basin and delta | 1.2.8 | |
1FZAM | 메콩강 및 지류 Class here: the river, its tributaries, its valley and delta | 1.2.8 | |
1FZAX | 양쯔강 및 지류 Class here: the river, its tributaries, its valley, its basin and delta | 1.2.8 | |
1FZAY | 황허강 및 지류 Class here: the river, its tributaries, its valley, its basin and mouth | 1.2.8 | |
1FZT | 아시아 : 산, 언덕, 평야, 해안 등 | 1.1 | |
1FZTA | 알타이산맥 | ||
1FZTG | 고비사막 | ||
1FZTH | 히말라야산맥 | ||
1FZTHA | 안나푸르나 | 1.3 | |
1FZTHK | 카라코람 산맥 | 1.3 | |
1FZTHKK | K2 고드윈 오스틴 산이 여기에 해당 | 1.3 | |
1FZTHM | 마할랑구르히말 마칼루산, 로체산, 초오유산이 여기에 해당 | 1.3 | |
1FZTHME | 에베레스트산 에베레스트산이 여기에 해당 | 1.3 | |
1H | 아프리카 | ||
1HB | 북아프리카 | ||
1HBA | 알제리 | ||
1HBA‑DZ‑A | Algiers | 1.2.8 | |
1HBC | 차드 | ||
1HBE | 이집트 | ||
1HBE‑AA‑D | 나일계곡과 삼각주 | ||
1HBE‑AA‑DA | 알렉산드리아 | ||
1HBE‑AA‑DB | 아스완 Class here: Abu Simbel | 1.2.8 | |
1HBE‑AA‑DC | 카이로 | ||
1HBE‑AA‑DD | 알 부하라 | ||
1HBE‑AA‑DF | 베니수에프 | ||
1HBE‑AA‑DG | 다칼리아 | ||
1HBE‑AA‑DH | 다미에타 | ||
1HBE‑AA‑DJ | 알 가르비야 | ||
1HBE‑AA‑DK | 기자 Class here: Memphis, Great Pyramids | 1.2.8 | |
1HBE‑AA‑DL | 카르프엘셰이크 | ||
1HBE‑AA‑DN | 미냐 | ||
1HBE‑AA‑DP | 미누피아 | ||
1HBE‑AA‑DQ | 칼리우비야 | ||
1HBE‑AA‑DS | 샤르키야 | ||
1HBE‑AA‑DW | 소하그 | ||
1HBE‑AA‑DX | 룩소르 Class here: Thebes, Valley of the Kings | 1.2.8 | |
1HBE‑AA‑J | 이집트 : 서부 사막 | ||
1HBE‑AA‑JF | Faiyum | ||
1HBE‑AA‑JM | Matruh | ||
1HBE‑AA‑JV | New Valley (Governorate of Egypt) | ||
1HBE‑AA‑M | 이집트 : 동부 사막 | ||
1HBE‑AA‑MA | Asyut | ||
1HBE‑AA‑MQ | Qena | ||
1HBE‑AA‑MR | Red Sea (Governorate of Egypt) See also: 1QSL 홍해 | ||
1HBE‑AA‑S | 시나이반도 | ||
1HBE‑AA‑SL | Ismailia | ||
1HBE‑AA‑SN | North Sinai | ||
1HBE‑AA‑SP | Port Said | ||
1HBE‑AA‑SS | South Sinai | ||
1HBE‑AA‑SZ | Suez | ||
1HBL | 리비아 | ||
1HBL‑LY‑C | Cyrenaica | 1.2.8 | |
1HBL‑LY‑CB | Benghazi | 1.2.8 | |
1HBL‑LY‑T | Tripolitania | 1.2.8 | |
1HBL‑LY‑TT | Tripoli | 1.2.8 | |
1HBM | 모로코 | ||
1HBM‑MA‑B | Tanger-Tetouan-Al Hoceima | 1.2.8 | |
1HBM‑MA‑BC | Tangier | 1.2.8 | |
1HBM‑MA‑F | Fès-Meknès | 1.2.8 | |
1HBM‑MA‑FE | Fez | 1.2.8 | |
1HBM‑MA‑H | Rabat-Salé-Kenitra | 1.2.8 | |
1HBM‑MA‑HR | Rabat | 1.2.8 | |
1HBM‑MA‑L | Casablanca-Settat | 1.2.8 | |
1HBM‑MA‑LC | Casablanca | 1.2.8 | |
1HBM‑MA‑M | Marrakesh-Safi | 1.2.8 | |
1HBM‑MA‑ME | Essaouira | 1.2.8 | |
1HBM‑MA‑MM | Marrakesh / Marrakech | 1.2.8 | |
1HBM‑MA‑P | Drâa-Tafilalet | 1.2.8 | |
1HBM‑MA‑PO | Ouarzazate | 1.2.8 | |
1HBM‑MA‑R | Souss-Massa | 1.2.8 | |
1HBM‑MA‑RA | Agadir | 1.2.8 | |
1HBS | 수단 | ||
1HBS‑SD‑B | Khartoum | 1.2.8 | |
1HBT | 튀니지 | ||
1HBT‑TN‑A | Tunis Class here: Carthage | 1.2.8 | |
1HBT‑TN‑D | Djerba / Jerba | 1.2.8 | |
1HBW | 서부 사하라 | ||
1HBZ | 남수단 | ||
1HF | 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 | ||
1HFD | 서아프리카 | ||
1HFDA | 모리타니 | ||
1HFDB | 베냉 | ||
1HFDE | 시에라리온 | ||
1HFDF | 부르키나파소 | ||
1HFDG | 감비아 | ||
1HFDH | 가나 | ||
1HFDH‑GH‑A | Accra | 1.2.8 | |
1HFDL | 라이베리아 | ||
1HFDL‑LR‑A | Monrovia | 1.2.8 | |
1HFDM | 말리 | ||
1HFDM‑ML‑A | Timbuktu | 1.2.8 | |
1HFDN | 나이지리아 | ||
1HFDN‑NG‑A | Lagos | 1.2.8 | |
1HFDR | 니제르 | ||
1HFDS | 세네갈 | ||
1HFDS‑SN‑A | Dakar | 1.2.8 | |
1HFDT | 가다 | ||
1HFDU | 기니 | ||
1HFDU‑GN‑A | Conakry | 1.2.8 | |
1HFDV | 카보베르데 | ||
1HFDX | 기니비사우 | ||
1HFDY | 코트디부아르 | ||
1HFDY‑CI‑A | Abidjan | 1.2.8 | |
1HFG | 동아프리카 | ||
1HFGA | 에티오피아 | ||
1HFGA‑ET‑A | Addis Ababa | 1.2.8 | |
1HFGD | 지부티 | ||
1HFGE | 에리트레아 | ||
1HFGK | 케냐 | ||
1HFGK‑KE‑A | Nairobi | 1.2.8 | |
1HFGK‑KE‑M | Mombasa | 1.2.8 | |
1HFGQ | 부룬디 | ||
1HFGR | 르완다 | ||
1HFGR‑RW‑A | Kigali | 1.2.8 | |
1HFGS | 소말리아 | ||
1HFGSR | 소말릴란드 | ||
1HFGT | 탄자니아 | ||
1HFGT‑TZ‑B | Dar es Salaam | 1.2.8 | |
1HFGT‑TZ‑C | Zanzibar Class here: Zanzibar Archipelago | 1.2.8 | |
1HFGT‑TZ‑E | Northern Tanzania | 1.2.8 | |
1HFGT‑TZ‑EB | Kilimanjaro | 1.2.8 | |
1HFGT‑TZ‑ED | Serengeti | 1.2.8 | |
1HFGU | 우간다 | ||
1HFGU‑UG‑A | Kampala | 1.2.8 | |
1HFJ | 중앙아프리카 | ||
1HFJA | 카메룬 | ||
1HFJC | 콩고 공화국 콩고공화국이 여기에 해당 | 1.2.8 | |
1HFJC‑CG‑A | Brazzaville | 1.2.8 | |
1HFJG | 가봉 | ||
1HFJQ | 적도기니 | ||
1HFJR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
1HFJS | 상투메프린시페 | ||
1HFJZ | 콩고민주공화국 (자이르) 콩고민주공화국이 여기에 해당 | 1.2.8 | |
1HFJZ‑CD‑A | Kinshasa | 1.2.8 | |
1HFM | 남부아프리카 | ||
1HFMA | 앙골라 | ||
1HFMB | 보츠와나 | ||
1HFMB‑BW‑A | Gaborone | 1.2.8 | |
1HFMB‑BW‑V | Okavango River and Delta Class here: the river, its tributaries and its valley | 1.2.8 | |
1HFMK | 스와질란드 스와질란드가 여기에 해당 | 1.2.8 | |
1HFML | 레소토 | ||
1HFMM | 말라위 | ||
1HFMN | 나미비아 | ||
1HFMQ | 모잠비크 | ||
1HFMQ‑MZ‑A | Maputo | 1.2.8 | |
1HFMS | 남아프리카공화국 | ||
1HFMS‑ZA‑A | Eastern Cape | 1.2.8 | |
1HFMS‑ZA‑B | Free State | 1.2.8 | |
1HFMS‑ZA‑BB | Bloemfontein | 1.2.8 | |
1HFMS‑ZA‑D | Gauteng | 1.2.8 | |
1HFMS‑ZA‑DB | Johannesburg | 1.2.8 | |
1HFMS‑ZA‑DD | Pretoria | 1.2.8 | |
1HFMS‑ZA‑F | KwaZulu-Natal | 1.2.8 | |
1HFMS‑ZA‑FB | Durban | 1.2.8 | |
1HFMS‑ZA‑H | Limpopo | 1.2.8 | |
1HFMS‑ZA‑J | Mpumalanga Class here: Eastern Transvaal | 1.2.8 | |
1HFMS‑ZA‑K | North West Province | 1.2.8 | |
1HFMS‑ZA‑M | Northern Cape | 1.2.8 | |
1HFMS‑ZA‑N | Western Cape | 1.2.8 | |
1HFMS‑ZA‑NB | Cape Town | 1.2.8 | |
1HFMS‑ZA‑Z | South Africa: places of interest Use for: physical features, historical and cultural areas or other places of national interest or importance | 1.2.8 | |
1HFMS‑ZA‑ZD | Drakensberg | 1.2.8 | |
1HFMS‑ZA‑ZK | Kruger National Park | 1.2.8 | |
1HFMW | 짐바브웨 | ||
1HFMW‑ZW‑A | Harare | 1.2.8 | |
1HFMZ | 잠비아 | ||
1HFMZ‑ZM‑A | Lusaka | 1.2.8 | |
1HS | 남부인도양제도 | ||
1HSC | 코모로 | ||
1HSM | 마다가스카르 | ||
1HSU | 모리셔스 | ||
1HSU‑MU‑B | Rodrigues | 1.2.8 | |
1HSV | 몰디브 | ||
1HSY | 세이셸 | ||
1HS‑FR‑L | La Réunion | ||
1HS‑FR‑LA | Saint-Denis (Réunion) | 1.2.6 | |
1HS‑FR‑LB | Saint-Benoît | 1.2.6 | |
1HS‑FR‑LC | Saint-Paul | 1.2.6 | |
1HS‑FR‑LD | Saint-Pierre (Réunion) | 1.2.6 | |
1HS‑FR‑M | Mayotte | ||
1HS‑FR‑MA | Dzaoudzi | ||
1HZ | 아프리카 : 지형 | ||
1HZA | 아프리카 : 강, 호수 등 | ||
1HZAC | 콩고강 및 지류 Class here: the river, its tributaries, its valley, its basin and mouth or delta | 1.2.8 | |
1HZAG | 니제르강 및 지류 Class here: the river, its tributaries, its valley and delta | 1.2.8 | |
1HZAM | 니아사호수 | 1.2.8 | |
1HZAN | 나일강 및 지류 Class here: the river, its tributaries, its valley and delta See also: 1HBE-AA-D 나일계곡과 삼각주 | 1.2.8 | |
1HZAS | 수에즈운하 | ||
1HZAT | 탕가니카호수 | ||
1HZAV | 빅토리아호수 & 빅토리아폭포 | 1.2.8 | |
1HZAZ | 잠베시강 및 지류 Class here: the river, its tributaries, its valley and mouth or delta | 1.2.8 | |
1HZAZV | 빅토리아 폭포 | 1.3 | |
1HZT | 아프리카 : 산, 언덕, 평야, 해안 등 | 1.1 | |
1HZTA | 아틀라스산맥 | ||
1HZTK | 칼라하리사막 | ||
1HZTR | 그레이트리프트밸리 | ||
1HZTS | 사하라사막 | ||
1HZTT | 사헬 | ||
1K | 아메리카 | ||
1KB | 북미 (미국 & 캐나다) | 1.1 | |
1KBB | 미국 | ||
1KBB‑US‑M | 미국 중서부 | ||
1KBB‑US‑ML | 미국 중서부 : 동북중부(5대호연안)의 주 | ||
1KBB‑US‑MLC | 일리노이 | ||
1KBB‑US‑MLCC | 시카고 | ||
1KBB‑US‑MLCS | 스프링필드 (IL) | 1.2 | |
1KBB‑US‑MLD | 인디애나 | ||
1KBB‑US‑MLDD | 인디애나폴리스 | 1.2 | |
1KBB‑US‑MLG | 미시간 | ||
1KBB‑US‑MLGD | 디트로이트 | 1.2 | |
1KBB‑US‑MLO | 오하이오 | ||
1KBB‑US‑MLOL | 클리블랜드 | 1.2 | |
1KBB‑US‑MLON | 신시내티 | 1.2 | |
1KBB‑US‑MLOO | 콜럼버스 | 1.2 | |
1KBB‑US‑MLT | 미네소타 | ||
1KBB‑US‑MLTM | 미니애폴리스 - 세인트. 폴 | 1.2 | |
1KBB‑US‑MLW | 위스콘신 | ||
1KBB‑US‑MLWM | 밀워키 | 1.2 | |
1KBB‑US‑MLWW | 매디슨 | 1.2 | |
1KBB‑US‑MP | 미국 중부 : 서북중부(대초원지대)의 주 | ||
1KBB‑US‑MPA | 아이오와 | ||
1KBB‑US‑MPK | 캔자스 | ||
1KBB‑US‑MPM | 미주리 | ||
1KBB‑US‑MPMK | 캔자스시티 (MO) | 1.2 | |
1KBB‑US‑MPML | 세인트루이스 | 1.2 | |
1KBB‑US‑MPN | 네브라스카 | ||
1KBB‑US‑MPNL | 링컨 | 1.2 | |
1KBB‑US‑MPNO | 오마하 | 1.2 | |
1KBB‑US‑MPR | 노스다코타 | ||
1KBB‑US‑MPT | 사우스다코타 | ||
1KBB‑US‑MPTR | 러시모어산 국립기념관 | 1.2 | |
1KBB‑US‑N | 미국 북동부 | ||
1KBB‑US‑NA | 미국 북동부 : 중동부의 주 | ||
1KBB‑US‑NAJ | 뉴저지 | ||
1KBB‑US‑NAJA | 애틀랜틱시티 | 1.2 | |
1KBB‑US‑NAJH | 호보켄 | 1.2 | |
1KBB‑US‑NAJN | 뉴어크 | 1.2 | |
1KBB‑US‑NAJS | 저지쇼어 | 1.2 | |
1KBB‑US‑NAK | 뉴욕 | ||
1KBB‑US‑NAKA | 알바니 | 1.2 | |
1KBB‑US‑NAKB | 버팔로 | 1.2 | |
1KBB‑US‑NAKC | 뉴욕시 | ||
1KBB‑US‑NAKCB | 브루클린 | 1.2 | |
1KBB‑US‑NAKCM | 맨해튼 | 1.2 | |
1KBB‑US‑NAKCMG | 그리니치빌리지 | 1.2 | |
1KBB‑US‑NAKCMH | 할렘 | 1.2 | |
1KBB‑US‑NAKL | 롱아일랜드 | 1.2 | |
1KBB‑US‑NAKN | 나이아가라폭포 (도시) | 1.2 | |
1KBB‑US‑NAP | 펜실베니아 | ||
1KBB‑US‑NAPD | 펜실베니아더치카운티 | 1.2 | |
1KBB‑US‑NAPG | 게티스버그 | 1.2 | |
1KBB‑US‑NAPH | 필라델피아 | ||
1KBB‑US‑NAPT | 피츠버그 | 1.2 | |
1KBB‑US‑NE | 미국 북동부 : 뉴잉글랜드 | ||
1KBB‑US‑NEC | 코네티컷 | ||
1KBB‑US‑NECH | 하트포드 | 1.2 | |
1KBB‑US‑NEI | 메인 | ||
1KBB‑US‑NEIA | 아카디아국립공원 | 1.2 | |
1KBB‑US‑NEIP | 포틀랜드 (ME) | 1.2 | |
1KBB‑US‑NEM | 매사추세츠 | ||
1KBB‑US‑NEMB | 보스턴 | ||
1KBB‑US‑NEMC | 케이프코드 | 1.2 | |
1KBB‑US‑NEMCM | 마서즈빈야드 | 1.2 | |
1KBB‑US‑NEMCN | 난터켓 | 1.2 | |
1KBB‑US‑NEMM | 캠브리지 (MA) | 1.2 | |
1KBB‑US‑NEMS | 세일럼 (MA) | 1.2 | |
1KBB‑US‑NEN | 뉴햄프셔 | ||
1KBB‑US‑NER | 로드아일랜드 | ||
1KBB‑US‑NERN | 뉴포트 | 1.2 | |
1KBB‑US‑NERP | 프로비덴스 | 1.2 | |
1KBB‑US‑NEV | 버몬트 | ||
1KBB‑US‑S | 미국 남부 | ||
1KBB‑US‑SC | 미국 남부 : 동남중부의 주 | ||
1KBB‑US‑SCA | 알라바마 | ||
1KBB‑US‑SCAM | 몽고메리 | 1.2 | |
1KBB‑US‑SCK | 켄터키 | ||
1KBB‑US‑SCKL | 루이빌 | 1.2 | |
1KBB‑US‑SCM | 미시시피 | ||
1KBB‑US‑SCT | 테네시 | ||
1KBB‑US‑SCTM | 멤피스 | 1.2 | |
1KBB‑US‑SCTN | 내쉬빌 | 1.2 | |
1KBB‑US‑SE | 미국 남부 : 남대서양연안의 주 | ||
1KBB‑US‑SEC | 컬럼비아특별구 (워싱턴 D.C.) | ||
1KBB‑US‑SED | 델라웨어 | ||
1KBB‑US‑SEF | 플로리다 | ||
1KBB‑US‑SEFA | 세인트어거스틴 | 1.2 | |
1KBB‑US‑SEFE | 에버글레이드 | 1.2 | |
1KBB‑US‑SEFH | 탤러해시 | 1.2 | |
1KBB‑US‑SEFJ | 잭슨빌 | 1.2 | |
1KBB‑US‑SEFK | 플로리다키스제도 | 1.2 | |
1KBB‑US‑SEFM | 마이애미 | ||
1KBB‑US‑SEFO | 올랜도 | 1.2 | |
1KBB‑US‑SEFP | 탬파 | 1.2 | |
1KBB‑US‑SEG | 조지아 (미국 주) | ||
1KBB‑US‑SEGS | 서배너 | 1.2 | |
1KBB‑US‑SEGT | 애틀랜타 | ||
1KBB‑US‑SEM | 메릴랜드 | ||
1KBB‑US‑SEMA | 아나폴리스 | 1.2 | |
1KBB‑US‑SEMB | 볼티모어 | 1.2 | |
1KBB‑US‑SEN | 노스캐롤라이나 | ||
1KBB‑US‑SENA | 애쉬빌 | 1.2 | |
1KBB‑US‑SENB | 아웃터뱅크스 | 1.2 | |
1KBB‑US‑SENC | 샬럿 | 1.2 | |
1KBB‑US‑SENR | 롤리 | 1.2 | |
1KBB‑US‑SES | 사우스캐롤라이나 | ||
1KBB‑US‑SESC | 찰스턴 (SC) | 1.2 | |
1KBB‑US‑SESM | 머틀비치 | 1.2 | |
1KBB‑US‑SEV | 버지니아 | ||
1KBB‑US‑SEVC | 샬러츠빌 | 1.2 | |
1KBB‑US‑SEVR | 리치몬드 | 1.2 | |
1KBB‑US‑SEVV | 버지니아비치 | 1.2 | |
1KBB‑US‑SEVW | 윌리엄스버그 | 1.2 | |
1KBB‑US‑SEW | 웨스트버지니아 | ||
1KBB‑US‑SG | 그레이트스모키산맥 국립공원 | 1.2 | |
1KBB‑US‑SW | 미국 남부 : 미국 서남중부의 주 | ||
1KBB‑US‑SWA | 아칸소 | ||
1KBB‑US‑SWAH | 핫스프링스 | 1.2 | |
1KBB‑US‑SWAL | 리틀록 | 1.2 | |
1KBB‑US‑SWL | 루이지애나 | ||
1KBB‑US‑SWLB | 배턴루지 | 1.2 | |
1KBB‑US‑SWLN | 뉴올리언스 | ||
1KBB‑US‑SWO | 오클라호마 | ||
1KBB‑US‑SWOC | 오클라호마시티 | 1.2 | |
1KBB‑US‑SWOT | 털사 | 1.2 | |
1KBB‑US‑SWT | 텍사스 | ||
1KBB‑US‑SWTA | 오스틴 | 1.2 |